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Next Question | '2025/02/09 글 목록
반응형
안녕하세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려고 노력하며, 새로운 지식과 상상력을 접하길 원하는 1인입니다. 스포츠에 관심이 많으며 주기적으로 헌혈하는 헌혈자이기도 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TODAY TOTAL
250x250
2025/02/09 (1)
[E스포츠] 주관적으로 선정해본 역대 스타크래프트2 프로게이머 순위 TOP 10(세랄, 이병렬, 조성주 등)
728x90
반응형

https://neovisionnew.tistory.com/399

 

[E스포츠, 스타크래프트1] 주관적으로 매겨본 스타판 전체 프로게이머 TOP 20 순위

https://neovisionnew.tistory.com/355 [스타크래프트1] 주관적으로 매겨본 스타판 저그 프로게이머 TOP 10 순위 * 옛날에 메이저리그 투수, 타자 TOP 10이나 NBA 역대 선수 TOP 10 순위를 매긴 적이 있었는데 이번

neovisionnew.tistory.com

 

* 예전에 스타1 프로게이머 순위를 매겨봤는데 이번에는 스타2 프로게이머 순위를 써보겠습니다. 스타2 E스포츠는 첫 GSL이 시작된 2010년 하반기부터 GSL, IEM, EWC 대회까지 진행된 2024년까지 이어졌다고 여기겠습니다.

 

* 스타2판은 스타1판에 비해 시즌별 체제가 달라져서 순위를 매기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한 시즌에 GSL이 2번만 개최되거나 3번만 개최되거나 연도별로 바뀌기도 했고, 연말결산 대회가 2012시즌에 출발해서 2011시즌까지 활약했던 선수들의 커리어를 비교하기 애매하거나, GSL 대회보다 '시즌 파이널' 대회가 중요했을 때도(2013시즌) 있고요. GSL 말고도 스타리그나 SSL 같이 동시에 진행되었던 다른 개인리그 대회도 무시할 수 없고요.

 

* 1년에 양대리그 6회 정도로 매년 진행되었던 스타1판은 다르죠. 스타1판도 시대가 다르지만, 드래프트 세대 이전에는 겜TV, 게임큐, 프리미어리그 등이 많았다면 드래프트 세대 이후에는 그런 대회 비중이 낮아지고 프로리그 비중이 높아졌습니다. 이를 치환해서 비교하기 어렵지 않고요.

 

* 스타2가 E스포츠로서 전성기였던 자유의 날개 시절에 GSL 대회에는 초창기에 매달 열리다시피 할때도 있었습니다. 또 GSL이라는 대회가 2018시즌 이전, 이후를 동급으로 쳐줘야 하나 의문이 들고요. 2017년까지야 한국 스타2판이 곧 세계 스타2판이나 다름이 없었지만, 세랄 같은 해외 선수들의 등장이후로는 세계 최고의 대회라는 점에서 금이 가기 시작했고요. ESL 마스터즈 등의 대회가 GSL에 비해 꿇릴 게 없어졌으니... 굳이 비유하자면 LOL 판에서도 LPL도 2018시즌부터 LCK와 맞먹는 가치로 인정받았던 역사가 있죠.

 

http://aligulac.com/

 

Aligulac

Due to security concerns, we have redeployed our entire setup on a fresh install with newer software. Because of this there may be undiscovered bugs. If you find any, please let us know by reporting an issue on github. Thank you for your patience!

aligulac.com

https://www.youtube.com/watch?v=dvJ4FdWj0kM

 

 

* 10위부터 1위까지 역순으로 순위를 포스팅했습니다. 통산 전적 출처는 'Aligulac' 홈페이지입니다. 통산 상금 출처는 'Esportsearning'이고요.

 

* 상금, 전적, 주요 대회 경력으로 작성해보겠습니다. 전적은 2025년 2월 6일까지 기록된 자료로 작성했는데, 그냥 참고사항으로 보시길 바랍니다. 승률도 적었고 매치(다전제) 기록도 따로 적었습니다. 오프라인 중요 대회랑 온라인 이벤트 대회랑 같은 가치의 전적이 아니니까요. 코로나가 터진 이후로는 온라인 경기 비중이 높아져서 전적은 온라인, 오프라인 경기를 그냥 합산했습니다. 그리고 폄하할 생각은 없지만 세랄 같은 해외 선수는 승률에서 한국 선수들보다 조금 더 유리하기도 했고요. 전적보다는 상금이 신빙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상금은 소수점 이하 기록은 생략했습니다.

