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Next Question | '스포츠' 카테고리의 글 목록 (40 Page)
반응형
안녕하세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려고 노력하며, 새로운 지식과 상상력을 접하길 원하는 1인입니다. 스포츠에 관심이 많으며 주기적으로 헌혈하는 헌혈자이기도 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TODAY TOTAL
250x250
스포츠 (374)
[E스포츠, 스타1] 2005시즌~2012시즌 한국e스포츠 대상에서 스타1 선수들 수상 기록 정리
728x90
반응형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_e%EC%8A%A4%ED%8F%AC%EC%B8%A0%EB%8C%80%EC%83%81#%EB%8C%80%EC%83%81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Korea e-Sports Awards)은 e스포츠의 발전과 중흥을 위해 사단법인 한국e스포츠협회KeSPA와 e스포츠 기자단이 공동 주관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ko.wikipedia.org

 

* 예전에 한국 e스포츠대상을 예시로 들면서 LCK와 LPL 선수들의 시상식 수상 경력에 대해 썼는데 이번에는 그 중 스타1 선수들의 수상 경력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 대상 수상자, 각 종족별 수상자, 신인왕, 올해의 팀까지만 정리하고 후보들도 다른 항목에 썼습니다.

 

* 다만 MVP, 즉 대상은 따로 후보가 있는 시상식도 있었고 없는 시상식도 있었네요. MVP 이외에도 검색해봐도 후보를 따로 찾아볼 수 없었던 시상식에는 '다른 후보들' 항목을 따로 표시하지 않았습니다. 혹시나 알고 계실 경우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3회~4회 시상식 중간의 기간이 길어졌는데 이는 프로리그가 연단위 리그로 바뀌면서 벌어졌습니다. 4회 시상식은 08년 4월 ~ 09년 11월까지의 선수들 커리어르 바탕으로 협회에서 선정했다고 나옵니다.

 

 

 

 

기록 출처에 가장 참고했던 사이트를 몇 개 공유합니다.

 

( https://pgr21.co.kr/gamenews/2616?page=60&select_arrange=hit )

 

제1회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시상식을 한다네요.

사단법인 한국e스포츠협회(회장 김신배, www.e-sports.or.kr)는 오는 10일(금) 삼성동 COEX 오디토리움에서 진행될 “제1회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의 각 부문 입상 후보자 명단을 발표했다. 한 해 동안

pgr21.co.kr

( https://pgrer.net/pb/pb.php?id=free2&no=29633&page=42&divpage=10&ss=on&sc=on&keyword=%25EC%258A%25A42&select_arrange=vote )

 

[펌]KeSPA, ‘2006대한민국e스포츠대상’ 후보 명단 발표

■ 시상부문 및 후보현황 [종목] [항목] [후보자] [내용] 특별상 명승부 BEST3 (3개선정) 고인규 (SKT) [SKY]전기결승 5Set(vs박성준_MBC게임)/아카디아 방어 위주로 꾸준히 모은 한방 병력으로 상대 병력

pgrer.net

( http://www.gameshot.net/common/con_view.php?code=GA47d8d719019e7 )

( http://www.clanesu.com/bbs/view.php?id=esu_notice&page=8&sn1=on&divpage=1&sn=on&ss=off&sc=off&keyword=esulMugeN&select_arrange=hit&desc=asc&no=169 )

 

( https://pgr21.co.kr/gamenews/5072?page=3&divpage=4&ss=on&keyword=%EB%8C%80%EC%83%81 )

 

[기타] 한국e스포츠협회, 2012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28일 개최

- 오늘 28일(목) 서울 월드컵경기장 리셉션홀에서 개최- 세계로 뻗어나가는 한국e스포츠의 주역을 만나보는 자리사단법인 한국e스포츠협회(회장 전병헌, http://www.e-sports.or.kr)는 오는 2월 28일(목) 1

pgr21.co.kr

 

