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전 2003~2012년 추억의 스타크래프트1 E스포츠 프로리그 강팀들을 써보려고 합니다. 스타2 프로리그는 잘 몰라서 '2012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까지만 다뤄보겠습니다. 두 편으로 나누어서 쓰겠습니다. 우선 스타1을 전후로 나누는 2007시즌 시작 전까지를 다뤘습니다.
* 강팀과 아쉬웠던 팀으로 분류했고, MBC게임 쪽 팀리그도 감안했습니다. 팀의 강함 기준은 그랜드파이널 우승에 많은 비중을 두었습니다.
* 좀 더 자세하게 알고 싶으시면 나무위키의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항목( https://namu.wiki/w/%EC%8A%A4%ED%83%80%ED%81%AC%EB%9E%98%ED%94%84%ED%8A%B8%20%ED%94%84%EB%A1%9C%EB%A6%AC%EA%B7%B8 )을 보시면 됩니다.
강팀 1. SKT T1(전신 - 동양 오리온~4U)
* 프로리그 첫 대회 우승팀이자 최다 우승팀.
* 2005 전기리그부터 2006 전기리그까지 4연속 우승(정규리그 3연속 우승+그랜드파이널 우승)은 '오버트리플크라운'이라는 명칭으로 불렸습니다.
* 한창 스타1이 인기있던 2005 그랜드파이널에서 방점을 찍으며 당대 최강팀으로 인식되었습니다.
* 2006 그랜드파이널까지 5번의 우승과 2번의 준우승, 팀리그에서도 2번의 우승을 기록했습니다.
* 최종보스 최연성을 필두로 임요환, 전상욱, 박태민, 박용욱, 김성제, 성학승, 고인규 등이 속해있던 팀이었습니다.
강팀 2. 한빛 스타즈(나중에 웅진 스타즈로 인수)
* 프로리그 첫 대회 준우승팀.
* 2004 그랜드파이널 우승을 포함한 두 번의 우승과 한 번의 준우승, 또 팀리그에서도 한 번의 준우승을 기록했던 팀입니다.
* SKT T1을 상대로 우승한 2004 프로리그 1라운드 결승은 최고의 명시리즈 중 하나였습니다.
* 2004 그랜드 파이널 우승으로 당대 강팀 중 하나라는 사실을 입증했습니다.
* 강도경, 박경락, 조형근 등 저그라인이 막강했던 팀이고 테란의 나도현, 토스의 박대만이 주축이었습니다. 초창기에는 박정석과 변길섭이 소속되기도 했습니다.
강팀 3. GO(Greatest One, 팀 명이 슈마GO이기도 했다가 나중에 CJ에 인수되어 CJ엔투스로 변했습니다.)
* 5차례 진행되었던 팀리그에서 3회 우승을 기록했던 팀.
* 프로리그에서도 1번의 우승과 1번의 준우승을 달성했습니다.
* 이재훈, 강민, 박영민, 박태민, 이주영, 마재윤, 서지훈, 전상욱, 변형태 등 3종족 모두 명단이 화려했던 팀이었습니다.
* 하지만 팀 사정 때문에 박태민과 전상욱은 SKT로, 강민은 KT로 이적했습니다. 서지훈의 맹활약으로 팀리그에서 다회 우승을 기록할 수 있었죠.
* 마재윤과 변형태가 한창 잘할 때 2006 후기리그에서 준우승에 그친 게 천추의 한이었던 팀이기도 했습니다.
강팀 4. MBC게임 히어로(전신 - POS)
* SKT T1과 유일하게 06시즌까지 진행된 프로리그 중 연속 우승에 성공한 팀.
* POS 시절 박성준의 비중이 어마어마했습니다. 박지호, 김택용, 염보성, 이재호가 테란과 토스 라인을 맡으면서 강팀으로 도약했습니다.
* 스타판을 전후반으로 06시즌 마지막, 팀도 그랜드파이널에서 SKT T1을 격파하고 소속된 김택용은 마재윤을 MSL 결승에서 격파하며 이 팀은 팀으로서도 소속된 선수로서도 새 시대를 열었습니다.
아쉬웠던 팀 1. KTF 매직엔스(훗날 KT 롤스터로 팀명이 변화)
* 2005 그랜드파이널의 준우승을 비롯해서 프로리그 3회 준우승, 팀리그 1회 준우승을 기록한 팀.
* 정규리그 23연승을 통해 2004 3라운드와 2005 전기리그에서 정규시즌은 전승이었으나 플레이오프 결승만 가면 통한의 준우승을 기록했습니다.
* 당시 많은 투자로 김정민, 이병민, 변길섭, 박정석, 강민, 홍진호, 조용호 등 선수 명단은 화려했으나 SKT T1에게 밀리는 2인자 이미지만 각인되고 말았습니다.
* 강민은 에결의 강자였고 박정석은 팀플에서 많은 전적을 쌓기도 했습니다.
아쉬웠던 팀 2.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전신 투나 SG, 나중에 위메이드의 인수로 위메이드 폭스로 변화)
* 프로리그 1회 우승(2004 2라운드 우승)과 2회 준우승 + 팀리그 1회 준우승을 기록했던 팀이었습니다.
* 막강 에이스 이윤열을 비롯하여 안기효, 심소명, 이병민이 뒤를 받쳐주던 팀이었습니다. 투나 SG 시절에는 홍진호가 함께하기도 했습니다.
* 2004 그랜드파이널에서 너무나 아쉬운 준우승을 기록하며 위의 제 개인적인 강팀 명단에 들지는 못했습니다.
* 열악했던 스타판 초기에 많이 발생했던 일이지만 특히나 이윤열은 감독 때문에 선수 시절 고생을 많이 하기도 했습니다.
'스포츠 > E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E스포츠] 옛날 스타1판 시즌별 종족밸런스 분석 - 1 - (연도별) (0) | 2021.03.09 |
---|---|
[E스포츠, 스타1] 스타크래프트1 옛 시절의 강팀들(2007 전기리그~2012 시즌 프로리그까지) -2- (0) | 2021.03.06 |
[E스포츠, 스타1] 3.3혁명도 14년이나 지났네요. (0) | 2021.03.03 |
영미권 사이트의 리그오브레전드 선수들 평가(역대 TOP 10, 2016~2020 연도별 평가) (0) | 2021.03.03 |
[E스포츠, 스타1] 역대 종족별 TOP10 (0) | 2021.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