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esportsworldcup.com/en
Home | Esports World Cup
Esports World Cup is an annual global tournament, crowning the best esports club in the world and rewarding them with the biggest prizes in the industry.
www.esportsworldcup.com



https://x.com/EWC_EN/status/1908187865772605818
X의 Esports World Cup님(@EWC_EN)
Old rivalries. New strategies. Who will conquer? #SC2 | #EWC2025
x.com
올해 7월 7일부터 8월 24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의 수도 리야드에서 E스포츠 종합 대회인 'E스포츠 월드컵(이하 EWC)'이 열릴 예정입니다. 예전 WCG나 ESWC와도 비교가 안 될 정도의 상금이 걸려 있고(작년 기준 6천만 달러), 작년에 비해 종목 개수도 늘어나서 더욱 규모가 커졌습니다.
총 24개의 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메인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순서입니다.
1. 콜 오브 듀티 - 블랙 옵스 6
2. 카운터 스트라이크2
3. EA SPORTS - FC 25
4. 오버워치 2
5. 로켓 리그
6. 발로란트
7. 리그 오브 레전드
8. 왕자영요
9. 콜 오브 듀티 - 워존
10. Free Fire
11. 스트리트파이터 6
12. 도타2
13. 레인보우 식스 시즈
14. 배틀그라운드
15. APEX 레전드
16. 모바일 레전드 Bang Bang(일반부, 여성부 두 개로 따로 진행)
17. 체스
18. 렌스포트
19.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20. 크로스파이어
21. 아랑전설 - 시티 오브 더 울브스
22. 전략적 팀 전투(Teamfight Tactics)
23. 철권8
24. 스타크래프트2
오랫동안 종목 두 자리가 비었다가 3월 20일 철권8이 합류하고, 4월 5일에 스타크래프트2가 마지막 열차를 탔네요.
작년에 있었던 EWC 종목에서 포트나이트만 유일하게 빠졌습니다. 새롭게 합류한 게 아랑전설, 체스, 발로란트, 크로스파이어 이렇게 4가지 종목입니다. 발로란트가 합류한 걸 보면 라이엇이 EWC와 파트너십을 맺으면서 서드 파티 제한을 꽤 완화했다는 생각도 드네요.
https://namu.wiki/w/%EB%A7%9D%EB%88%84%EC%8A%A4%20%EC%B9%BC%EC%84%BC#s-2.3.3
망누스 칼센
노르웨이 의 체스 기사. 제16대 체스 세계 챔피언 이다. 2013년부터 스스로 타이틀 반납을 선언한 202
namu.wiki
보드게임 체스가 E스포츠 대회에 합류했습니다. 팀리퀴드가 그 유명한 망누스 칼센과 계약했습니다. EWC 종합 순위에서 최소 2위를 유지하겠다는 움직임을 취한 셈이죠.
참고로 EWC에서 종합 우승을 달성하면 종목 내 상금 이외에 추가 상금이 수여됩니다. 마치 올림픽 전체 1위를 미국으로, 2위를 중국으로 계산하는 것처럼요. 작년에 가장 높은 성적을 기록한 팀 팔콘스가 700만 달러의 추가 상금을 획득했고, 팀 리퀴드가 2위를 달성해서 400만 달러의 상금을 획득했습니다. 작년에 한국 e스포츠 팀 중 가장 높은 순위를 달성한 게 T1인데 5위로 125만 달러를 받았고요.
https://www.inven.co.kr/webzine/news/?news=304027&site=lol
T1 참가 확정 LoL EWC, 7월 사우디서 개최...상금은 MSI 동일한 200만 달러
사우디아라비아 e스포츠 연맹이 주최하는 e스포츠 월드컵(EWC)의 세부 정보가 공개됐다. 7월 16일부터 20일까지 열리는 '리그 오브 레전드' EWC에는 T1을 포함한 12개 팀이 참가하여 총 200만 달러의
www.inven.co.kr
EWC에서 LOL 종목도 작년 상금이 100만 달러 규모에 불과했는데, 이번에 200만 달러로 2배로 늘어났습니다. 올해 MSI가 6월 27일 부터 7월 12일까지 있고, 7월 16일부터 EWC 대회가 5일 동안 진행됩니다. MSI 진출 팀들은 모두 EWC 진출 시드를 받습니다. 작년에 우승한 티원은 디펜딩 챔피언 자격으로 시드를 받아서 MSI에 진출을 하지 못해도 EWC 출전이 가능하고요. 작년에는 초청이었는데 비해 이번에는 MSI 참가팀이라는 기준이 있어서 대회 가치가 높아졌습니다.
