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ovisionnew.tistory.com/920
2023년 혈액사업통계연보가 발간되었습니다.
https://neovisionnew.tistory.com/704홍보물>통계연보 |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1. 2020년도 혈액사" data-og-host="neovisionnew.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neovisionnew.tistory.com/704" data-og-url="https://neovisionnew.
neovisionnew.tistory.com
https://www.bloodinfo.net/knrcbs/na/ntt/selectNttList.do?mi=1158&bbsId=1061
혈액관리본부
혈액관리본부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www.bloodinfo.net
2025년 4월 2일에 2024년 혈액사업통계연보가 발간되었습니다. 헌혈과 혈액수급(혈액사업) 통계 정보를 매년 봄에 발행하는데,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받아서 보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서 2005년부터 2024년까지 20년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 총 헌혈실적
2022년: 2,649,007건
2023년: 2,776,291건
2024년: 2,855,540건
최근 몇 년 동안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재작년에 비해서 3%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특히 2024년 1월에는 214,446건으로, 올해와 재작년에 비해 2만 ~ 3만 건보다 높았습니다.
2. 총 헌혈자
2022년: 1,327,587명
2023년: 1,300,774명
2024년: 1,264,525명
헌혈 실적에 비해 헌혈 인구는 감소했습니다. 3년 전에는 헌혈자 1명당 평균 횟수가 2.0회 정도였는데 재작년에는 2.13회, 작년에는 2.26회로 늘어난 것입니다.
3. 헌혈가능인구(만 16세 ~ 만 69세) 기준 국민 헌혈률
2022년: 3.41%
2023년: 3.35%
2024년: 3.27%
작년 기준으로 헌혈 가능 인구가 우리나라에 38,674,973명인데, 이 중 126만명 정도가 헌혈에 참여한 셈입니다. 총인구대비 총 헌혈실적으로 따지는 '국민 헌혈률' 5.58% 정도입니다. 국민 헌혈률이 2022년에는 5.1%, 2023년에는 5.4%였는데 이 부분은 올랐습니다.
4. 개인헌혈 : 단체헌혈 헌혈비율
2022년: 75.1% : 24.9%
2023년: 74.2% : 25.8%
2024년: 73.7% : 26.3%
단체 헌혈 비중이 조금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전국의 총 헌혈실적이 높아지는데 단체헌혈이 큰 기여를 했다고 봐야 합니다.
5. 직업별 TOP 4
2022년: 회사원 34.5% > 대학생 23.9% > 군인 10.6% ≧ 고등학생 10.3%
2023년: 회사원 34.5% > 대학생 24.6% > 군인 11.2% ≧ 고등학생 10.6%
2024년: 회사원 34.3% > 대학생 24.4% > 군인 11.7% ≧ 고등학생 11.0%
작년과 마찬가지로 군인 헌혈과 고등학생 헌혈의 3분의 2 이상이 단체헌혈로 분류되었습니다. 군인들 총 헌혈 횟수가 33만 건인데 이 중 단체 헌혈이 23만 건에 가깝습니다. 고등학생도 총 헌혈 횟수 31만 건 가운데 22만 건이 단체 헌혈이고요. 단체헌혈을 모두 합하면 75만 건인데 고등학생과 군인 헌혈 비중이 60%를 차지합니다.
6. 생애 첫 헌혈자 숫자(대한적십자사 기준, 괄호 안은 전체 헌혈실적 대비 비율)
2022년: 264,548명(9.9%)
2023년: 262,105명(9.4%)
2024년: 264,646명(10.0%)
매년 헌혈에 입문하는 사람들이 26만 명 정도로 절대 적은 수치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그런데 총 헌혈자 숫자는 감소하고 있어서 약간 아쉽습니다.
7. 등록헌혈자(ABO Friends) 헌혈 실적(괄호 안은 전체 헌혈실적 대비 비율)
2022년: 1,625,501회(61.4%)
2023년: 1,844,322회(72.6%)
2024년: 2,021,761회(76.6%)
찾아보니 2023년 기준으로 등록헌혈자 가입 인원이 192만명이 넘습니다. 2020년대 들어서 매년 20만명 이상 증가하고 있고, ABO Friends 가입자 1명당 헌혈을 매년 1회는 하고 있는 셈입니다.
8. 헌혈 방법별 헌혈비율(전혈, 혈장, 혈소판, 다종성분)
2022년: 전혈 75.4% vs 혈장 14.6% vs 혈소판 0.8% vs 다종 9.1%
2023년: 전혈 72.9% vs 혈장 16.2% vs 혈소판 0.8% vs 다종 10.1%
2024년: 전혈 69.1% vs 혈장 20.4% vs 혈소판 0.7% vs 다종 9.8%
혈장헌혈 비중이 높아지고 있네요. 확실히 혈장은 채혈량 제한에도 자유로운 데다, 혈소판에 비해 헌혈 검사도 간단하게 끝나고 헌혈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짧다는 메리트가 있습니다.
9. 연령별 헌혈 현황
2022년: 20대 36.6% > 40대 17.5% ≧ 10대 17.4% ≧ 30대 16.6%
2023년: 20대 36.9% > 10대 18.1% ≧ 40대 17.1% ≧ 30대 16.1%
2024년: 20대 35.5% > 10대 19.3% ≧ 40대 16.9% ≧ 30대 15.9%
20대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10대, 30대, 40대 비율은 비슷합니다. 다만 10대는 헌혈에 참여할 수 있는 나이인 16세 ~ 19세에 한정된다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확실히 30대로 넘어가면서 이런 저런 이유로 헌혈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은 듯 합니다.
10. 대한적십자사 vs 그 외 헌혈 비교
2022년: 2,445,003(92.3%) vs 204,004(7.7%)
2023년: 2,541,446(91.5%) vs 234,845(8.5%)
2024년: 2,639,162(92.4%) vs 216,378(7.6%)
현재 대한적십자사 헌혈의집이 총 154개소가 있고, 한마음혈액원 헌혈카페가 20개소가 있습니다. 헌혈의집의 개인 헌혈이 192만 6천건, 헌혈카페 개인 헌혈이 17만 6천 건 정도입니다. 대한적십자사 기준으로 한마음혈액원보다 헌혈의 집(헌혈 카페)이 7.7배 많지만, 개인 헌혈 총 실적은 11배 이상 차이가 나네요.
이를 감안하면 평소에 헌혈의집이 사람들로 좀 더 붐빈다고 봐야할 것입니다. 필자도 기회가 되면 헌혈카페에도 가보고 싶은데 차일파일 미루고 있어서 할 말이 없네요. 대한적십자사의 서울동부, 서울남부혈액원 헌혈챌린지 프로모션을 완성하고 싶어서라고 변명해봅니다.
한마음혈액원 헌혈카페도 사람들이 많이 찾아서 폐소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헌혈 후기 및 정보 > 헌혈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헌혈 정보] 헌혈의집에서 혈소판(&다종) 헌혈 이전에 하는 일반혈액검사(CBC) 항목과 정상 수치에 대해 (1) | 2025.02.06 |
---|---|
해피머니 상품권이 휴짓조각이 되면서 대한적십자사도 엄청난 피해를 입었습니다.(헌혈의집에서 다른 기념품으로 교환 가능) (0) | 2024.07.31 |
탈모약,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약물 처방 등으로 늘어나는 헌혈 부적격 경우와 초고령화로 예상되는 혈액 부족 현상 (0) | 2024.05.22 |
2023년 혈액사업통계연보가 발간되었습니다. (0) | 2024.05.10 |
2021년, 2022년 혈액사업통계연보를 보고 포스팅합니다.(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0) | 2023.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