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x250
반응형
안녕하세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려고 노력하며, 새로운 지식과 상상력을 접하길 원하는 1인입니다. 스포츠에 관심이 많으며 주기적으로 헌혈하는 헌혈자이기도 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TODAY TOTAL
교류와 전쟁의 역사, 747년~751년의 고선지의 서역 원정과 아바스vs당나라의 탈라스 전투
728x90
반응형

실크로드를 간략하게 그린 지도

  1. 8세기 초반 실크로드 무역과 서역 세력

  중국 왕조는 한나라 때부터 실크로드를 통해 서쪽과 무역을 해왔습니다. 중국 - 타클라마칸 사막 - 파미르 고원 - 중앙아시아 초원 - 현재 이란 지역 - 지중해까지 닿는 어마어마한 무역로였습니다. 중국에서 만든 비단, 도자기 등의 물품과 양잠업, 제지술 등의 기술이 서방으로 넘어갈 만큼 동서양의 경제와 문화가 오고 가는 통로였습니다.

  그러나 실크로드 무역은 말처럼 쉽지 않았습니다. 파미르 고원은 험준했고 타클라마칸 사막 은 너무 넓어서 관리하기에 극악의 난이도였습니다. 주변의 사막, 초원, 산지로 둘러싸인 그 길에 여러 세력이 있었습니다. 당나라로서는 상인들이 문제없이 무역에 종사하도록 저들을 억제할 수 있어야 했습니다. 중국 왕조를 적대하는 거대한 강대국이 무역로를 가로막으면 실크로드는 무용지물이 되어버릴 수밖에 없죠.

  740년대 당나라는 실크로드의 무역이 원활하지 못했습니다. 토번 제국은 사방으로 세력을 넓혀나갔고 중앙아시아의 서역 통로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파미르 고원 주위에는 수십 개의 작은 나라가 있었는데, 토번은 그들 중 실크로드의 심장부에 있는 ‘소발율’이라는 나라의 국왕에게 토번 공주를 왕비로 맞이함으로써 동맹을 맺었고, 파미르 고원에 있는 나라들 대부분이 토번에게 귀속되었다고 합니다.

  당나라도 그냥 보고만 있지는 않았습니다. 개가운, 정인완 같은 여러 절도사를 보내서 소발율과 주변 국가들을 당나라의 영향력에 두려고 했지만 토번이 그들을 지원하는 바람에 모두 실패했죠. 하지만 당나라 현종은 실크로드를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고선지의 원정로

  2. 고선지의 서역 원정

  747년, 당나라의 고선지는 왕에게서 1만 명의 병사를 받아서 원정을 떠났습니다. 그는 토번의 기습을 피해서 타클라마칸 사막을 기점으로 더욱 북쪽에 위치한 천산산맥을 가로지르는 것을 선택했습니다. 긴 행군에 대비하기 위해 1만의 병사들은 각각 말에 타면서 식량과 무기를 운반했습니다. 그렇게 병사 1만 명과 말 1만 필은 목이 타들어 가는 사막과 얼음이 가득한 고원을 넘어가며 힘든 원정을 계속했습니다.

  고선지와 당나라군은 100일간의 원정을 이겨내고 지금의 아프가니스탄 북동쪽에 도착했습니다. 병사들에게 며칠 동안 휴식을 취하게 한 뒤, 고선지 파미르 고원의 험한 산맥 안에 있는 ‘연운보’라는 토번의 요새의 공략에 착수했습니다.

  고선지는 부대를 4천, 4천, 3천 이렇게 셋으로 나누어서 세 방향으로 연운보를 점령하기로 계획했습니다. 높은 언덕을 끼고 있는 연운보에 토번군 1만이 지키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고선지가 토번이 예상하지 못한 원정길로 오는 바람에 토번군은 당나라군이 가까이 있다는 사실을 몰랐습니다.

