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Next Question | '3.3혁명' 태그의 글 목록
250x250
반응형
안녕하세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려고 노력하며, 새로운 지식과 상상력을 접하길 원하는 1인입니다. 스포츠에 관심이 많으며 주기적으로 헌혈하는 헌혈자이기도 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TODAY TOTAL
3.3혁명 (2)
[E스포츠, 스타1] 역대 스타리그, MSL 결승전 직전의 Elo 레이팅
728x9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RFK9skCUIls&t

 

  최근에 살펴본 Elo 레이팅 시리즈 글은 예전 스타크래프트1 E스포츠를 끝으로 일단락하겠습니다. 그 중 양대리그였던 스타리그와 MSL 결승진출자들의 Elo 레이팅을 봤는데, 결승 이전 날로 잡아보겠습니다.

  

  Elo 자료는 유튜브 영상으로 찾아봤습니다. 당연하지만 538 사이트의 북미스포츠나 클럽축구의 'Clubelo', 국대축구의 'World Football Elo Ratings' 같이 경기나 날짜별로 따로 나와 있지 않아서 유튜브 영상을 하나하나 일시중지 하면서 정리했습니다. 사실 이 마저도 스타1 게이머 1위부터 10위까지 나와 있어서 그 아래 순위의 게이머가 개인리그에 올라간 경우는 찾아볼 수도 없었고요.

 

https://tl.net/tlpd/korean/players/detailed-elo#tblt-316-1-3-DESC

 

TLPD - BW Korean - Players' Detailed ELO

 

tl.net

 

  비슷한 경우가 팀리퀴드에서 정리한 스타1 Elo인데 이건 또 아쉬운 게 선수별 최전성기(피크 포인트) Elo만 나와 있습니다. 그마저도 아쉬운 건 팀리퀴드와 위의 유튜브의 Elo의 K값이 달라서 숫자가 조금씩 다릅니다. 그나마 팀리퀴드는 종족전 별로 나와 있는 건 다행이긴 합니다.

 

  스타리그와 MSL 별로 따로 표를 정리했습니다. Elo 기준은 결승 직전 점수입니다. 이번에는 우승한 게이머(=게이머1)를 왼쪽에, 준우승한 게이머(=게이머2)를 오른쪽에 정리했습니다. 우승한 게이머가 Elo 레이팅이 높으면 파란색, 그렇지 않으면 빨간색으로 표시했습니다.

 

  혹시 몰라서 말씀드리자면 스타리그는 1999년 코리아 오픈부터 2012년 티빙 스타리그까지, MSL은 2002년 KPGA 1차 투어부터 2011년 ABC마트 MSL까지입니다. 이 범위 안에서 스타리그는 34번, MSL은 26번의 개인리그가 열렸습니다.

 

  Elo 레이팅이 1위부터 10위 안에 해당되는 경우라면 Elo 레이팅의 괄호 안에 순위 숫자를 표시했습니다.(예시 - Elo 레이팅이 2200에 그 때 7위: 2200(7)) 을 찾기 힘든 경우는 ' - '로 표시했습니다.

 

 

  스타리그나 MSL 모두 반반으로 나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문제는 종족전 별로 따로 Elo 레이팅을 구할 수도 없고, 맵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어 Elo 상으로 앞서는 선수가 이겼네, 뒤쳐지는 선수가 이겼네 세부적으로 따지는 건 그렇게 큰 의미가 없어보이네요.

 

  그래도 몇 가지 특징을 정리하면 Elo 상으로 1위 vs 2위가 맞붙었던 결승전은 스타리그에서는 마재윤 vs 이윤열 결승, 이제동 vs 송병구 결승, 이영호 vs 이제동 결승전이 있습니다. 엄밀히 말씀드리자면 초기 스타리그도 2차례 해당되지만 이 때는 누락된 전적이 많아 신뢰하기 어렵고요.

