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Next Question | '배재학당역사박물관' 태그의 글 목록
반응형
안녕하세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려고 노력하며, 새로운 지식과 상상력을 접하길 원하는 1인입니다. 스포츠에 관심이 많으며 주기적으로 헌혈하는 헌혈자이기도 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TODAY TOTAL
250x250
배재학당역사박물관 (2)
서울특별시 중구 배재학당역사박물관 관람 후기입니다. - 2편 - (윌리엄 아서 노블, 헨리 아펜젤러, 푸시킨의 세계 특별 전시)
728x90
반응형

 

https://appenzeller.pcu.ac.kr/appenzeller

 

배재학당역사박물관

배재학당역사박물관

appenzeller.pcu.ac.kr

https://www.much.go.kr/cooperation/net/app.do

 

근현대사 박물관 협력망 안내 - 배재학당역사박물관

 

www.much.go.kr

 

 

  지난 번 배재학당역사박물관 관람 포스팅 1편에 이어서 2편을 올리겠습니다. 1층의 상설전시실1 관람을 끝내고 2층으로 올라갔습니다. 2층에 기획전시실과 상설전시실2가 있습니다. 기획전시실에 '뿌쉬낀의 세계'라는 특별전시가 진행 중인데 볼 수 있었습니다. 평시에 닫혀 있었는데 문고리를 잡고 밀면서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참고로 지하 1층은 학예연구실, 지상 3층에는 세미나실과 회의실이 있어서 평소에 일반 관람객은 접근하실 수 없습니다. 이 시설들은 배재학당 측이 여는 교육프로그램 기간에 사용됩니다. 박물관 홈페이지에서 간혹 특별강연 등의 교육프로그램을 모집하는 경우가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참고하셔도 좋습니다.

 

  

 

 

  뿌쉬낀이라는 단어는 익숙하지 않아서 그냥 푸시킨이라고 부르겠습니다. 그의 탄생 225주년 기념을 맞이해서 전시되었습니다. 필자는 배재학당역사박물관을 작년 12월에 방문했는데 다행히 관람 기간 도중에 방문해서 돌아볼 수 있었습니다.

 

  푸시킨은 러시아 문학사의 거장 중의 거장이죠. 푸시킨의 위대함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농구 역사에서 조던의 위대함, 음악 역사에서 바흐의 위대함을 설명할 필요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죠.

 

  푸시킨의 작품을 일러스트로 그림으로써 창작한 예술가들을 추가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예술가들이 영감을 받은 푸시킨의 작품은 헤아릴 수 없죠. 박물관에서 <술탄 황제의 이야기>, <루슬란과 류드밀라> 등 역사적인 작품의 제목을 읽을 수 있었습니다.

  배재학당에 썼던 책상 위에 푸시킨의 초상화가 올려져 있었습니다.

  푸시킨의 서정시을 읽으면서 마음 속으로 공명했습니다. 시에서 자연의 아름다움이 깃들어 있었고, 이를 주제로 화가들의 그림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기획전시실 관람을 마치고 상설전시실2로 걸어갔습니다. 1편에서 배재학당의 창립자인 헨리 배재학당의 이야기가 더 자세히 소개되어 있었고, 배재학당의 선생님이었던 윌리엄 아서 노블의 교육자 활동 이야기를 볼 수 있었습니다.

  선교사였던 윌리엄 아서 노블의 가족은 평양에서 기독교 전파에 힘썼습니다. 그의 아내인 매티 윌콕스 노블은 남편과 함께 배재학당의 교사로 활동했고, 여성교육기관을 세우는 등 당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습니다.

  헨리 아펜젤러의 가족들 또한 훌륭했습니다. 그의 아들도 아버지의 뒤를 이어 배재학당 교장직을 맡았고, 딸도 이화여자전문대학 학장이 되어 근대 교육 보급에 힘썼습니다.

  손자인 디지 아펜젤러도 배재학당의 교장을 맡아 학생들을 가르쳤습니다. 당시 교육 모습을 모형으로 전시했습니다. 배재학당 피아노도 전시되어 있었는데 1911년 제작되어 1930년대 초반 일제강점기 시기에 배재학당에 반입되었다고 합니다. 배재학당 대강당에서 한국인 음악가들을 양성하는데 사용되었습니다.