  한 나절도 안 되어 당나라군은 연운보 기습에 성공하고, 토번군 5천명을 죽이고 1천명을 포로로 잡았습니다. 말 1천 필과 의복, 식량, 병기 등의 전리품도 획득했죠. 고선지는 소발율국의 수도 아노월성을 향해 원정을 계속했습니다.

  고선지는 재차 소발율과 토번이 예상하지 못한 길을 선택했습니다. 힌두쿠시 산맥에 위치한 탄구령을 넘기로 결정한 것인데, 여기도 항상 얼음이 있을 만큼 춥고 산소가 희박한 고지대였습니다. 탄구령은 지금의 파키스탄 북부의 다르코트 고개로 자그마치 해발 4,700m가 넘었습니다. 절벽을 오르는 상행길도 목숨을 건 행군이었지만 하행길 역시 너무 험했습니다. 고개를 내려가는 도중 몇몇 병사와 말이 떨어져 죽는 사고가 빈번해지자 병사들은 더이상은 못 간다고 고선지에게 호소했습니다. 이 때 소발율국의 주민들이 등장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당나라군이었습니다. 고선지는 진즉에 20여 명의 병사들을 미리 앞으로 보내서 아노월성 주민으로 꾸미도록 명령했고, 지금 나타나도록 꾸민 것이었습니다. 병사들은 주민들이 눈에 보이자 목적지가 멀지 않다며 사기가 올랐습니다. 그들은 눈으로 덮인 내리막길을 통과했습니다.

  한편 소발율국의 왕은 동맹국 토번의 힘만 믿고 당나라군을 피해서 아노월성 안에만 있었습니다. 고선지는 토번 편에 있는 추장들을 죽이고, 병사들에게 토번과 서역을 잇는 등나무로 만든 절벽다리를 끊으라고 지시했습니다.

 

이런 식으로 생긴 절벽다리를...

 

당나라군이 파괴해서 토번군의 길이 끊겼습니다.

  그때 마침 토번의 구원군도 동맹을 구하기 위해 나타났습니다. 아슬아슬한 시간에 당나라군은 다리를 끊는데 성공했고, 토번군의 길은 막혔습니다.

 

서기 750년경 아시아 세력 지도, 황색이 당나라고 녹색이 아바스입니다.

 

   3. 원정에서의 연승, 그러나......

   이렇게 고선지의 원정은 성공했습니다. 병력을 크게 잃지 않고 지금의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북부, 우즈베키스탄까지 당나라의 영향 아래에 두었습니다. 기록상으로는 중앙아시아에 있는 72개국이 당나라에 조공을 바치게 되었다고 합니다. 고선지는 소발율국 점령 이외에도 몇 년 뒤 지금의 우즈베키스탄에 있던 당시 석국이라는 나라도 정벌했습니다. 서쪽의 이슬람 왕조와 동쪽의 당나라 중 어느 쪽에 붙을까 고민하던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점점 당나라로 향하는 듯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석국 정벌에서 터졌습니다. 고선지는 석국의 수도에 있는 청년들을 모두 노예로 삼고 노약자들을 학살했습니다. 왕궁은 물론 백성들의 집까지 철저하게 약탈했습니다. 심지어 당나라로 압송된 석국의 왕은 현종에게 처형당했습니다. 중앙아시아의 수많은 국가들은 왕이 항복했는데도 살해당했다는 사실과 고선지가 죄없는 백성들을 잔혹하게 억압한다는 사실을 들었습니다.

 

아바스와 당나라 사이에 벌어졌던 탈라스 전투

  4. 탈라스 전투(751년, Battle of Talas)

  아바스 왕조는 분노한 중앙아시아의 국가들과 연합해서 당나라를 공격했습니다. 지하드 이븐 살리흐라는 장군이 아바스군을 이끌었고, 탈라스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고선지는 아바스 제국군이 몰려온다는 소식을 듣고 당나라군과 ‘카를룩’이라는 유목민족의 부대와 함께 전투를 준비했습니다.