 

  MSL에서는 이윤열 vs 홍진호 결승, 최연성 vs 이윤열 결승, 박태민 vs 이윤열 결승, 그리고 2010시즌 3연속으로 이어진 이제동 vs 이영호 리쌍록 결승이 여기에 해당되고요. 역시 10시즌에는 이영호>이제동>>>>>미만잡 구도가 맞네요.

 

  Elo 상으로 1위였고 그대로 우승까지 한 선수는 임요환이 2번, 이윤열이 4번, 최연성이 2번, 박성준이 1번, 마재윤이 2번, 김택용이 1번, 송병구가 1번, 이제동이 2번, 이영호가 5번입니다.

 

  다시 봐도 송병구가 결승에서 약해지는 약점만 아니었어도 역사가 달라졌을 거라 확신합니다. 스타리그에서 4번 결승 모두 Elo로 리드하고 있었는데 겨우 1번 이겼으니까요. 홍진호처럼 맵이 안 좋았다 이유도 못 대니... 필자는 송병구 굉장히 높이 평가하는데 결승전에서의 모습은 변명의 여지가 없습니다.

 

  Elo로 10위 바깥이었는데 우승까지 한 경우는 So1 스타리그 오영종, 신한은행 스타리그 한동욱, 다음 스타리그 김준영, 에버 스타리그 박성준, 진에어 스타리그 허영무, 우주 MSL 마재윤, 곰tv MSL 시즌 1 김택용, 곰tv MSL 시즌 3 박성균이 있습니다. 허영무나 박성준처럼 오래 부진했는데 우승을 한 경우도 있고, 스타리그에서 오영종이나 MSL의 김택용과 박성균은 로열로더(처음으로 그 대회 본선에 올라가서 우승까지 바로 거머쥐는 경우)에 해당되는 게 묘하네요. 특히 김택용과 박성균은 대회 시작 때 전혀 예상하지 못한 우승자였죠.

 

  이러니 저러니 해도 마재윤과 김택용의 3.3 결승이 가장 큰 이변은 맞네요. Elo 10위 바깥이었는데 우승을 한 경우는 있지만 상대가 Elo 레이팅 1위였던 건 곰tv MSL 시즌 1의 김택용밖에 없습니다. 단순 Elo 레이팅 1위가 아니라 당시 마재윤은 압도적인 최강자였으니...

 

  참고로 위 영상의 선수별 Elo 레이팅 1위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윤열 811일 / 임요환 379일 / 최연성 372일

마재윤 357일 / 홍진호 146일 / 기욤 117일 / 전상욱 109일

김동수 92일 / 국기봉 69일 / 변성철 58일 / 박성준 54일 / 서지훈 50일

강민 49일 / 최진우 48일 / 최인규 44일 / 강도경 39일 / 김정민 38일

조용호 18일 / 박태민 18일

 

이영호 1135일 / 이제동 311일 / 김택용 252일 / 송병구 102일

 

  전상욱이 말년에도 본선 16강 갈 만큼 진짜 꾸준했고 2005년에는 승률 70% 가까이 찍었는데 정점을 찍지 못한 게 천추의 한입니다. 비교되는 이병민, 변형태도 스타리그 결승은 갔는데 아쉽네요.

 

  그리고 50일 이상 Elo 1위에 서지훈이 있는데, 역시 서지훈은 단순 1회 우승 및 1회 결승 진출자라고 낮게 평가될 선수가 아닙니다. 스타리그 우승 이외에도 WCG 우승과 개인리그 4강 3번 + 8강 9번 + 준수한 프로리그 + 괴물이었던 팀리그 등 진짜 대단한 선수였죠.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E스포츠, 스타1] 3.3혁명도 14년이나 지났네요.
728x9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846c5jgsZSo

https://www.youtube.com/watch?v=n-Irke89WyA

https://www.youtube.com/watch?v=Nbi_omDXloI

 

   E스포츠 역사상 최대 이변인 마재윤과 김택용의 MSL 결승전. 엄청난 이변이라 결승 날짜인 2007년 3월 3일의 날짜를 따서 '3.3혁명'이라고 불리죠.

