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Next Question | '싱가포르그랜드스매시' 태그의 글 목록
반응형
안녕하세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려고 노력하며, 새로운 지식과 상상력을 접하길 원하는 1인입니다. 스포츠에 관심이 많으며 주기적으로 헌혈하는 헌혈자이기도 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TODAY TOTAL
250x250
싱가포르그랜드스매시 (3)
[탁구] 2025 WTT 이벤트(ITTF 월드 투어) 일정(도하 세계선수권, 그랜드 스매시 대회)
728x90
반응형

https://www.ittf.com/2025-events-calendar/

 

2025 Events Calendar - International Table Tennis Federation

January 2-5 Jan: WTT Youth Contender San Francisco 2025 (USA) 6-11 Jan: WTT Star Contender Doha 2025 (QAT) 8-11 Jan: WTT Youth Contender Linz 2025 (AUT) 11-17 Jan: WTT Contender Muscat 2025 (OMA) 13-16 Jan: WTT Youth Contender Tunis 2025 (TUN) 17-19 Jan: W

www.ittf.com

https://worldtabletennis.com/events_calendar

 

World Table Tennis

 

worldtabletennis.com

  작년에는 배드민턴 BWF 투어 일정과 테니스 ATP 투어 일정만 올렸습니다. 이번에는 탁구 ITTF(WTT) 투어 일정도 함께 포스팅해보겠습니다. 2025년은 홀수해로 탁구 세계선수권이 있고, WTT 출범 이후 최초로 한 해에 4개의 그랜드스매시 대회가 열릴 예정입니다. 그 밖에 예정된 대회로는 중요도 순으로 4월 중순의 탁구 월드컵, 11월 말의 파이널스, WTT 챔피언스, WTT 스타 컨텐더, WTT 컨텐더 등이 있습니다. 그 외에

  올해 예정된 대회만 추려보면 WTT 챔피언스 대회는 6회, 스타 컨텐더는 4회, 컨텐더는 7회 개최될 예정입니다. 컨텐더 대회까지만 다루고 그 아래 유스 대회 등은 생략하겠습니다.

우승 기준으로 지급되는 WTT 랭킹 포인트는

 

올림픽, 세계선수권, 그랜드스매시 - 2,000 포인트

탁구 월드컵, 파이널스 - 1,500 포인트

WTT 챔피언스 - 1,000 포인트

WTT 스타 컨텐더 - 600 포인트

대륙 선수권 대회(예시 - 아시아선수권, 아시안게임) - 500 포인

WTT 컨텐더 - 400 포인트

  이렇습니다. 이 대회들에 한정해서 다뤄보고 그 아래 유스급 대회는 생략하겠습니다. 단 대륙별 대회는 아시아 대회만 작성하겠습니다.

 

WTT 스타 컨텐더 도하(카타르)

1월 6일 ~ 1월 11일

WTT 컨텐더 무스카트(오만)

1월 11일 ~ 1월 17일

 

싱가포르 그랜드 스매시

1월 30일 ~ 2월 9일

선전(중국)시 아시안컵 대회

2월 19일 ~ 2월 23일

WTT 챔피언스 충칭(중국)시

3월 11일 ~ 3월 16일

WTT 챔피언스 인천(대한민국)

4월 1일 ~ 4월 6일

WTT 컨텐더 타이위안(중국)시

4월 7일 ~ 4월 13일

마카오 탁구 월드컵

4월 14일 ~ 4월 20일

WTT 컨텐더 튀니스(튀니지)

4월 22일 ~ 4월 27일

 

도하(카타르) 세계선수권 대회

5월 17일 ~ 5월 25일

WTT 컨텐더 스코페(북마케도니아)

6월 9일 ~ 6월 15일

WTT 스타 컨텐더 류블랴나(슬로베니아)

6월 17일 ~ 6월 22일

WTT 컨텐더 자그레브(크로아티아)

6월 23일 ~ 6월 29일

미국 그랜드 스매시

7월 3일 ~ 7월 13일

 

WTT 컨텐더 라고스(나이지리아)

7월 21일 ~ 7월 27일

 

WTT 스타 컨텐더 상파울루(브라질)

7월 29일 ~ 8월 3일

WTT 챔피언스 재팬

8월 7일 ~ 8월 11일

유럽 그랜드 스매시

8월 14일 ~ 8월 24일


WTT 컨텐더 알마티(카자흐스탄)

9월 1일 ~ 9월 7일

WTT 챔피언스 마카오

9월 9일 ~ 9월 14일

중국 그랜드 스매시

9월 25일 ~ 10월 5일

인도 탁구 아시아선수권(단체전 한정)

10월 11일 ~ 10월 15일

WTT 스타 컨텐더 런던(영국)

10월 20일 ~ 10월 26일

 