  2010년, 2011년 시상식에서는 후보들이 전체적으로 정리되어 있는 기사를 찾기 힘들어서 조금씩 검색해서 찾을 수 있었습니다. 대상을 이영호가 받기는 했는데 다른 종목의 후보들이 제대로 정리된 표가 검색해도 안 나오네요. 스타1 시상식이 있었던 2013년 2월의 시상식은 스타1이 끝났고, 롤은 아직 초기인 시기라 협회에서도 따로 대상은 뽑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2008년 3월 이제동이 대상받을 때 같이 선정된 다른 종목 후보는 워크래프트 3의 장재호와 박준, 스페셜포스 팀 IT BACK-OP, 카운터 스트라이크 팀 eSTRO 입니다. 2009년 12월 재차 이제동이 수상할 때는 박준, 서든어택 esu 팀, 슬러거 서승덕, 스페셜포스 이호우, 피파온라인 김관형, 카운터 스트라이크 위메이드 폭스가 같이 후보로 선정되었습니다.

 

  협회 입장에서는 프로리그를 중시했던 시상식이었습니다. 나머지는 프로리그에 가중치를 두면 약간이나마 납득이 갑니다. 다만 가장 마음에 안 드는 2가지는 2011년 때 김대엽이 송병구를 제치고 후보에 들어간 것과, 마지막 시상식에 이영호가 정명훈을 제치고 테란 수상자로 선정되었던 것인데 지금 생각해도 어이없네요.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E스포츠, LOL] LCK, LPL 연간 시상식과 롤 선수들 수상 기록 정리
728x90
반응형

https://lol.gamepedia.com/Chinese_Yearly_Award

 

Chinese Yearly Award

The Chinese Yearly Award ceremony was held during the Demacia Cup in China from 2014 to 2019. Since 2019, the award ceremony has been held during LPL All-Stars.

lol.gamepedia.com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_e%EC%8A%A4%ED%8F%AC%EC%B8%A0%EB%8C%80%EC%83%81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Korea e-Sports Awards)은 e스포츠의 발전과 중흥을 위해 사단법인 한국e스포츠협회KeSPA와 e스포츠 기자단이 공동 주관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ko.wikipedia.org

 

* 맨 위에 LPL 선수들 연말 시상식 결과를 찾아보고 생각나서 글을 써봤습니다.

 

*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시상식은 2005년 최연성 전 감독이 대상을 받을 때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그게 2016년까지 이어졌는데 2012년부터 2016년 중 4차례 롤 선수들이 받은 결과를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 위의 위키백과 홈페이지에서 롤 선수들은 수상자가 나와 있지 않고 후보들이 없는데 수상자와 후보군 모두 써보겠습니다.

 

* 참고로 2012, 2013 시상식에는 포지션별로 뽑기만 했고 대상 수상자는 따로 뽑지 않았습니다. 다만 2015, 2016 시상식에서 대상 수상자를 뽑기는 했는데 후보군은 따로 선정하지 않았습니다. 2014년 시상식은 삼성 화이트, 블루 선수들이 대대적으로 중국에 진출해서 인지 열리지 않았습니다.

 

* (사실상) LCK 시상식 기록을 정리하는 김에 LPL 시상식 기록도 정리했습니다. LPL 시상식 기록은 MVP, 포지션별 수상, 최고 외국인 선수까지 정리했습니다.

 

 

 

 

 

 

* 이렇게 보니까 2017년부터 LCK 쪽에는 시상식이 열리지 않고 2018년 명예의 전당으로 대신 선수들 업적을 기리는 게 살짝 아쉽기도 하네요.

 

* 아마 LEC와 LCS가 있는 유럽, 북미 쪽에는 이런 시상식은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구글로 관련 검색어를 눌러봐도 안 나오네요.

 

* 2012년과 2013년에도 MVP를 뽑았다면 2013년에는 무조건 페이커일테고, 2012년에는 제 생각에 클템이나 매라 둘 중 한 사람이 받는 게 맞다고 봅니다.

