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Next Question | '임요환이윤열' 태그의 글 목록
250x250
반응형
안녕하세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려고 노력하며, 새로운 지식과 상상력을 접하길 원하는 1인입니다. 스포츠에 관심이 많으며 주기적으로 헌혈하는 헌혈자이기도 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TODAY TOTAL
임요환이윤열 (2)
[E스포츠, 스타1] 역대 스타리그, MSL 결승전 직전의 Elo 레이팅
728x9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RFK9skCUIls&t

 

  최근에 살펴본 Elo 레이팅 시리즈 글은 예전 스타크래프트1 E스포츠를 끝으로 일단락하겠습니다. 그 중 양대리그였던 스타리그와 MSL 결승진출자들의 Elo 레이팅을 봤는데, 결승 이전 날로 잡아보겠습니다.

  

  Elo 자료는 유튜브 영상으로 찾아봤습니다. 당연하지만 538 사이트의 북미스포츠나 클럽축구의 'Clubelo', 국대축구의 'World Football Elo Ratings' 같이 경기나 날짜별로 따로 나와 있지 않아서 유튜브 영상을 하나하나 일시중지 하면서 정리했습니다. 사실 이 마저도 스타1 게이머 1위부터 10위까지 나와 있어서 그 아래 순위의 게이머가 개인리그에 올라간 경우는 찾아볼 수도 없었고요.

 

https://tl.net/tlpd/korean/players/detailed-elo#tblt-316-1-3-DESC

 

TLPD - BW Korean - Players' Detailed ELO

 

tl.net

 

  비슷한 경우가 팀리퀴드에서 정리한 스타1 Elo인데 이건 또 아쉬운 게 선수별 최전성기(피크 포인트) Elo만 나와 있습니다. 그마저도 아쉬운 건 팀리퀴드와 위의 유튜브의 Elo의 K값이 달라서 숫자가 조금씩 다릅니다. 그나마 팀리퀴드는 종족전 별로 나와 있는 건 다행이긴 합니다.

 

  스타리그와 MSL 별로 따로 표를 정리했습니다. Elo 기준은 결승 직전 점수입니다. 이번에는 우승한 게이머(=게이머1)를 왼쪽에, 준우승한 게이머(=게이머2)를 오른쪽에 정리했습니다. 우승한 게이머가 Elo 레이팅이 높으면 파란색, 그렇지 않으면 빨간색으로 표시했습니다.

 

  혹시 몰라서 말씀드리자면 스타리그는 1999년 코리아 오픈부터 2012년 티빙 스타리그까지, MSL은 2002년 KPGA 1차 투어부터 2011년 ABC마트 MSL까지입니다. 이 범위 안에서 스타리그는 34번, MSL은 26번의 개인리그가 열렸습니다.

 

  Elo 레이팅이 1위부터 10위 안에 해당되는 경우라면 Elo 레이팅의 괄호 안에 순위 숫자를 표시했습니다.(예시 - Elo 레이팅이 2200에 그 때 7위: 2200(7)) 을 찾기 힘든 경우는 ' - '로 표시했습니다.

 

 

  스타리그나 MSL 모두 반반으로 나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문제는 종족전 별로 따로 Elo 레이팅을 구할 수도 없고, 맵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어 Elo 상으로 앞서는 선수가 이겼네, 뒤쳐지는 선수가 이겼네 세부적으로 따지는 건 그렇게 큰 의미가 없어보이네요.

 

  그래도 몇 가지 특징을 정리하면 Elo 상으로 1위 vs 2위가 맞붙었던 결승전은 스타리그에서는 마재윤 vs 이윤열 결승, 이제동 vs 송병구 결승, 이영호 vs 이제동 결승전이 있습니다. 엄밀히 말씀드리자면 초기 스타리그도 2차례 해당되지만 이 때는 누락된 전적이 많아 신뢰하기 어렵고요.

 

  MSL에서는 이윤열 vs 홍진호 결승, 최연성 vs 이윤열 결승, 박태민 vs 이윤열 결승, 그리고 2010시즌 3연속으로 이어진 이제동 vs 이영호 리쌍록 결승이 여기에 해당되고요. 역시 10시즌에는 이영호>이제동>>>>>미만잡 구도가 맞네요.