  이렇게 박물관 관람을 끝냈습니다. 우리나라의 내로라 하는 독립운동가도 대단하지만 호머 헐버트, 어니스트 베델, 헨리 아펜젤러처럼 우리나라를 도운 외국인들도 한국 역사에 위인으로 기억되어야 합니다. 대가도 없고 연고도 없이 먼 나라의 국권과 사람들을 위해 자신의 삶을 희생했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서울특별시 중구 배재학당역사박물관 관람 후기입니다. - 1편 - (박물관 상설전시실 배재학당 교실체험, 배재학당 역사)
728x90
반응형

https://appenzeller.pcu.ac.kr/appenzeller

 

배재학당역사박물관

배재학당역사박물관

appenzeller.pcu.ac.kr

https://www.much.go.kr/cooperation/net/app.do

 

근현대사 박물관 협력망 안내 - 배재학당역사박물관

 

www.much.go.kr

 

 

  구한말 조선에서 활동한 감리교 선교사 중에 '헨리 아펜젤러'라는 훌륭한 의인이 있습니다. 미국 사람으로 드류 신학교를 졸업하여 선교사가 되었고, 1885년 조선을 방문했습니다. 우리나라 역사에서 최초의 감리교회인 정동제일교회를 설립하고, 최초의 서양식 학교인 배재학당(현재 배재고등학교)를 설립하는 업적을 남겼습니다. 배재학당은 우리나라 근대교육의 요람이 되었고, 아펜젤러는 '협성회'라는 학생운동과 대중계몽 목적의 단체를 만들었습니다.

 

  여담이지만 필자가 방문했던 박물관 가운데 국제성서박물관에서 아펜젤러의 발자취가 자세히 소개되어 있습니다.

 

  시청역 2호선 10번 출구 방향에 '배재학당 역사박물관'이 있습니다. 배재학당의 교실로 사용되었던 배재학당 동관 건물이 2008년 박물관으로 새롭게 개관했습니다. 주한러시아대사관과 서울시립미술관 사이에 박물관이 있습니다. 필자는 지하철로 왔는데 표지판과 아펜젤러 동상을 보고 박물관의 위치를 확인했습니다.

  배재학당 역사박물관은 매주 화요일 ~ 토요일에만 운영합니다. 배재학당 창립일인 6월 8일과 공휴일에는 휴관입니다. 무료로 관람하실 수 있고,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무료로 둘러보실 수 있습니다. 1층에 상설전시실 1과 특별전시실이, 2층에 상설전시실 2와 기획전시실이 있습니다.

  배재학당 연표와 이 건물의 이전 이름이었던 배재학당 동관에 대한 소개가 상세하게 나타나 있습니다.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 16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아펜젤러를 비롯해서 구한말 시기 선교사들의 활동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그 위대한 호머 헐버트도 선교사였죠. 기독교를 믿는 조선 사람들이 늘어났고, 실제로 3.1운동 때 민족대표 33명 중 16명이 개신교 대표로 나왔습니다.

  아펜젤러는 1902년 침몰하는 배에서 조선인 학생을 구하려다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안타깝게도 그의 시신은 바다에서 수습하지 못했습니다.

  배재학당 출신의 인물들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한국 사람이라면 다 아는 시인 김소월과 한글학자 주시경 선생이 배재학당을 졸업했습니다.

  배재학당에서 생리학과 화학 교육과 영어 강의 등 당시 기준으로 신교육의 앞장섰습니다. 학생들은 3.1운동 1주년에 독립만세를 부르며 만세운동을 재현했습니다.

 

  배재학당의 교육 역사도 여러 자료를 통해 소개되어 있습니다. 1885년부터 시작해서 140년+의 역사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학교법인 배재학당이 배재중, 배재고, 배재대학, 그리고 이 박물관을 운영하는 중이죠.

  상설전시실 관람을 끝내고 교실체험관으로 갔습니다. 1층에 기획전시실도 있는데 작년 12월부터 기획전시 소식이 없어서 운영하고 있지 않았습니다.

  옛날 배재학당 교실 모습이 재현되어 있습니다. 당시 학생들이 입었던 교복과 모자도 입을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다만 필자의 덩치로는 딱 봐도 입을 사이즈가 아니라서 건너 뛰었습니다.

  2층 상설전시실 사진과 후기는 2편에 올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