 

* LPL 시상식에는 핵심인 MVP 수상자들이 매번 바뀌어서 아직 2회 수상자가 없습니다. 과연 언제쯤 2회 수상자가 나올지 모르겠네요. 현재 가능성 있는 건 탑으로 포지션 변경을 하고 승승장구하는 샤오후가 가장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스포츠][기사 공유] 역대 최고의 팀 스포츠 선수는 미디어가 결정한다.
728x90
반응형

http://toplevelsports.net/the-media-test-that-defines-the-greatest-team-sport-athletes/

 

The Media Test That Defines the Greatest Team Sport Athletes - Top Level Sports

Photo by Fineas Anton on Unsplash An athlete’s legacy can be largely shaped by how they are treated by the media. Because of this, LeBron James, Lionel Messi, and Cristiano Ronaldo will be remembered as the greatest team sport athletes of this generat

toplevelsports.net

An athlete’s legacy can be largely shaped by how they are treated by the media. Because of this, LeBron James, Lionel Messi, and Cristiano Ronaldo will be remembered as the greatest team sport athletes of this generation. A few other stars can be argued, but two moments from this past week show why these three names stand alone.

The first comes from Game 3 of the NBA Western Conference Semifinals series between the Golden State Warriors and Houston Rockets. With just 50 seconds remaining, the Warriors trail 110-109 with the ball. Clint Capela has been switched on to Kevin Durant on the perimeter, providing an ideal matchup for the former MVP.

As Durant begins to drive, P.J. Tucker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paint to provide help defense. Durant then swings the ball to a wide-open Andre Iguodala in the corner who buries a three, giving the Warriors a two-point lead as a signature “BANG!” call from Mike Breen sounds through millions of televisions.

During the subsequent overtime period, Mark Jackson reflected on the play, noting the difference in reaction if LeBron James had made the same decision as Durant.

“…With 41 points, Kevin Durant, instead of shooting the rock, when it mattered most, made the right play to a wide-open Andre Iguodala. If that’s LeBron James, they call that deferring, and they’re upset.”

He’s absolutely right.

The second moment came in the aftermath of the second leg of the UEFA Champions League semifinals between FC Barcelona and Liverpool. Barcelona took a 3-0 lead into Anfield after a dominant performance in the first leg from Lionel Messi, their star player and a man locked in perpetual competition with Cristiano Ronaldo for the title of the greatest player in the world and perhaps the greatest of all-time.

Messi knocked in two goals during that first-leg match, including a stunning free kick that marked his 600th goal for Barcelona. After the game, all anyone could talk about was Messi’s brilliance, and how blessed we are to be alive in a time where we can witness this legend with our own eyes.

Fast-forward to the reverse fixture, and Liverpool pulls off the unthinkable, outhustling and outmuscling an unprepared Barcelona side to the tune of a 4-0 victory, sending the Reds through to the final 4-3 on aggregate in one of the most stunning comebacks in Champions League history.

Just as quickly as the tide turned in Liverpool’s favor, all the admiration sent Messi’s way turned into criticism, labeling him as a choker and someone who fails to show up for the biggest games. Calls of “he’ll never be the greatest” and “where is your GOAT now?” were all too common.

The same holds true for Ronaldo. Whenever he turns in a great performance, we’ve never seen anything like it. Get knocked out of a tournament, and he’s overrated.

These examples show a unique responsibility placed on LeBron, Messi, and Ronaldo for every element of their team’s successes and failures. No other players are treated quite the same. Every win or loss is presented as a direct reflection of their quality as a player.

LeBron’s expectations are clear – to compete for and win a championship every season. No player in NBA history has had a greater singular impact on his team than LeBron.

In the 2009-10 season, LeBron’s Cavaliers went 61-21, finishing first place in the Eastern Conference. That summer, LeBron joined the Heat during free agency. The following season, the Cavs finished 19-63, last place in the East and a full 42 games worse than the previous season. In total, during the three seasons following LeBron switching teams, his former team finished with a record 90 games worse than they had with LeBron the year before. On average, that is a staggering difference of 30 wins with LeBron versus without him. For eight straight seasons from 2011-18, his team made the NBA Finals.

Perhaps LeBron’s greatest career accomplishment came in the 2016 NBA Finals when in his second year back in Cleveland and a rematch of the previous year’s finals, he gave the city its first championship in over 50 years by defeating a Warriors team which had set a new NBA record with 73 regular-season victories. For many, this title pushed him over the edge, past Michael Jordan.

But what happened in the next two years? Once again, James found himself matched up against a favored Warriors team, now armed with a fourth All-Star and second former MVP, Kevin Durant. Despite herculean efforts, the Warriors won both series – 2017 in five games, and 2018 in just four.