철권 8은 분위기가 최근 안 좋습니다. 최근 시즌 2 패치가 부정적인 면이 가득한데 과연 E스포츠 대회가 얼마나 흥행할지 모르겠네요. 5월 초에 EVO 재팬이 열리는데 시간이 남으면 주요 경기를 간략하게라도 봐야겠습니다.
https://pro.eslgaming.com/tour/sc2/
ESL Pro Tour – The Ultimate CS:GO Competition
Today, we’re writing to share an important update regarding the future of the ESL Pro Tour (EPT). After an incredible journey since its inception in 2020, the
pro.eslgaming.com
https://www.youtube.com/watch?v=6ucavEIEBgA
스타크래프트2는 EWC 종목으로 유지되었습니다. 그러나 ESL 투어 종료가 발표되었죠. 즉, 이번 EWC가 마지막 메이저 대회(마지막 억대 상금 대회)라는 점을 시사한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13년 전 스타1 마지막 공식리그인 티빙 스타리그 생각도 나네요.
과연 어떻게 선수 선발을 할 수 있을까요. IEM도 없고 ESL 투어도 없는데, 몇몇 온라인 대회로 선발할까 싶네요. 작년 상위 입상자인 클렘, 세랄, 박령우, 김준호 등에게 자동 본선 진출 시드를 줘도 이상하지 않고요. EWC 종목 가운데 LOL, 스트리트 파이터6는 우승 팀(T1)이나 선수(샤오하이)에게 자동 진출 시드를 줬는데 스타2의 방침이 궁금합니다. 아무튼 GSL은 남은 3개월 동안 1번이라도 열려서 마지막 끝맺음을 이루면 다행일 것입니다.
사실상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E스포츠의 최종전이나 다름 없는데, 마지막 승자가 누가 될지 궁금합니다.
세랄의 GOAT 굳히기 일지,
클렘이 마지막 리그에서 연속 우승을 달성할지(스타1 허영무 선수처럼),
아니면 한국 선수들의 마지막 한풀이가 될까요.
일단 조성주, 이병렬 이 두 선수는 우승하면 GOAT 논쟁에 유리해집니다. 조성주 선수는 세랄의 상금 랭킹 1위를 탈환할 수 있고, 이병렬 선수는 커리어 1위로 인정받겠죠.
2020 IEM의 한국 내전 이후 최상위 대회에서 외국 선수들이 우승을 독점하고 있는데, 과연 유럽의 강세를 남아 있는 한국 스타2 선수들이 이겨낼 지가 궁금합니다.
한국 선수들 말고도 프로토스 우승 소식도 뜸합니다. 가능성 있는 건 김준호 선수인데 테란, 저그 인재풀에 비하면 외로워보입니다.
맥스팩스는... 마지막 오프라인 대회에도 얼굴을 비치지 않겠죠.
스타크래프트 E-SPORTS 리그가 1998년 말 ~ 2025년 중순까지, 이렇게 27년 정도 유지된 거면 천수를 누렸다고 봐야겠죠. 내년 여름부터는 추억으로 머리 속에 남을 것입니다. 동 시대에 경쟁한 카운터 스트라이크 E스포츠, 그보다도 앞서서 나온 스트리트 파이터 E스포츠에 비해 일찍 해가 진 점은 아쉽지만 받아들여야겠죠.
'스포츠 > E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E스포츠] 워크래프트3와 Sky 리샤오펑의 활약으로 본격적으로 발전된 중국의 E스포츠(+중국의 게임 규제) (1) | 2025.03.19 |
---|---|
2026년 아이치-나고야 아시안게임에서의 E스포츠 11개 정식 종목이 확정되었습니다.(LOL, 배틀그라운드, 스트리트파이터, 뿌요뿌요 등) (1) | 2025.02.21 |
[E스포츠] 주관적으로 선정해본 역대 스타크래프트2 프로게이머 순위 TOP 10(세랄, 이병렬, 조성주 등) (0) | 2025.02.09 |
[E스포츠, 스타2] 스타크래프트2판이 이대로 끝날까요?(올리베이라 은퇴와 GSL과 E스포츠 월드컵의 유무) (0) | 2025.02.06 |
[LOL, E스포츠] 2024 LCK 사진전 후기입니다.(in 스페이스비 연남) (2) | 202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