WTT 챔피언스 몽필리에(프랑스)

10월 28일 ~ 11월 2일

WTT 챔피언스 독일

11월 4일 ~ 11월 9일

WTT 파이널스(개최지 미정)

11월 25일 ~ 11월 30일


 

  우선 특이점은 탁구 아시안컵 대회가 3년 만에 재개최될 예정이고, 그랜드 스매시 대회가 7월 - 8월 - 9월 순서로 매달 개최될 예정이네요. 4개 대회가 싱가포르 - 미국 - 유럽 - 중국인데 놀라운 건 미국에서 개최된다는 점입니다. WTT 랭킹에 미국 선수는 찾아볼 수 없고 미국 내 탁구 인기도 많지 않은데도 메이저 대회가 열릴 예정이니까요. 유럽이야 탑랭커들이 꽤 있지만요. 작년처럼 사우디에서 그랜드 스매시 대회가 이어질 줄 알았습니다.

  그 밖에 탁구 아시아선수권 대회가 3년 연속으로 열리는데 이번에는 단체전만 개최됩니다. 아시아선수권도 세계선수권처럼 한 해에는 단식과 복식을, 그 다음 해에는 단체전만 열리는 방식으로 변경되고 매년 진행될 것 같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4월에 열리는 인천 WTT 챔피언스 대회가 백미입니다. 4월에는 탁구 월드컵이 있고, 연이어 5월에 가장 중요한 세계선수권 대회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파이널스 대회, WTT 챔피언스 독일 대회, 인도 아시아선수권 대회 등의 경우에는 아직 정확한 개최지가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2025년부터 1년에 그랜드스매시 대회가 4번 열리는 것으로 고정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탁구도 탑랭커들 사이에서는 변수가 적지 않은 스포츠인데, 과연 4개의 그랜드 스매시 대회를 연속으로 우승하는 선수가 등장할지 모르겠습니다. 이 걸 한 해에 싹쓸이하면 더더욱 대단하고요. 테니스에서는 캘린더/논-캘린더 그랜드슬램이라고 부르죠. 무엇보다 탁구는 골프나 테니스와 다르게 올림픽, 세계선수권 대회가 더욱 중요한 대회라 그랜드스매시를 평정해도 올림픽과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하지 못하면 평가 절하될 수도 있고요.

  WTT 측에서 그랜드스매시 대회 권위를 높이려고 올림픽과 세계선수권과 동일한 포인트를 책정한지 오래인데, 탁구 팬들 사이에서 탁구 월드컵보다 높은 대회라고 받아들여질지 미지수입니다. 오랫동안 올림픽, 세계선수권, 탁구 월드컵이 3대 대회로 자리잡았는데 2020년대에 들어서 변화되었으니까요.

  다른 스포츠로 비유하면 사이클에서 세계선수권 대회가 지로, 투르와 함께 '트리플 크라운'이라고 3대 대회로 불렸는데, 1990년대 후반 부엘타가 일정을 가을로 변경하는 등의 노력으로 3대 그랑 투르로 자리잡았죠. 사이클 팬들 중에는 여전히 세계선수권이 부엘타보다 더 권위 있는 대회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죠.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탁구] 2024 싱가포르 그랜드 스매시 대회 진행 상황(어차피 우승은 왕추친? / 임종훈-장우진 팀, 신유빈 선수 경기 일정)
728x90
반응형

https://www.singaporesmash.com/home

 

Singapore Smash

 

www.singaporesmash.com

 

  작년처럼 올해 싱가포르 스매시 그랜드 대회도 3월 중순에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재 기준으로 남녀 단식 8강, 남녀 복식 4강, 혼합 복식 결승만 남았습니다. 현재 단식에는 신유빈 선수 한 명만 생존했습니다. 우선 여성 단식 8강 대진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쑨잉샤(1) vs 천싱통(6): 3월 15일 금요일 오후 3시 30분 예정

왕이디(4) vs 치엔티엔이(8): 3월 15일 금요일 오후 2시 예정

이토 미마(12) vs 왕만유(3): 3월 15일 금요일 오후 8시 5분 예정

신유빈(7) vs 첸멍(2): 3월 15일 금요일 오후 10시 5분 예정

  주요 선수들은 다 올라왔습니다. 랭킹 TOP 8 중 일본 여자 탁구의 간판인 햐아타 히나가 1라운드에서 같은 일본 선수인 히라노 미우에게 떨어진 걸 제외하면 다 8강에 올라왔죠. 히라노 미우도 랭킹 18위에 얼마 전 세계선수권에서 왕이디를 꺾은 강자란 걸 감안하면 이변도 아닙니다. 쑨잉샤 쪽 대진의 중국 네 선수들은 아예 한 게임도 내주지 않았죠.