LeBron failed.

Never mind that he averaged a 33-point triple-double in the 2017 series, an astonishing feat. Disregard that he nearly did the same thing in 2018, averaging 34 points, 8.5 rebounds, and 10 assists. Forget that following the 2017 Finals, Kyrie Irving, LeBron’s sidekick for the past three years, requested a trade and became a member of the Celtics. The 2018 Cavaliers had absolutely no business making the finals, yet they did just that, winning game 7 in Boston against Irving’s Celtics to clinch their spot. They were a historically weak NBA Finals team with three fewer All-Stars than their opponent, being carried by one man. But none of that mattered.

LeBron failed.

When you are a player of that caliber and lose, individual performance is disregarded. In the 2015 Finals, the first of the four-straight Warriors-Cavs matchups, Andre Iguodala was awarded Finals MVP, largely for being the primary defender on LeBron James. LeBron still averaged 35.8 points, 13.3 rebounds, and 8.8 assists. When you are so good that the player that guards you in a series gets MVP despite your superhuman performance, just because you lost the series, failure is not an option.

Sometimes, even your successes are viewed as failures. LeBron is often criticized for his finals record, which currently stands at 3-6. It certainly doesn’t help that Jordan went 6-0 in his finals appearances. But Jordan was also favored every time, while James was the underdog in seven of his nine trips, almost always going up against the Spurs and Warriors dynasties.

It makes no sense to use NBA Finals losses (or losses in any championship) as an attack on someone’s resume. Reaching the finals is a huge achievement. To have a 3-6 finals record, one has to make the finals NINE times.

But for people like LeBron, making the Finals isn’t enough. You have to win, and you are expected to do everything, even if that might be to the detriment of your team.

This leads me back to Mark Jackson’s comments on Kevin Durant’s assist to Andre Iguodala. So much of the story is unfortunately told by results-oriented thinking, but if LeBron makes that pass and his teammate misses the shot, everyone questions why LeBron didn’t shoot himself.

In the clutch, stars are supposed to take matters into their own hands, even though that might not be the best decision. That’s just how it goes. The best end up getting blamed for things that aren’t their fault.

Lionel Messi knows this all too well. After seeing the reaction to Barcelona’s 4-0 loss at Liverpool, it seems only reasonable to ask everyone making Messi jokes one question: “Do you know what position he plays?”

As a center forward, Messi bears about as much responsibility for allowing Liverpool’s four goals as Marc-André ter Stegen, Barcelona’s goalkeeper, has credit for Messi’s two goals in the first leg.

Sure, Messi didn’t have a magical moment in the second leg, but he was still able to create a few strong chances and was one of Barcelona’s best players in the match. Barca’s defenders, on the other hand, were simply outclassed and lacked composure.

Of course, Messi could’ve sent Barcelona through to the Champions League Final with just one goal. He certainly could’ve done more. But since matches are scored on aggregate, the second leg is effectively an extension of the first. Two goals over two games is not an underperformance. Once again, there are examples of this with Ronaldo as well – we’re just in the Messi cycle right now.

All of this comes down to the fact that LeBron, Messi, and Ronaldo have extreme, and perhaps unfair expectations placed on them every time they play. No other team sport athlete faces the same kind of pressure, and because of the way we treat them, they will go down as the greatest team sport athletes of this era.

It doesn’t matter if Kevin Durant ends his career with better numbers or more rings. Durant will never have the same individual responsibility as LeBron James. If the Warriors fail to win the title this season, it will be deemed a failure for the Warriors, not KD. (Ignore Durant’s injury last night – this has been the case for the last several seasons, even going back to his Thunder years.)

So why are these three players viewed differently, even when compared to similarly great players in other sports? I think a big part comes down to the ongoing storyline of the GOAT quest. For essentially the last decade, LeBron has been competing to surpass Jordan, and Messi and Ronaldo have gone back and forth one-upping each other.

When you’re trying to be the greatest ever, the stakes are naturally raised. Every win helps the case, every loss harms it, and every performance that isn’t spectacular has to be a choke.

