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Next Question | '일상' 카테고리의 글 목록 (22 Page)
반응형
안녕하세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려고 노력하며, 새로운 지식과 상상력을 접하길 원하는 1인입니다. 스포츠에 관심이 많으며 주기적으로 헌혈하는 헌혈자이기도 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TODAY TOTAL
250x250
일상 (363)
건강검진에 추천하는 병원 - 구리시 장스365의원
728x90
반응형

http://jangs365.com/default/

 

장스 365의원

HOSPITALFORFAMILY 가족친화적 의료기관으로 다가갈 것이며, 아이들에게 건강과 희망을 선물하고 부모님들께는 신뢰와 믿음 그리고 안전을 책임지도록 끊임없이 노력하여 성장해 나아갈 것을 약속

jangs365.com

 

 

  이번 달에 일반건강검진을 받았습니다. 직장에서 검진 결과를 제출하라는 통보를 받고 구리시에 있는 '장스365의원'이라는 병원으로, 건강검진센터 이외에도 소아과, 내과, 산부인과, 유방갑상선 등의 진료과가 있는 종합병원입니다.

 

  매번 때가 되면 이 병원에서 검진받습니다. 검진받으면서 살짝 긴장되기도 했고 미처 사진을 못 찍었지만 여기서 하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어서 소개합니다.

 

https://m.blog.naver.com/doctorbae75/222316782187

 

국가건강검진 문진표 안내드립니다.

국가건강검진 문진표 안내 국가건강검진 문진표를 미리 작성해오시면 검진 시간을 절약하실 수 있어 예시 ...

blog.naver.com

  병원 지하 1층에 건강검진센터가 있습니다. 가서 건강검진 하러 온 사람이라는 걸 확인하고 이름,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를 썼습니다. 외투를 옷걸이에 걸어놓고 반팔 차림이 되었습니다. 바로 건강검진 문진표를 받았습니다. 문진표에 나와 있는 대로 주소를 상세하게 작성하고, 꼼꼼하게 보면서 가족력과 질환력 항목에는 해당되는 게 없다는 걸 보고 그냥 넘어갔습니다. 흡연과 음주 여부도 아니오 칸에 체크했고, 신체활동(운동)에서는 평소에 운동하는 시간 숫자를 적었습니다.

  문진표를 작성하면 허리둘레, 시력, 청력 검사를 순서대로 진행했습니다. 혈압을 측정했고, 요검사(소변검사), 혈액검사도 문제 없었습니다. 지혈이 완료된 다음, 마지막으로 흉부 엑스레이 검사까지 마치면 건강검진이 끝납니다. 건강검진이 끝나고 정수기로 가서 한동안 못 마셨던 물을 500ml 정도 섭취했습니다.

 

  우편으로 건강검진 결과지가 왔습니다. 검진일로부터 2주 뒤에 집으로 왔고 결과지는 직장에 제출했습니다. 우편으로 온 뒤에는 국민건강보험 사이트에서도 검진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ST, ALT, 공복혈당이 1년 반 전에 했던 검사보다 낮게 나와서 기분이 좋았습니다.

 

  다만 좋은 콜레스테롤이라는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60mg/dl로 낮은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의심된다는 결과가 신경쓰이네요. 또 필자는 계속 과체중이기도 합니다. 살을 빼야 하는 입장이라 갈 길이 멉니다.

 

  장스365의원에서 봤던 모든 시설이 굉장히 청결했고, 간호사 분들도 굉장히 청결했고, 건강검진에 걸리는 시간도 30분 이하로 일찍 끝나는 편입니다. 구리시에 거주하시는 분들에게 장스365의원을 추천합니다. 검사받을 수 있는 시간이나 요일은 자세한 정보를 찾기 힘듭니다. 일단 필자는 반차를 내고 수요일 오후 3시 30분에 검사받기는 했습니다. 병원 전화번호는 0507-1479-3114이니 관련 시간에 대해 문의하고 싶은 분들이라면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남양주시 진접읍 진접2호공원과 하늘아리공원 모습을 찍은 사진입니다.
728x90
반응형

 

 

 

  처음으로 2023년에 찍은 공원 사진을 올립니다. 최근에 경기도 남양주시에 약속이 있었는데, 가는 도중 공원 몇몇 곳을 돌면서 가볍게 촬영했습니다. 그 중 장현사거리 가까이에 위치한 공원 두 곳만 우선적으로 올려봅니다. 첫 번째는 진접2호공원입니다. 아파트 단지 사이에 있는 공원인데, 나무가 조성된 바깥 쪽을 제외하면 내부 바닥이 전부 포장되어 있었습니다. 공원에 화장실과 놀이기구가 있었고, 운동기구도 있는데 일부는 수리중인지 못 쓰게 묶여 있었습니다.