   이 때는 스타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기도 해서 실시간으로 못봤습니다. 특히 MSL은 집의 TV의 채널이 엠겜이 나왔다가 안 나왔다가 이래서 관심이 별로 없었고요. 하지만 결승 당일날 저녁, 포털사이트 검색어 1위에 '김택용 우승'이 떡하니 있는 걸 보고 충격을 받았죠. 3연벙은 라이브로 봤는데 3.3혁명은 실시간으로 못 본 게 아쉬웠네요.

   다른 스포츠에서도 3.3혁명 만큼의 이변은 거의 접하지 못했습니다. 비교대상이라면 클럽축구에서 레스터시티 EPL 우승, 국대축구에서 그리스 2004 유로 우승, LOL에서 TPA의 시즌 2 롤드컵 우승이 있네요. 단일 경기의 충격으로는 2004 AL 챔피언십에서 레드삭스가 양키스를 역스웝한 시리즈, 브라질 독일 7:1 월드컵 4강 경기, 슈퍼볼 51에서 패트리어츠가 3:28의 압도적인 점수 차를 뒤집은 것도 비견됩니다. 스타1 내에서 비교대상은 3연벙 밖에 없고요. 최근으로 오면 지난 월드컵에서 우리나라가 독일을 이긴 것도 기억나네요.

 

   양대리그 결승 이전에 주목받았던 건 스타리그 결승이었고, MSL 결승은 마재윤이 당연히 이길 것이라는 예측이 절대다수였죠. 그래서 마재윤이 이윤열을 꺾고 스타리그 우승을 하자마자 본좌로 인정받았습니다. 아직 MSL 결승은 하지도 않았는데 말이죠. 게임으로 치면 스타리그 결승이 메인보스 매치, MSL 결승이 보너스 매치 느낌이랄까요. 아무튼 마재윤이 앞으로 판을 지배할 것이라 예상했는데 일주일 만에 김택용이 혁명이라는 말 그대로 마재윤의 시대를 끝냈죠. 다른 최강자들이 전성기가 끝나도 추후에 결승에는 한 번은 올랐는데, 이에 비해 마재윤은 결승 한 번을 못 갔죠. 결국 2010년에 어떻게 되었는 지는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3.3은 단순한 혁명을 넘어서 천지개벽이었던 것이, 이후 드래프트 세대가 올드 세대를 완전히 몰아내고 새로운 세계를 만들죠. 기성세대들은 경쟁에서 밀려나고 낭만의 시대가 끝났으며, 정교함을 중시하는 신세대들이 스타판을 장악했죠. 스타판을 두 개 나누는 기준이 3.3혁명으로 이전은 올드 세대, 이후는 드래프트 세대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자세히 나누면 ~2000년 까지의 선사 시대, 2001 시즌부터 2003 시즌까지의 양대리그+잡대회 시대, 2004 시즌 부터 2006 시즌까지 본격적인 프로리그&그랜드파이널의 팀 대항전 리그가 확립된 시대, 2007 시즌부터 마지막 스타리그의 드래프트 세대로 4등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무튼 큰 일을 해낸 택신 덕분에 드래프트 세대에는 토스의 불리함이 그나마 온화되죠. 적어도 김택용과 송병구가 겪었던 토스의 불리함이 강민과 박정석이 겪었던 불리함보다야 나을 테니까요. 이 결승 이후 김택용은 박성균과 송병구에게 패배하면서 3연속 MSL 우승과 스타리그 결승 진출이 좌절되며 본좌로드가 미완으로 끝나죠. 물론 T1 이적해서 다시 MSL 우승하지만 텀이 길어지고 T1에서는 우승 한 번으로 끝납니다. 물론 프로리그에서는 엄청나게 잘했지만...

   스타1판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남아 있는 이상 3.3혁명은 계속 회자될 것 같습니다. 대이변이기도 했고 한 시대의 끝을 알리는 경기였으니까요.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