 

  Elo 상으로 1위였고 그대로 우승까지 한 선수는 임요환이 2번, 이윤열이 4번, 최연성이 2번, 박성준이 1번, 마재윤이 2번, 김택용이 1번, 송병구가 1번, 이제동이 2번, 이영호가 5번입니다.

 

  다시 봐도 송병구가 결승에서 약해지는 약점만 아니었어도 역사가 달라졌을 거라 확신합니다. 스타리그에서 4번 결승 모두 Elo로 리드하고 있었는데 겨우 1번 이겼으니까요. 홍진호처럼 맵이 안 좋았다 이유도 못 대니... 필자는 송병구 굉장히 높이 평가하는데 결승전에서의 모습은 변명의 여지가 없습니다.

 

  Elo로 10위 바깥이었는데 우승까지 한 경우는 So1 스타리그 오영종, 신한은행 스타리그 한동욱, 다음 스타리그 김준영, 에버 스타리그 박성준, 진에어 스타리그 허영무, 우주 MSL 마재윤, 곰tv MSL 시즌 1 김택용, 곰tv MSL 시즌 3 박성균이 있습니다. 허영무나 박성준처럼 오래 부진했는데 우승을 한 경우도 있고, 스타리그에서 오영종이나 MSL의 김택용과 박성균은 로열로더(처음으로 그 대회 본선에 올라가서 우승까지 바로 거머쥐는 경우)에 해당되는 게 묘하네요. 특히 김택용과 박성균은 대회 시작 때 전혀 예상하지 못한 우승자였죠.

 

  이러니 저러니 해도 마재윤과 김택용의 3.3 결승이 가장 큰 이변은 맞네요. Elo 10위 바깥이었는데 우승을 한 경우는 있지만 상대가 Elo 레이팅 1위였던 건 곰tv MSL 시즌 1의 김택용밖에 없습니다. 단순 Elo 레이팅 1위가 아니라 당시 마재윤은 압도적인 최강자였으니...

 

  참고로 위 영상의 선수별 Elo 레이팅 1위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윤열 811일 / 임요환 379일 / 최연성 372일

마재윤 357일 / 홍진호 146일 / 기욤 117일 / 전상욱 109일

김동수 92일 / 국기봉 69일 / 변성철 58일 / 박성준 54일 / 서지훈 50일

강민 49일 / 최진우 48일 / 최인규 44일 / 강도경 39일 / 김정민 38일

조용호 18일 / 박태민 18일

 

이영호 1135일 / 이제동 311일 / 김택용 252일 / 송병구 102일

 

  전상욱이 말년에도 본선 16강 갈 만큼 진짜 꾸준했고 2005년에는 승률 70% 가까이 찍었는데 정점을 찍지 못한 게 천추의 한입니다. 비교되는 이병민, 변형태도 스타리그 결승은 갔는데 아쉽네요.

 

  그리고 50일 이상 Elo 1위에 서지훈이 있는데, 역시 서지훈은 단순 1회 우승 및 1회 결승 진출자라고 낮게 평가될 선수가 아닙니다. 스타리그 우승 이외에도 WCG 우승과 개인리그 4강 3번 + 8강 9번 + 준수한 프로리그 + 괴물이었던 팀리그 등 진짜 대단한 선수였죠.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E스포츠, 스타1] 2월 22일(황월 황황일, 콩월 콩콩일) 기념 홍진호에 대한 이야기
728x90
반응형

 

  진짜 다시 오지 않을 2022년 2월 22일 22시 22분을 기념하면서 글을 씁니다.

 

  사실 홍진호는 스타크래프트 프로계의 갤주, 밈, 2인자, 2의 대명사, 준우승 등으로 소비되지만 현역 시절 진짜 대단한 선수였습니다. 초창기 저그 1인자로 군림했었고, 임요환과 이윤열과의 승부에서도 막상막하의 경쟁을 이어갔고요.

