728x90
반응형
Next Question | '2025/07/08 글 목록
반응형
안녕하세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려고 노력하며, 새로운 지식과 상상력을 접하길 원하는 1인입니다. 스포츠에 관심이 많으며 주기적으로 헌혈하는 헌혈자이기도 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TODAY TOTAL
250x250
2025/07/08 (1)
서울특별시 송파구 한성백제박물관 관람 사진입니다.(1편 - 지하 1층 기획전시실, 제1전시실 사진)
728x90
반응형

https://baekjemuseum.seoul.go.kr/

 

한성백제박물관

지난전시 백제人: 죽은 자의 이야기, 산 자의 해석 2024-10-22 ~ 2025-04-30

baekjemuseum.seoul.go.kr

 

 

  올해 5월에 올림픽공원을 둘러보던 와중에 한성백제박물관을 발견하고 바로 들어가서 관람했습니다. 주소는 '서울특별 송파구 위례성대로 71'고, 9호선 한성백제역과 올림픽공원 핸드볼경기장 사이에 있습니다.

 

  매주 월요일만 휴관하고 다른 요일 오전 9시부터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마감시간은 오후 7시이며, 금요일에 한정해서 오후 9시까지만 연장 운영합니다. 날씨가 추운 11월 ~ 2월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만 운영합니다. 관람료는 무료이지만, 간혹 특별전시나 기획전시 공간은 관람료가 유료인 경우도 있습니다.

 

  저는 지하 1층으로 들어왔습니다. 박물관 지하 1층에는 기획전시실과 제1전시실, 지상 1층에는 제2전시실과 제3전시실이 있습니다. 지상 2층에는 옥상 정원과 카페테리아가 있고, 지하 2층에는 주차장, 강당, 세미나실, 물품보관함이 있습니다.

https://baekjemuseum.seoul.go.kr/module/index.jsp?boardid=a&code=DP&mmode=content&mpid=SBM0203000000&pid=22529&strsearch=&d_s_que=&cpage=1

 

전시안내 > 특별전시 | 한성백제박물관

 

baekjemuseum.seoul.go.kr

  제가 박물관을 방문했던 날에는 '2025 국제교류전 - 히타이트'라는 전시가 지하 1층 기획전시실에서 진행 중이었습니다. 히타이트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이 200점 정도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히타이트는 금속 기술이 발달한 고대 강대국으로, 바빌로니아를 멸망시키고 이집트 신왕국과 경쟁했습니다. 수필룰리우마 1세 치세 때 히타이트는 아나톨리아 반도를 장악했고 시리아로 진출했습니다.

  카데시 전투 소개가 지도로 나타 있습니다. 히타이트와 이집트의 전쟁이었고 기록상 과정이 남은 최초의 전쟁이라고 불립니다. 워낙 고대 이야기라 기록이 완전하지는 않지만, 전쟁 결과는 히타이트의 우세라는 주장이 좀 더 우세합니다. 이후 양국은 평화조약을 체결합니다. 역시 인류사 최초의 평화 조약입니다. 조약 내용도 점토판으로 남아 지금까지 보존되어 있습니다.

  전차부대는 당시 높은 비용 만큼 위력이 어마어마했습니다. 카데시 전투에서도 양쪽이 수천 대의 전차부대를 운영했습니다. 다만 훗날 주력이 되는 기병에 비해 기동력이 약하고 지형을 가린다는 문제로 비중이 점점 낮아졌습니다.

  쐐기문자, 상형문자 설명도 자세히 나타나 있습니다. 상형문자 종류는 그림과 의미로 벽에 그려져 있었는데 흥미로웠습니다.

  히타이트의 토기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입구가 극히 작은 호리병을 보니 <여우와 두루미>의 이야기가 생각나기도 했습니다.

  당시 다른 나라보다 히타이트가 상대적으로 앞선 철기 기술을 보유했다는 가설은 많지만, 청동기를 압도할 정도의 철기 기술까지는 없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남아 있는 철기 유물도 없다시피 합니다.

 

  히타이트의 종교도 다신교였습니다.

  히타이트 전차병 그림이 있는 포토존도 있었습니다.

  기획전시실 관람 다음에는 제1전시실 관람으로 넘어갔습니다. 서울, 한강의 역사를 다루며 특히 위례성을 수도로 했던 백제와 삼국시대의 역사를 조명하고 있습니다. 전시실 입구 근처에 있는 칠지도 사진이 반가웠습니다.

  한강 유역은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의 거주 공간이었습니다. 수자원 확보는 언제나 중요했고 4대 문명도 강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습니다.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시대 사람들의 생활 모습이 모형으로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그림이 아니라 입체적으로 볼 수 있어서 눈이 즐거웠습니다.

  백제는 마한의 연맹체 중 하나였고, 근초고왕이나 무령왕, 성왕 등 훌륭한 군주의 활약으로 마한은 점점 백제에 흡수되었습니다.

  이렇게 제1전시실의 주제는 '서울의 선사'로 문명의 기원과 백제 초기 역사를 다루고 있습니다. 다음 박물관 2편 포스팅은 지상 1층에 있는 제2전시실과 제3전시실에서 찍은 사진을 올리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