 

 

 

  장현대교를 넘어서 하늘아리공원으로 갔습니다. 공원 중앙에 호수가 있고 주위로 산책길이 조성된 공원이었습니다. 필자가 산책한 날에 눈이 곳곳에 남아있기도 했습니다. 장현대로 반대쪽 방향으로 정자, 배드민턴장, 운동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공원에 벤치가 정말 많았고, 촘촘한 울타리를 볼 수 있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경기도 수원시 인계예술공원을 한 바퀴 돌면서 사진을 찍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작년 가을에 헌혈의집 수원시청역센터에 갔습니다. 네이버 지도를 통해 수원시청역 지하철 주변에 규모가 큰 공원이 몇 군데 있다는 걸 보고 그 중 인계예술공원에 가서 사진을 찍었습니다. 공원 안에 수원 제1야외음악당, 참전유공자공적비, 수원현충탑, 분수대, 주차장, 그 밖에 야외 전시 작품 등을 구경했습니다.

 

  수원현충탑을 사진을 통해 다시 보니 작년에 독립기념관 갔던 추억도 기억나고, 나라를 위해 전쟁에 참전한 유공자들을 기리는 공적비를 보니 구리시 토평공원에 있는 참전기념탑도 떠올렸습니다. 수원 제1야외음악당을 출발점으로 해서 한 바퀴 돌면서 사진을 찍었는데 푸른 나무가 많아 공기가 정말 맑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천안시 능수버틀공원 & 물총새공원 사진입니다.
728x90
반응형

 

 

  천안에 갔을 때 여긴 올 기회가 많지 않다고 여겨서 헌혈의집과 독립기념관 이외에도 공원 여러 곳을 찍었습니다. 천안종합운동장 주변에 있는 두 공원 사진을 추가로 올립니다. 먼저 능수버들공원입니다. 사방에 아파트 단지와 학교가 있고 공원 내부에 배드민턴장, 농구장, 주차장 등이 있습니다. 그외에 자전거거치대와 물놀이대와 작은 연못도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물총새공원 풍경입니다. 여기에도 같은 디자인의 공원 안내판이 있고 깨끗하게 조성된 한 바퀴 형태의 산책길에 운동기구와 쉼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길게 형성된 인공습지를 감상하며 사진을 찍었고 벤치 위에 그늘을 만들어주는 파라솔도 있었습니다. 나무와 수풀 색깔이 정말 마음에 들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관람 후기] 구 미군기지 용산공원 부분개방부지 방문 후기입니다.(2편)
728x90
반응형

https://www.park.go.kr/front/lodging/introduce.do

 

용산공원

 

www.park.go.kr

https://neovisionnew.tistory.com/657

 

[관람 후기] 구 미군기지 용산공원 부분개방부지 방문 후기입니다.(1편)

https://www.park.go.kr/front/lodging/introduce.do 용산공원 www.park.go.kr 현재 대한민국에는 2만 8천 5백명의 주한미군이 주둔하고 있습니다. 주한미군의 기지는 평택시 대구광역시, 동두천시, 군산시, 칠곡군

neovisionnew.tistory.com

  지난 번 용산공원 부분개방부지 방문 후기를 올렸는데 2편으로 이어서 추가로 사진을 올립니다.

  벽면에 걸린 용산 주변의 풍경 사진을 감상할 수 있었습니다. 공원 입구에도 이 문장이 있었지만 '과거를 회상하고, 미래를 꿈꾸며, 오늘을 바라본다'라는 사진의 문장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거 용산기지 사진도 보입니다.

  건물을 보니 찍은지 오래된 사진으로 보입니다.

  방 곳곳의 벽면에 사진이 걸려 있었고,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았습니다.

 흑백사진도 있었습니다. 필자는 경기도 사람이라 용산에 와 본 적이 많지 않지만, 서울 사람이고 용산에 자주 왕래했던 사람들은 이 풍경이 익숙하려나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밖으로 나오니 벤치와 쉼터를 볼 수 있었고, 철조망 너머로 모래로 덮여 있는 운동장이 보였습니다.

  용산공원 전시공간 건물로 들어갔습니다. 책상 위에 용산기지 관련 역사를 담은 책이 높여져 있었습니다.

  여기서 전쟁기념관과 국립중앙박물관은 여러 차례 방문해봤습니다

  용산공원 미래 설계 지도를 보며 갑자기 지도박물관에 온 느낌이 들었습니다.