 

* 대회는 리퀴피디아 위키 기준으로 무조건 프리미어급 대회 이상에 한정했으며, 그 마저도 WCS, EPT 포인트 반영에 미미하거나 상금도 높지 않은 대회는 (ex - 홈스토리컵)는 생략했습니다. 준우승 기록은 GSL 본 대회나 그보다 높은 대회에 한정했습니다. 횟수가 딱히 적히지 않은 건 1회 우승을 말합니다.

 

 

10위 리카르도 로미티(Reynor), 저그

상금: 804,459달러(역대 6위)

전적: 4193승 2172패 승률 65.9% / 매치 기준 1869승 745패 71.5%

주요 대회 커리어: WCS 글로벌 파이널 준우승, IEM 월드 챔피언십 1회 우승 1회 준우승, Gamers8 우승, WCS 서킷 1회 우승, ESL 투어 마스터즈 대회 2회 우승

 

결산 대회 결승 무대에 3차례나 진출했을 만큼 경쟁력 있는 해외 게이머. ESL 투어뿐 아니라 WCS 체제 시절에도 성과를 꾸준히 냈습니다. 한국 GSL도 계속 도전한 대단한 선수였습니다.

 

 

9위 전태양(TY), 테란

상금: 700,247달러(역대 8위)

전적: 1962승 1298패 60.2% / 매치 기준 811승 453패 64.2%

주요 대회 커리어: IEM 월드 챔피언십 우승, WESG 우승, GSL 2회 우승 2회 준우승

 

한 시즌(2020년)에 GSL을 2번이나 제패했고, 2017년에 IEM과 WESG라는 억대 우승 상금이 걸린 대회를 제패하면서 2017년 상금 1위를 달성했죠. 여기 있는 선수들 중 스타1판에서도 어린 나이에 주목받기도 했습니다.

 

 

 

8위 주성욱(Zest), 프로토스

상금: 690,082달러(역대 9위)

전적: 5386승 3023패 64.0% / 매치 기준 2173승 904패 70.6%

주요 대회 커리어: IEM 월드 챔피언십 1회 우승 2회 준우승, GSL 2회 우승 2회 준우승, 케스파컵 우승, GSL 슈퍼 토너먼트 우승

 

프로토스로서 유이한 GSL 2회 우승자. 상금으로 한정하면 프로토스 역대 1위죠. 2020~2021 IEM에서 한 번이라도 우승했으면 커리어도 역대 프로토스 1위로 놓았을 것입니다. 군단의 심장 - 공허의 유산 두 시리즈 모두 잘했죠.

 

 

 


7위 김유진(sOs), 프로토스

상금: 664,999달러(역대 10위)

전적: 1313승 877패 60.0% / 매치 기준 588승 342패 63.2%

주요 대회 커리어: WCS 글로벌 파이널 2회 우승, IEM 월드 챔피언십 우승, WCS 시즌 파이널 준우승, GSL 2회 준우승, 핫식스컵 라스트 빅매치 대회 우승

 

몇 안 되는 연말 결산 대회 2회 우승자. 여기에 IEM 월챔 우승자. 군단의 심장 시리즈로 한정하면 역사상 최고의 선수라고 말해도 무방합니다. 결산 대회 커리어는 어마무시한데 반대로 GSL 우승이 없는 게 아쉬운 프로게이머였습니다.

 

 

6위 정종현(Mvp), 테란

상금: 414,994달러(역대 27위)

전적: 535승 332패 61.7% / 매치 기준 239승 124패 65.8%

주요 대회 커리어: GSL 4회 우승 2회 준우승, 블리즈컨 우승, WCG 우승, WCS 유럽 대회 우승

 

스타2 초창기 자유의 날개 시리즈 최강의 선수. 스타2 E스포츠가 세계 E스포츠에서 가장 전성기일때 1인자의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여기 순위에서 5위까지 올라가도 부정하지 않겠습니다. 스타2 초창기 흥행에서 정종현은 실로 대단했죠.

 

 

 

 

5위 박령우(Dark), 저그

상금: 1,190,491달러(역대 3위)

전적: 4568승 2313패 66.4% / 매치 기준 1823승 682패 72.8%

주요 대회 커리어: WCS 글로벌 파이널 1회 우승 1회 준우승, WESG 준우승, GSL 3회 우승 1회 준우승, ESL 투어 마스터즈 대회 우승, SSL 우승, GSL 슈퍼 토너먼트 우승, 크로스 파이널 우승

 

스타2 통산 상금 랭킹 3위. WCS 시즌 포인트 1위를 2차례나 경험한 선수. 더 이상 GSL이 열리지 않는다면 마지막 GSL 우승자로 남을 것입니다. 세랄, 이병렬, 레이너와 함께 '4대 저그'라고 불릴만 합니다.