This isn’t the case with Tom Brady. At this stage, most people wouldn’t have a problem with calling Brady the greatest quarterback of all-time. No other quarterback or team has had the sustained dominance of Brady and the Patriots over the last two decades. But even among those who would argue another name, there isn’t a consensus as to who that player is. Joe Montana? Peyton Manning? Aaron Rodgers? The competition is unclear, so Brady is solidified at the top.

Another person that comes to mind is Lee Sang-Hyeok, aka “Faker”. The SK Telecom T1 (SKT) star mid laner led his team to 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s in 2013, 2015, and 2016, and became widely considered the best player in the history of the game.

In the 2017 World Championships, SKT struggled but still managed to reach the finals, led by incredible performances from Faker. However, in the finals against fellow Korean team Samsung Galaxy, SKT’s luck ran out, and the three-time champs were swept 3-0.

It’s nearly the same story as the 2018 Cleveland Cavaliers, except this time, the reaction was different. SKT teammates were criticized for letting down Faker. It’s easier to appreciate greatness for what it is when there isn’t anyone to compare it to.

LeBron, Messi, and Ronaldo may very well be the three greatest team sport athletes of their generation, but even if others are right up there, no one else truly understands what it feels like to be them. They had no say in it – the rapid swings in reception come from us trying to make a story.

My advice? If you want to argue GOATs, wait until after those in the conversation retire. Getting hung up on who’s better than who only takes away from the brilliance on display.

-------------------------------------------------------------------------------------

운동선수의 커리어는 미디어에 의해 어떻게 다루어지는가에 의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르브론 제임스, 리오넬 메시,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는 이 세대에서 가장 훌륭한 팀 스포츠 선수로 기억될 것이다. 몇 명의 다른 별들이 끼어들지도 모르지만,저번 주의 두 사건은 이 세 명의 이름이 왜 혼자 서 있는지를 보여준다.

첫 번째는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와 휴스턴 로켓츠 사이의 NBA 서부 컨퍼런스 준결승 시리즈의 3차전에서 나왔다. 워리어스가 109-110를 기록한 채 50초만 남은 상황. 휴스턴의 클린트 카펠라는 스위치해 듀란트를 전담마크하고 있었다.

듀란트가 드라이브인을 시도할 때, 휴스턴의 P.J. 터커는 페인트 지역 중앙으로 이동하며 도움 수비를 했다. 그리고 듀란트는 코너에서 자유롭던 안드레 이궈달라에게 공을 배급해 3점을 쏘도록 했고, 워리어스에게 수백만 대의 텔레비전을 통해 캐스터가 "BANG!"을 외치게 하며 2점 리드를 이끌어냈다.

이후 연장전이 이뤄지는 동안 전 골스 감독 마크 잭슨은 경기를 복기하며, 르브론 제임스가 듀란트와 같은 결정을 내렸을 때의 대중과 미디어의 반응을 지적했다.

"... 케빈 듀란트는 클러치 상황에서 직접 해결하는 대신 안드레 이궈달라에게 공을 배급했다. 만약 르브론 제임스라면 그들은 그것을 릅탄돌리기라고 부르고, 비웃었을 것."

그가 전적으로 옳았다.

두 번째 순간은 FC 바르셀로나와 리버풀의 UEFA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 2차전 후폭풍이었다. 바르셀로나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와 선수 생활 내내 영원한 경쟁을 벌였던 리오넬 메시가 1차전에서 3-0을 이끌어 낸 후 안필드에서 통합 스코어 3 대 0으로 시작했다.

메시는 바르셀로나에서 600번째 골을 기록했던 아주 놀라운 프리킥을 포함하여, 1차전 경기 동안 두 골을 넣었다. 경기 후, 누구나 메시의 탁월함에 대해 말했으며, 이 전설을 눈으로 직접 목격할 수 있는 시대에 우리가 살아 있다는 것이 얼마나 축복받은 일인가 하는지를 논했다.

하지만 결과는, 리버풀은 4-0 승리를 거두며 바르셀로나 팀을 4-3으로 완파하며 챔피언스리그 역사상 가장 놀라운 결승 진출 경기를 이뤄냈다.