  우리나라의 신유빈 선수는 첸멍과의 경기를 앞두고 있습니다. 랭킹 1위 ~ 4위 중 쑨잉샤와 왕이디랑은 11번 붙어서 모두 패배했지만 첸멍과 왕만유와는 전적이 없죠. 16강에서 주천희 선수도 첸멍에게 1게임을 따냈던 것처럼, 1게임을 따거나 듀스까지 가는 게임 등 지더라도 저력을 보여줬으면 좋곘습니다. 그 밖에 서효원 선수는 16강까지 가는 선전을 보여줬지만 왕이디에게 가로막혔고, 또 16강에서 김나영 선수는 왕만유에게 탈락했습니다. 2라운드에서 이시온 선수와 전지희 선수는 각각 쑨잉샤와 첸멍을 일찍 만나서 일정을 마감했습니다.


 

  반면 남자 단식은 혼란스럽습니다. 8강 대진은 이렇습니다.

티모 볼(43) vs 량징쿤(5): 3월 15일 금요일 오후 9시 20분 예정

패트릭 프란지스카(25) vs 린윤주(8): 3월 15일 금요일 오후 2시 45분 예정

펠릭스 르브론(6) vs 샤라스 카말 아찬타(88): 3월 15일 금요일 오후 4시 15분 예정

당치우(10) vs 왕추친(2): 3월 15일 금요일 오후 10시 50분 예정

  판젠동이 2라운드에서 린쉬동에게 떨어지고, 마룽도 2라운드에서 패트릭 프란지스카에게 떨어졌습니다. 작년 대회 결승 진출자들이 짐을 싸는 파란이 벌어졌습니다. 마룽이야 나이가 많다고 해도 판젠동은 최근 아시아선수권 - 아시안게임에 이어 단식 대회에서만 자국 선수들에게 3번 연속으로 무너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네요. 랭킹 1위답지 않습니다. 왕추친과의 랭킹 포인트가 900점 남짓이라, 그가 결승만 가도 랭킹 1위는 바뀝니다.

  그 밖에 랭킹 4위 린가오위안도 이상수 선수에게, 6위의 휴고 칼데라노도 조대성 선수에게 1라운드에서 3-1로 졌습니다. 9위의 하리모토는 16강에서 량징쿤을 만나서 풀게임 끝에 떨어졌습니다. 우리나라 선수 중 장우진 선수, 임종훈 선수, 안재현 선수 등은 아쉽게 1라운드에서 조기 탈락하여 다음 기회를 노리게 되었습니다. 가장 높이 올라간 선수는 조대성 선수로 16강까지 갔습니다.

  아무튼 8강 선수 중에는 중국 선수 중에는 왕추친과 량징쿤만 남았고, 오히려 독일에서 세 선수가 올라가는 다소 어색한 모습이네요. 여기서 왕추친이 우승하면 현재 최강자는 왕추친으로 바뀌게 됩니다.

 

참고로 싱가포르 그랜드스매시 대회는 남녀 단식 8강부터는 7게임으로 진행되고 복식 경기는 모두 5경기입니다.

 

 


  복식에서는 한국 선수들이 역시 만리장성과의 대결을 앞두고 있습니다.

남자 복식 4강

판젠동/왕추친 vs 마티아스 팔크/안톤 칼버그: 3월 15일 금요일 오후 2시 예정

장우진/임종훈 vs 마룽/린가오위안: 3월 15일 금요일 오후 5시 35분 예정

혼합 복식 결승

임종훈/신유빈 vs 왕추친/쑨잉샤: 3월 15일 금요일 오후 8시 예정

  또 여자 복식에서도 주천희 선수가 일본의 키하라 미유와 한 조를 이뤄서 4강까지 진출했습니다. 역시 오늘 15일 오후 5시에 경기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지난 대회에서 장우진-임종훈 팀은 준우승했는데 역시 복식에서 일찍 떨어지지 않았네요. 혼합 복식에서도 한국 팀이 4강에서 하리모토 토모카즈/하야타 히나 팀을 3-1로 이긴 것도 대단합니다. 중국 팀을 상대로도 후회없는 경기를 남기기를 기대합니다.

 

  추가 소식으로 탁구 월드컵이 4년만에 재개됩니다. 개최지는 마카오고 4월 15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되어서 기대가 크네요. 한때 올림픽, 세계선수권 다음 가는 위상의 대회였고 결국 없어지나 싶었는데 다행입니다. 몇 달 뒤 올림픽도 있고 올해 탁구판에는 걸린 게 많네요.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탁구] 현재 WTT 싱가포르 그랜드 스매시 대회 상황(임종훈-장우진 팀 복식 결승 진출, 판젠동 vs 왕추친 vs 마룽)
728x90
반응형

https://worldtabletennis.com/eventInfo?subEvt=MDOUBLES&selectedTab=Draws&eventId=2629

 

World Table Tennis

 

worldtabletennis.com

 

  현재 탁구 WTT 투어 최상위 대회인 싱가포르 그랜드 스매시 대회가 거의 막바지에 이르렀습니다. 우선 혼성 복식 대회는 쑨잉샤 - 왕추친 중국 팀의 우승으로 끝났습니다. 남성, 여성 복식 대회는 결승만 진행되면 끝이고, 단식 대회는 4강과 결승만 남겨졌습니다.