  용산기지 땅의 연표도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일제강점기 시대 일본군이 집중적으로 주둔하고 병기지창이 설치된 아픈 역사와, 6.25전쟁 후반기인 1952년에 용산기지가 미군에 정식으로 공여(제공)되었고, 반세기 쯤 지난 2003년 기지가 평택으로 이전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그 이후 지금까지 평택기지 이전과 공원 조성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용산공원 모형도 사진을 찍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도 보입니다.

 

 

  영상실에 앉으면서 용산공원 소개 영상도 스마트폰에 담아뒀습니다.

  버스 정류장과 바베큐 그릴도 예전에 사용된 것 같습니다.

 

 다시 개방된 라운지 한 곳으로 들어가서 내부 모습을 촬영했습니다.

  남은 용산공원(YongSan Park) 조성 계획이 상식적이고 성공적으로 끝나기를 바랍니다.

 아이들이 놀기 좋은 라운지도 보입니다.

 야외에도 놀이터가 있습니다.

  공원 내부에서 갈 수 있는 곳을 한 바퀴 돌아보고 밖으로 나왔습니다.

 

  이렇게 용산공원 부분개방부지 관람을 끝내고 밖으로 나왔습니다. 여기서 이촌역 방면으로 국립한글박물관과 용산가족공원이 있는데 올해 안으로 가보고 싶습니다.

 

  옛 미군기지를 보며 주한미군과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한 번 더 상기할 수 있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천안시 근린공원 도솔광장 풍경입니다.
728x90
반응형

 

 

  작년 가을 천안시에 위치한 근린공원 중 하나인 도솔광장에 가서 간 적이 있었습니다. 산책하면서 사진을 수십 장 찍었습니다. 처음에 육교를 통해 공원으로 갔습니다. 나중에 찾아보니 공원으로 연결된 육교는 딱 하나 뿐이었습니다. 공원 산책로에 시가 적혀있는 조형물이 많았습니다. 공원에서는 '시의 거리'라고 하네요.

 

  공원 내부에 농구장, 배드민턴장, 주차장, 클라이밍장, 반려견놀이터 등 다양한 시설이 있었습니다. 공연 장소로 활용하기 좋은 무대도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필자가 산책한 시간에 수많은 어르신들이 '파크 골프'를 즐기고 계셨고요. '도솔'이라는 이름의 의미는 '부처가 다스리는 정토'라고 합니다. 10세기 초반 이 지역이 태조 왕건에 의해 천안으로 개칭되었지만 원래 이름이 도솔이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관람 후기] 구 미군기지 용산공원 부분개방부지 방문 후기입니다.(1편)
728x90
반응형

https://www.park.go.kr/front/lodging/introduce.do

 

용산공원

 

www.park.go.kr

 

  현재 대한민국에는 2만 8천 5백명의 주한미군이 주둔하고 있습니다. 주한미군의 기지는 평택시 대구광역시, 동두천시, 군산시, 칠곡군 등에 주둔하고 있습니다. 용산기지도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지만 오랫동안 10년 전부터 경기도 평택시의 기지로 이전을 시작했고, 드래곤 힐 랏지 호텔이나 몇몇 미군 시설이 남겨졌지만 한국으로 많은 부지가 반환되었습니다. 2022년 8월 기사에서는 점진적인 과정을 밟고 있고 기지의 31%가 반환이 완료되었다고 하네요.

 

  미군이 쓴 부지는 용산공원으로 조성되고 있습니다. 서빙고역 경의중앙선 1번출구에서 내리시면 '용산공원 부분개방부지' 일대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전체 용산공원 중 남동쪽 부분만 구경할 수 있습니다. 용산공원 부지가 정비 중이고 개방된 곳은 일부라 '부분개방'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생각합니다. 필자도 작년 11월에 가서 돌아봤습니다. 용산공원 부분개방부지 입구에서 이촌역 방향으로 걸어가시면 용산가족공원, 국립중앙박물관이 있습니다.

 

  용산공원 부분개방부지는 매주 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입장하실 수 있고, 매년 1월 1일과 추석 및 설날 연휴에는 휴관입니다. 주소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221입니다. 무료로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만 관람하고 있는 인원이 500명이 차면 대기하실 수도 있습니다. 내부 주차는 불가능하고 주변에 유료주차장이 있어서 지하철 서빙고역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용산공원 부분개방부지는 거의 미군 숙소 부지였던 공간입니다. 외부에서 관람하는 것은 괜찮지만 코로나 상황으로 내부를 구경할 수 없는 건물이 많아서 약간 아쉬웠습니다.

  옛 흑백사진이 보입니다. 용산기지 사진과 미군 사진으로 보입니다.

  건물 사진이 많이 걸려있습니다.