 

 

4위 이신형(INnoVation), 테란

상금: 795,694달러(역대 7위)

전적: 3427승 1873패 64.7% / 매치 기준 1459승 618패 70.3%

주요 대회 커리어: WCS 시즌 파이널 우승, WESG 우승, GSL 3회 우승 1회 준우승, GSL vs The World 우승, SSL 우승

 

자유의 날개 시절에도 GSL 4강을 경험했고, 군단의 심장 & 공허의 유산 시리즈에서도 GSL을 1번 이상은 우승한 롱런의 제왕. 연말 결산 대회에서 4강을 밟지 못한 만큼 유독 WCS - IEM 대회에서 아쉬웠습니다.

 

 

3위 조성주(Maru), 테란

상금: 1,356,151달러(역대 2위)

전적: 2408승 1273패 65.4% / 1050승 433패 70.8%

주요 대회 커리어: WESG 우승, GSL 8회 우승 4회 준우승,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ESL 투어 마스터즈 대회 2회 우승, SSL 우승, GSL 슈퍼 토너먼트 우승

 

GSL 역대 최다 우승자이자 온게임넷 스타리그 마지막 우승자. GSL 8회 우승은 정종현과 이병렬의 우승 횟수를 합친 것과 같습니다. 결산 대회에서 딱 1번만 우승했어도 GOAT를 노려볼 수 있었던 프로게이머. 참고로 조성주의 WCG 우승은 정종현의 경우와 다르게 초청전으로 진행되어서 생략했습니다. 아시안게임 금메달은 선발전을 우승했지만 상금이 따로 없어서 생략...

 

 

2위 이병렬(Rogue), 저그

상금: 1,078,144달러(역대 4위)

전적: 2908승 1976패 59.5% / 매치 기준 1162승 666패 63.6%

주요 대회 커리어: WCS 글로벌 파이널 우승, IEM 월드 챔피언십 2회 우승, GSL 4회 우승, GSL 슈퍼 토너먼트 2회 우승

 

커리어로 치면 1위와 가장 근접한 한국 선수입니다. 결승전의 사나이라는 점에서 스타1에는 최연성 감독이 있다면 스타2에는 이 선수가 있습니다. 2022시즌 군입대로 커리어가 끊긴 게 너무나 아쉽습니다. 하필 제대하고 나서 판이 거의 사라져버리기 직전이니...

 

 

1위 요나 소탈라(Serral), 저그

상금: 1,663,925달러(역대 1위)

전적: 2996승 1187패 71.6% / 매치 기준 1256승 333패 79.0%

주요 대회 커리어: WCS 글로벌 파이널 우승, IEM 월드 챔피언십 2회 우승, E스포츠 월드컵 준우승, WESG 준우승, WCS 서킷 6회 우승, ESL 투어 마스터즈 대회 5회 우승, GSL vs THE WORLD 2회 우승

 

  The Greatest Of All Time. 명실공히 역사상 가장 위대한 스타크래프트2 선수. 스타2판의 실질적 마지막 시즌에도 IEM 우승 - EWC 준우승 등 정상급 기량이었는데 커리어가 중단된 게 아쉬운 선수. 세랄의 2018시즌은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E스포츠 역사상 가장 위대한 시즌이었습니다. 여기 적힌 커리어 이외에도 세랄이 통산 프리미어급 대회를 26회나 우승했는데, 세랄을 제외하면 20번을 넘은 선수도 없습니다.

 


 

  솔직히 가장 고민되었던 게 역대 10위인 Reynor의 자리였습니다. 역대 9명까지는 순위 선정이 그렇게 고민되지 않았습니다. 임팩트냐 꾸준함이냐 저울질하기 힘들었죠. 어윤수, 변현우, 김준호, 김대엽 등의 여러 선수들과 저울질했습니다.

 

  그래도 Reynor가 결산 대회에서 3번이나 결승에 진출했다는 점, 클렘이 우승한 E스포츠 월드컵의 전신 대회인 'Gamers8' 우승 경험도 있고(테란들이 우승한 WESG 대회에 밀릴 게 없다고 생각합니다), 상금 랭킹도 상위권이라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스타1에서도 프로토스가 가장 약한 종족이었는데, 스타2에서도 역사가 되풀이되었네요. GSL 우승 횟수도 압도적으로 적고, 무엇보다 2016년부터 작년까지 WCS 글로벌 대회, IEM 월드 챔피언십, WESG, EWC까지 압도적인 상금 대회는 전부다 테란과 저그만 나눠먹었죠.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