리버풀의 기적으로 상황은 급변했다. 메시가 받았던 모든 찬사는 비난과 조롱으로, 그리고 새가슴에 클러치상황에서 아무 것도 못하는 개쫄보로 낙인찍으며 비판으로 변질시켰다. "그는 결코 최고가 될 수 없을 것이다"와 "지금 너의 GOAT는 어디에 있니?"라는 부름들은 가장 흔한 비난에 불과했다.

이러한 평가는 호날두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가 더없이 기적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준 순간 예전에 없었던 일들이 벌어졌다. 하지만 토너먼트에서 탈락했을 때 그는 과대평가라며 평가절하 되었다.

이 예시들은 팀의 성공과 실패의 모든 요소에 대해 르브론, 메시, 호날두에게 주어진 독특한 책임을 보여준다. 다른 선수들은 이 세 명과 똑같이 대우받지 않는다. 이 세 선수에게 있어 모든 승패는 선수로서의 자질을 직접적으로 반영해버린다.

르브론의 기대는 분명하다. 즉, 매 시즌 우승을 놓고 경쟁하고 우승하는 것이다. NBA 역사상 르브론만큼 그의 팀에 큰 영향을 준 선수가 있을까?

2009-10 시즌에는 르브론의 클리블랜드가 61-21의 성적을 거두며 동부 컨퍼런스에서 1위를 차지했다. 그 해 여름, 르브론은 자유계약선수(FA) 기간 동안 마이애미 히트에 입단했다.

다음 시즌, 클리블랜드는 19-63으로 동부 꼴찌 팀이 되었으며, 무려 이전 시즌보다 42경기나 더 패배했다. 총 3시즌 동안, 그의 이전 팀은 그 해 르브론과 치른 경기보다 90경기나 더 나쁜 기록으로 경기를 마쳤다. 평균적으로, 르브론이 없어진 팀은 매년 30패를 더 한다는 것이다. 또한 2011-18시즌 연속 8시즌 동안, 그의 팀은 NBA 결승전에 진출했다.

아마도 르브론의 가장 큰 커리어는 클리블랜드에 복귀한 2년차, 73번의 정규시즌 우승으로 NBA 신기록을 세운 워리어스 팀을 상대해 파이널에서 물리침으로써 이 도시에 50년 만에 첫 우승을 안겨준 것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 타이틀은 그가 마이클 조던의 반열을 넘보게 만들었다.

하지만 그 후 2년 동안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제임스는 네 번 올스타, 두 번째 MVP 소유자 케빈 듀란트를 보강해 막강해진 워리어스 팀과 대적했다. 그리고 제임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워리어스는 2017년, 2018년 두 시리즈를 모두 우승했다.

르브론은 실패했다.

당신이 역대 최고를 노리는 역량의 선수일 때, 그리고 패배할 때, 개인 성적은 무시된다. 2015년 클리블랜드와 골든 스테이트의 파이널에서 골스의 안드레 이궈달라가 파이널 엠비피를 수상했는데, 그는 주로 르브론의 전담 마커였다. 하지만 르브론은 평균 35.8점, 13.3리바운드, 8.8어시스트를 기록했다. 시리즈 엠비피가 수비를 했는데도 초인적인 경기력을 보여주었다면 시리즈에서 졌다고 해서 실패가 당연한게 아니다.

때때로, 당신의 성공도 실패로 간주된다. 르브론은 최근 9번의 결승에서 6준우승을 한 것으로 자주 비난을 받는다. 물론 조던은 6번의 결승에서 6번 다 우승을 해냈다. 그러나 조던 역시 사무국과 리그의 혜택을 받았고, 제임스는 9번의 결승 행 중 7번은 언더독의 입장으로, 거의 항상 샌안토니오 왕조와 골든 스테이트를 상대로 올라갔다.

NBA 결승전 패배(또는 어떤 대회에서 졌을 때)를 누군가의 커리어에 대한 공격으로 사용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 결승에 오르는 것은 엄청난 성취다. 3-6의 결승 기록을 가지려면, 결승전을 9번 올라갔을 때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르브론과 같은 사람들에게는 결승전에 올라가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네가 이겨야 하고, 모든 것을 해야 한다. 그것이 당신의 팀에 어떤 문제를 일으킨다 할지라도.