  용산은 희로애락의 역사가 있는 곳입니다. 청일전쟁 전후로 청나라군과 일본군이 주둔했고, 일제강점기 때 일본군 사령부가 있었고, 광복후 미군이 자리잡은 곳이 용산입니다. 20세기 내내 군수 물자 운송의 중심부였고, 남쪽에 한강을 끼고 있으니 조선시대에는 각 지역의 세금으로 거둬들인 곡물이 도달하는 장소였습니다.

  야외의 의자에 앉으면서 미군 숙소 건물이 이렇게 되어 있었구나 라고 실감했습니다.

  실내 라운지 건물 모습입니다. 정말 깔끔한 공간이었습니다. 당연하지만 부분개방부지의 자연과 시설을 훼손하거나 더럽히는 행위는 절대 금지입니다. 흡연과 취사 행위도 마찬가지입니다.

 도로도 보이고, 뛰어놀기 좋은 포장된 바닥도 보입니다.

 

  카페 건물 안에 입장할 수 있습니다.

  2층에도 사람들이 앉아서 커피를 마실 수 있게 되어 있었습니다.

   '오픈하우스'라고 (구) 미군 장교숙소 중에 내부 관람이 가능한 건물도 있었습니다.

   '장소의 기억'의 메시지를 보니 현재 평택 기지 등 한국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과 그 가족, 지인들이 한국에 대해 좋은 기억을 갖고 돌아갔으면 좋겠습니다.

  영어로 된 책도 있었고, 사진액자도 보입니다. 영어책을 보니 학창시절 영어 수업이 떠오르네요.

  한 미군 장교 가족들의 이야기와 마주할 수 있습니다. 딸은 한국어를 배웠고, 아들은 태권도를 익혔고 그들이 한국의 많은 친구들을 사귀었다는 이야기에 흐뭇했습니다. 사진도 여러 장 남겨두었네요.

  미군 장교 가족들의 영상도 빔프로젝터로 볼 수 있었습니다. 다시 보니 영상을 일부라도 찍어서 스마트폰에 저장해 둘 걸 그랬네요. 약간 후회됩니다.

  '사미아 마운츠'라는 여성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한국에서 꿈을 키웠고, 한국과 미국을 오고 갔며 양국에서 성우 일을 했다고 하네요.

   '스캇 포레이'라는 주한미군 직계가족이 1970년대 초반 한국에서 살았던 이야기를 전해주고 있습니다. 한국에 살면서 트럼펫을 배웠고, 수원화성 등 한국의 각종 관광지를 탐방했던 추억이 들어 있네요. 현재 뮤지션입니다.

 미8군 사령관이었던 토머스 밴달 중장과 그의 가족들의 사진도 볼 수 있습니다. 쓰리스타의 스토리라니 후덜덜했고, 여기에서는 조심스럽게 이동했습니다. 매주 금요일마다 서울 곳곳의 산으로 하이킹을 했고, 서울의 각종 박물관과 공원을 관람하고 각종 행사를 탐방했다는 사례가 흥미로웠습니다.

 제이슨 터너 가족들의 사연도 그냥 지나칠 수 없었습니다. 제이슨의 아버지도 주한미군 장교였고, 어머니는 한국사람이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한국에 친척 사람들이 많습니다. 제이슨의 딸은 제이슨이 다녔던 학교에 입학하고 졸업했고, 제이슨의 아내인 샤키라 터너는 교사라고 합니다. 현재는 평택 기지인 캠프 험프리스로 이주했다고 합니다.

  구 미군기지 용산공원 부분개방부지에서 찍은 사진이 많아서 1편과 2편으로 나눠서 올리겠습니다. 2편은 가까운 시일 내에 업로드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경기도 고양시 양촌공원과 왕산공원 사진입니다.
728x90
반응형

 

 

  작년 10월 경기도 고양시에 일이 있어서 갔을 때 3호선 대화역 지하철역 주변의 여러 공원을 산책해서 사진 찍었습니다. 대화역 5번출구 방향의 양촌공원과 왕산공원이 5분 ~ 10분 거리에 차례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우선 양촌공원 사진입니다. 어린이 37호 공원이라는 안내판이 걸려있고 공원 내부에 놀이터, 운동기구, 벤치, 심지어 흔들의자까지 다 있습니다. 여러 곳에 흔들의자가 있고 놀이터도 모래판 위에 하나, 포장된 바닥 위에 따로 하나씩 조성되어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기 적합한 공원입니다.

 

 

 

 

  양촌공원에서 장성중학교 방향으로 몇 분 걸어가면 왕산공원이 있습니다. 양촌공원이 어린이37호 공원인데 왕산공원은 어린이35호로 분류해 놓았네요. 화장실 건물에 온도와 습도를 숫자로 표시해놓은 전광판이 있습니다. 공원 내부 넓은 광장에 운동기구와 그늘이 있는 쉼터가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