  무엇보다 남성 복식 대회에 대한민국의 장우진 - 임종훈 팀이 결승까지 진출했습니다. 상대는 판젠동 - 왕추친의 중국 팀이라 우승은 힘들어보이지만 대단한 성과입니다. 재작년 세계선수권에서 대한민국 최초로 남자 복식 준우승이라는 성과를 이루더니 이번에도 대단한 업적을 해냈습니다.

  그리고 작년 싱가포르 그랜드스매시에 비해서 대한민국 탁구 선수들의 성적이 훨씬 좋습니다. 남자복식 이외에도 여자 단식에서 주천희 선수가 8강에서 랭킹 1위 쑨잉샤를 상대로 풀세트까지 가는 대단한 경기력을 보여줬고, 여자 복식에서 전지희 - 신유빈 팀이 4강까지 갔습니다. 지난 번에는 1라운드 ~ 2라운드에서 일찍 떨어져서 아쉬웠는데 이번에는 기분이 좋네요.

  여자 단식과 여자 복식은 당연하게 중국 선수들이 독식했고, 남자 단식 역시 판젠동, 마룽, 왕추친이 4자리 중 3자리를 차지했습니다. 남은 한 자리는 비중국 선수 중 손꼽히는 선수인 브라질의 휴고 칼데라노가 진출했습니다. 우리나라의 임종훈 선수와 이상수 선수는 하필 판젠동과 마룽을 각각 만나서 셧아웃 패배를 당했습니다.

  왕추친은 작년 컵 파이널스에서 우승했고, 판젠동/마룽 판도의 강력한 도전자로 자리매김한지 오래입니다. 작년 컵 파이널스 4강에서 마룽을 이기고, WTT 챔피언스 마카오 대회 결승에서 판젠동을 이겼고 현재 그들 다음으로 랭킹 3위에 올랐습니다. 작년 10월 쯤에 랭킹 11위였던 걸 생각하면 무시무시한 기세입니다.

  마룽은 현재 한 세트도 내주지 않고 4강에 무난하게 안착했습니다. 3주 전 있었던 올해 세계선수권 중국 국대 선발전 결승에서도 판젠동을 3-0으로 압도한 걸 생각하면 GOAT의 올림픽 쓰리핏도 불가능이 아닌 것으로 보이네요. 정말 대단합니다.

  여자 단식에서는 쑨잉샤 vs 왕만유 / 장 루이 vs 치안티엔위의 대진입니다. 쑨잉샤 vs 왕만유 대결은 재작년 세계선수권 결승에서 왕만유가 이겼던 경기가 떠오르네요. 대회와 컵 파이널스에서 계속 4강 안에든 랭킹 3위 왕이디, 랭킹 2위이자 디펜딩 챔피언 첸멍은 충격의 2라운드 탈락을 맛봤습니다. 남자 단식에서도 랭킹 4위 하리모토가 16강(3라운드)에서 0-3으로 탈락하면서 다소 허무했습니다.

남자 단식 4강(괄호 안은 WTT 랭킹)

판젠동(1) vs 왕추친(3): 3월 18일 오후 8시 경기

마룽(2) vs 휴고 칼데라노(5): 3월 18일 오후 8시 45분 경기

여자 단식 4강(괄호 안은 WTT 랭킹)

쑨잉샤(1) vs 왕만유(4): 3월 18일 오후 4시 30분 경기

장 루이(16) vs 치안티엔위(22): 3월 18일 오후 3시 45분 경기

남자 복식 결승

판젠동 - 왕추친 vs 임종훈 - 장우진: 3월 18일 오후 3시 경기

여자 복식 결승

 

쑨잉샤 - 왕만유 vs 첸멍 - 왕이디: 3월 18일 오후 9시 30분 경기

  몇 시간 뒤 남자 복식에서 임종훈 장우진 두 선수가 만리장성을 상대로 후회 없는 경기를 펼치길 응원하겠습니다. 남자 단식도 왕추친이 과연 판젠동 마룽 양강체제를 삼두정치로 바꿀지 흥미진진하고요. 여자 단식도 쑨잉샤가 랭킹은 1위인데 재작년 올림픽 - 세계선수권과 작년 그랜드스매시에서 계속 준우승을 했습니다. 이번에는 화룡점정을 찍을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