 

  실제로 케스파랭킹 월별 저그 1위 횟수는 이제동 다음이고, 양대리그 기준으로 이윤열과의 상대전적은 9승 9패로 동일하고, 임요환 상대로도 25대 27로 전적이 큰 차이나지 않습니다. 2001년에 스타리그 준우승한 선수가 2006년 스타리그에서 4강까지 간 것도 롱런할 만큼 롱런했습니다. 모든 스타1 게이머 다승 순위는 이윤열 - 임요환 - 이제동 - 송병구 다음 5위라는 점도 눈에 띄는 기록이고요.(물론 김택용과 이영호는 스타1이 갑자기 망하지 않았으면 홍진호 다승 기록 가볍게 넘었을 것입니다.)

 

https://pgr21.com/free2/55900

 

[기타] [스타1] 홍진호와 결승전 맵 - 2의 악연

홍진호가 양대 개인리그 결승에서 맞이한 맵의 목록과 해당 맵들의 밸런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좌측에 있는 숫자가 저그의 승률입니다. 출처는 와이고수. 1. 코카콜라 OSL 네오 홀 오브 발할라 - 3

pgr21.com

 

  그리고 당시 기울어진 맵을 빼놓으면 섭섭하겠죠? 진짜 공교롭게도 홍진호의 결승 5번 전적 수가 22회인데 이 중 저그에 유리한 맵이 고작 2번이었습니다. 나머지는 대부분 테란맵이고요. 물론 종족의 불리함이야 초창기에도 저그보다 프로토스가 불리했고, 세세하게 따지면 박정석과 강민은 홍진호보다 더 손해를 봤다고 말할 수 있어서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여담이지만 테란에 유리한 맵인 네오 정글스토리에서 홍진호가 22승 4패로 패왕으로 군림한 것도 훌륭한 점이고요.

 

  홍진호 커리어에서 뜨거운 감자는 '스타리그 왕중왕전', 'MSL 위너스 챔피언십' 우승 경력일 것입니다. 가치를 판단하기 참 복잡한 문제입니다. 이 두 대회는 사실 왕중왕전이라는 의미 그대로 1시즌 단위로 가장 잘한 선수들 몇 명 뽑고, 최고의 선수들 사이에서 왕중의 왕을 가리는 대회였습니다. 사실 스타1에만 왕중왕전격 대회가 있었던 게 아니었죠. 우선 예를 들어 테니스의 파이널스, 배드민턴의 투어 파이널, 탁구의 컵 파이널스(과거 그랜드 파이널스) 등도 비슷한 대회입니다.

 

  다만 테니스의 파이널스가 최상위 대회인 그랜드슬램과 동등한 대접을 받지 않듯이, 스타1의 왕중왕전도 양대리그 정규 대회와 동등한 대접을 받지 않는 것도 이해가 갑니다. 배드민턴, 탁구의 왕중왕전 형식의 대회도 올림픽과 세계선수권에 비하면 한참 쳐지고요. 특히 탁구의 왕중왕전인 그랜드 파이널스는 WTT 체제가 출범하기 전까지 올림픽 - 세계선수권 - 탁구 월드컵 다음의 4위 대회로 여겨졌죠.

 

 

  다만 이것도 'Case by Case'인 게, 스타2의 경우는 특이하게도 이와 비슷한 블리자드컵 대회가 정규 GSL 대회랑 거의 똑같은 대접을 받고 있습니다. 블리자드컵도 GSL 역사에 포함되어 이 때 우승한 문성원이 2회 우승자 취급을 받고 있죠. 개인적으로 스타2판을 자유의 날개 후반부부터 군단의 심장 중반부까지 봐서 기억합니다.

 

 

  스타2 판과 다르게 스타1 왕중왕전이 인정받지 못한 건 첫째는 지속성의 문제라고 봅니다. 비단 왕중왕전만 아니라 사실 스타1 초창기에 인정받지 못한 대회가 많았죠. 게임큐, 겜TV, KIGL, KBK 마스터즈, 프리미어리그 같은 대회는 당시에는 인정받았을 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재평가를 받았죠. 한 마디로 '이벤트전 대회' 취급을 받게 되었습니다.