  751년의 이 전투에서 양측의 병력 규모는 확답을 내리기 어렵습니다. 우선 수십 만을 동원했다는 설은 과장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사견입니다만 고선지의 병력은 3만 명 정도로 추정되고, 살리흐의 아바스군은 이와 비슷할 것으로 보이나 연합한 중앙아시아 병력까지 연합하면 3만 몇천 명 정도로 약간 앞설 것으로

  전투는 5일 동안 이어졌습니다. 양측이 우열을 가릴 수 없는 도중 당나라 편에 있었던 카를룩의 군대가 배신하면서 아바스군으로 돌아서는 결정적인 일이 벌어졌습니다. 내부가 분열되고, 외부에 살리흐가 이끄는 연합군이 함께 공격해오자 고선지는 병사들 태반을 잃었습니다. 퇴각하는 길에도 지형 때문에 험난해서 이동이 더뎠고, 쫓아온 연합군에 의해 또다시 많은 병사가 죽었습니다. 고선지는 간신히 목숨만 부지하고 본국으로 도망쳤습니다.

 

탈라스 전투의 진형. 노란색이 당나라, 파란색이 당나라->아바스로 전향한 유목민족 카를룩, 초록색이 아바스 병사들입니다. 아바스와 카를룩이 당나라를 협공하는 모양새입니다.

 

  5. 이후 고선지의 최후와 탈라스 전투의 의의

  패전 이후 고선지는 절도사 직책에서 물러나고 다시는 원정을 이끌지 못합니다. 다른 군사 작위는 유지한 채로 조정에서 계속 일했습니다. 예전에 토번의 가르친링에게 패배한 당나라 장수들은 신분 자체가 몰락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에 비하면 이례적인 일로 여겨집니다. 이는 고선지가 세웠던 공로가 커서 현종이 용서해준 것이나, 탈라스 전투가 총력전까지는 아닌 만큼 조정에서 피해가 그렇게까지 크지 않았다고 생각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훗날 고선지는 안사의 난 시기 안록산에 맞서서 당나라 정부군을 이끌었습니다. 그러나 감군 변영성이 고선지는 군자금을 착복하고 있다며 모함했고, 분노한 현종은 고선지를 처형하라는 명령을 내렸습니다. 그렇게 고선지는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혼란의 시대에 더 이상 발자취를 남기지 못했고, 끝내 억울한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고선지의 석국 원정에서 벌어진 끔찍한 억압 행동은 명백히 실책이라고 봐야할 것입니다. 서역 국가들이 당나라에 반감을 가질 수밖에 없었고, 케를룩 군대의 전향도 고선지의 끔찍한 행동이 다소 원인이 되었을 가능성도 크다고 생각합니다. 고선지는 전쟁의 안목은 밝았지만, 정치에서는 까막눈이었습니다. 탈라스 전투 이후 실크로드 주변의 국가들이 이슬람 왕조의 편이 되었습니다. 종교와 문화도 이슬람의 영향을 받게 되죠.

  패배한 당나라나 승리한 아바스나 탈라스 전투로 국력이 크게 바뀐 것은 아니었습니다. 아바스 왕조도 탈라스 전투를 '몰락한 왕조(우마이야)의 지지자들이 당나라의 원조를 받아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당한 전투'라고 기록할 만큼 그저그런 규모의 전투로 여길 정도였습니다. 당나라가 이겼다고 가정해도 병력과 보급 문제로 아바스에게 결정타를 먹이는 건 불가능했고, 뒤에 벌어진 안사의 난으로 당나라가 서역의 영향력을 유지할 가능성도 낮았습니다.

  다만 동서 문명이 교류하는 역사에 있어서 중요한 전투였습니다. 당나라의 제지기술자들이 아바스의 포로가 되어서 제지기술이 전해졌기 때문입니다. 제지기술로 아바스의 영토 곳곳에 제지 공장이 세워져서 이슬람 문명은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이 기술은 훗날 유럽에까지 전해졌습니다. 또한 탈라스 전투는 중국 왕조와 이슬람 왕조의 최초의 충돌이라는 점에서 역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