이것은 나로 하여금 케빈 듀란트가 안드레 이궈달라에게 공을 넘긴 것에 대한 마크 잭슨의 논평으로 돌아가게 한다. 이 이야기의 많은 부분은 유감스럽게도 결과 지향적인 사고에 의해 말해지지만, 만약 르브론이 그 패스를 하고 그의 팀 동료가 슛을 놓치면, 모든 사람들은 르브론이 왜 자신이 직접 쏘지 않았는지 의문을 제기했을걸?

비록 그것이 최선의 결정이 아닐지라도, 클러치 상황에서, 스타들은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 그냥 그렇게 되는 거야. 결국 그들의 잘못이 아닌 일에 대해 비난을 받게 된다.

리오넬 메시는 이 모든 것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 바르셀로나가 리버풀에서 4대 0으로 패한 것에 대한 반응을 본 후, 메시를 조롱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한 가지 질문을 하는 것은 타당해 보인다. "그가 어떤 책임을 짊어지는지 아십니까?"

메시는 2차전에서 마법의 순간을 보내지 못했지만, 그는 몇 번의 좋은 기회를 만들 수 있었고 바르셀로나 최고의 선수들 중 한 명이었다. 반면 바르사의 수비수들은 침착성이 부족했다.

물론, 메시가 단 한 골만 넣었어도 바르셀로나를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에 진출시킬 수도 있었다. 그는 분명히 더 할 수 있었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두경기가 합산되는 것이기에, 2차전은 사실상 1차전의 연장선상에 있다. 두 경기 두 골은 저조한 성과는 아니다. 호날두에게도 이미 이런 예가 매우 많다 – 그리고 지금은 메시가 그 상황에 놓여 있다

이 모든 것은 르브론, 메시, 호날두가 경기할 때마다 그들에게 부과되는 극도의, 어쩌면 불공평한 기대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로 귀결된다. 다른 어떤 팀 스포츠 선수도 같은 종류의 압력에 직면하지 않는다. 이런 불공평한 기대, 불공평한 인식이야 말로 이 세 선수들을 역대 최고의 선수로 만드는 요인이다.

케빈 듀란트가 더 좋은 숫자와 더 많은 반지로 선수 생활을 끝내든 말든 상관없다. 듀란트는 르브론 제임스와 같은 개인적 책임을 결코 갖지 못할 것이다. 올 시즌 워리어스가 우승하지 못하면 KD가 아닌 워리어스의 실패로 간주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 세 명의 선수들은 다른 스포츠에서 비슷하게 훌륭한 선수들과 비교했을 때조차 왜 다르게 보는 것일까? 나는 GOAT를 가리는데 있어 현재 진행중인 스토리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본다. 지난 10년 동안 르브론은 조던을 앞지르기 위해 피와 땀을 흘렸고 메시와 호날두는 서로를 넘기 위해 다른 선수들의 머리 위에서 1,2위를 다퉈왔다.

가장 위대한 존재가 되려고 할 때, 그 반대급부는 자연스레 높아진다. 모든 승리는 자신을 향한 찬사가 되며, 모든 패배는 자신을 향한 조롱이 되고, 안좋은 퍼포먼스는 자신을 숨도 못쉬게 목을 조를 것이다.

미식축구 선수 톰 브래디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브래디를 역대 최고의 쿼터백이라고 부르는 데 이견이 없다. 지난 20년 동안 브래디와 패트리어츠에게 지속적으로 우위를 가져간 팀이나 선수는 없다. 또한 다른 이름을 주장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그 선수가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되지 않는다. 조 몬타나? 페이튼 매닝? 애런 로저스? 경쟁이 불분명했기에 브래디가 정상으로 굳어졌다.

또 하나 떠오르는 사람은 '페이커' 이상혁이다. SK텔레콤 T1의 스타 미드 플레이어는 2013, 2015, 2016년 리그 오브 레전드 세계선수권(Legends World Championship)에 출전해 역대 최고의 선수로 평가받았다.

2017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SKT는 경이로운 페이커의 경기력으로 간신히 결승에 올랐다. 하지만, 한국의 삼성 갤럭시와의 결승전에서, SKT에게 남은 행운은 없었고, 3번의 우승을 경험한 챔피언들이 3대 0으로 완패했다.