 

  드래프트 세대로 올수록 그런 대회들이 사라지는 대신 프로리그 체제가 많아졌습니다. 스타리그와 MSL은 오래 살아남아 자주 열려서 양대 메이저 개인리그 대회로 자리잡았죠. 그에 비해 왕중왕전 등은 사라진 대회라 쳐주지도 않게 되었습니다. 07시즌부터 택뱅리쌍 팬덤이 여론을 주도하고 선수를 평가할 때, 스타리그와 MSL이 갑이고 왕중왕전은 안중에도 없게 된 것이죠. 사실, 초창기에는 초청전 형식의 대회가 많아 평가하기 곤란한 점도 있고요.

 

  차라리 왕중왕전이 매년 열렸으면 이야기가 달랐을 것입니다. 최연성이나 이제동 같은 선수들이 왕중왕전 커리어를 쌓았으면 왕중왕전도 양대리그와 완전히 동급은 아니어도 그에 준하게 쳐줬겠죠. 테니스의 그랜드슬램 - 파이널스 차이 정도로요. 아무튼 왕중왕전이 자주 열려서 대부분의 스타1 유명 게이머들이 참가했으면 홍진호의 평가도 높았을 것입니다. 선수 평가라는 명분에서 "네가 응원하는 선수는 이 대회 우승 못 했잖아? 홍진호는 여기서 우승했음."이라고 어필할 수 있으니까요. 그런데 현실은 최연성, 박성준, 택뱅리쌍 팬들에게 있어서 "그런 대회(왕중왕전) 우리 선수들은 기회도 없었는데 왜 인정해주냐?"라는 이야기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사실 분야에 관계없이 스포츠의 인물, 대회 평가는 팬덤 싸움이 크게 주도하는데, 왕중왕전을 인정해주는 쪽과 그렇지 않은 쪽을 비교하면 후자가 훨씬 앞서게 된 것입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0303310063848787

 

홍진호 "감격우승"/ KTEC대회 임요환 꺾고 "만년2위" 징크스 벗어

 

www.hankookilbo.com

 

  사실 저는 스타리그 왕중왕전보다 MSL 쪽 위너스 챔피언십 쪽이 아쉬웠습니다. 왕중왕전 상금은 1천만원으로 정규 스타리그 우승 상금과 동일하지만, 위너스 챔피언십 상금은 정규 MSL(당시 이름은 KPGA)보다도 많았거든요. 당시 MSL은 600만원 ~ 800만원 하는 대회였지만 위너스 챔피언십은 1,000만원이었습니다. LOL판의 롤드컵도 권위가 어마무지한 게 상금이 크니까 이건 홍진호가 억울할 만한 일입니다.

 

  더욱이 왕중왕전은 겨우 6명이서 겨뤘지만 MSL 위너스 챔피언십은 10명이서 겨룬 거라 더욱 구색도 맞고요.(공교롭게도 스타2 블리자드컵과 인원이 같네요.) 결승전 상대도 조정현인 왕중왕전에 비해 위너스 챔피언십은 라이벌 임요환을 꺾고 우승한 것도 감안할 수 있고요.

 

 

  결론적으로 홍진호는 세간의 평가보다 더욱 위대한 선수입니다. 저 두 대회 이외에도 스니커즈 올스타리그, 벼룩시장 Find All배 챌린저 오픈 스타리그, ITV 우승, WCG 준우승도 있고요. 양대리그에서도 결승을 5번이나 갔고요. 단순 스타성 만으로 E스포츠 명예의 전당에서 '아너스(Honors)'로 영구결번 된 게 아니죠.

 

  한 때는 저도 홍진호를 저평가한 적이 있었는데, 꼼꼼히 살펴보니 잘못 알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솔직히 3회 이상 우승자들만 제외하고 홍진호가 그 이외의 어떤 선수들과 비교해도 꿇리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단도직입적으로 박정석, 조용호, 강민, 송병구, 정명훈, 허영무 등보다 위로 놓아도 개인 취향이라고 봐요. 그리고 임요환 만큼은 아니지만 홍진호도 스타리그 준우승 하던 시절 MSL이 없어서 양대리그 기준으로 다소 손해보기도 했고요.

 

  아무튼 E스포츠의 전설이니 앞으로도 오랫동안 활동하는 모습을 보고 싶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