2018년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와 거의 비슷한 이야기인데, 이번엔 반응이 달랐다. SKT 팀 동료들은 페이커를 실망시켰다는 비난을 받았다. 위대함을 비교할 사람이 없을 때, 위대함을 감사하는 것이 더 쉽다.

르브론, 메시, 호날두는 그들 세대에서 가장 훌륭한 팀 스포츠 선수일 수도 있다. 다른 누가 그들보다 좋은 선수일지라도, 아무도 그들이 어떤 기분인지를 진정으로 이해하지 못한다. 그들이 처한 상황은 그들이 원한 게 아니며 역대 최고 선수의 스토리를 보고 싶어하는 우리들이 만들어낸 것이다.

마지막으로 내 생각은, 만약 당신이 GOATs가 누군지 논쟁하고 싶다면, 이 글에 있는 세 선수가 은퇴할 때까지 기다려라. 또한 누가 더 못하는지를 가리는 것이 아닌, 누가 더 빛나는지를 생각해라.

-----------------------------------------------------------------------------------------

  일단 르브론 가지고 조던에 비교하는 거는 완전히 헛소리고 그런 내용이 많은 게 거슬리지만, 그래도 말하고자 하는 바는 동감이 많이 가서 공유합니다. 재작년 5월 기사라 메시가 발롱도르를 하나 추가하기 전이었고, 르브론도 레이커스에서 우승하기 전이었죠.

 

  저는 팀 스포츠에서 개인의 활약은 한계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축구 같은 경우는 한 팀에 11명이 뛰고 그 넓디 넓은 경기장에서 1명이 과연 어디까지 활약할 수 있을까요. 그나마 야구는 종목 특성상 개인의 활약을 잘 반영할 수 있어서 타이 콥, 테드 윌리엄스처럼 우승이 없어도 인정받지만, 축구는 우승을 못하면 평가가 박하죠.

  선수의 활약이 최고라고 해서 무조건 트로피가 보장되는 것도 아니고요. 호날두 같은 경우도 최전성기인 2010년대 초반에 챔피언스리그 4강에서 여러 번 머무르다가 나중에 최전성기에서 다소 내려온 상태에서 우승과 발롱도르를 여러 번 들어오렸죠. 앙리가 아스날 시절보다 바르셀로나 시절 팀 우승을 많이 했지만 그렇다고 아스날 시절이 전성기가 아니었다고 말하는 사람은 없을테고요. 팀이 우승했다고 그 팀을 대표하는 개인에게 오롯이 성과를 돌리는 사람들에도 부정적이고, 팀이 우승을 못했다고 개인을 평가 절하하는 미디어의 모습에도 꺼려집니다.

  물론 본문의 미식축구 쿼터백이나 농구의 에이스는 축구에 비해서 사정이 많이 낫긴 합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에도 저는 팀 내 영향력이 그렇게 클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 농구 에이스는 팀 내 지분에서 30% 이하고, 쿼터백은 그보다도 낮다고 보고요. 농구의 식스맨 비중으나, 쿼터백이 수비나 스페셜 팀에는 참여할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한다면요.

 

 

  칼럼에 나온 톰 브래디 얘기도 해보겠습니다. 브래디가 이글스와의 슈퍼볼에서 단일 슈퍼볼 경기 최다 야드를 갱신하면서 분투했지만 팀 수비진의 구멍화로 준우승을 했고, 내년인 램스와의 슈퍼볼에서 지지부진했지만 팀의 강력한 수비와 맞상대 제라드 고프가 더욱 부진해서 우승을 차지할 수 있었죠. 전자 때 미디어로 인해 브래디는 패배자로 전락했고, 후자 때 브래디는 찬양받으며 6회 우승을 달성했다고 마이클 조던에 비견되기도 했죠. 위의 칼럼에서 개인의 위상이 높아지는 건 개인의 활약이 아니라 미디어가 결정한다는 주장에 동의하는 이유입니다.

  라이벌 페이튼 매닝도 생각나네요. 매닝이 첫 우승을 차지했을 때 플레이오프 스탯에서 터치다운 3개 - 인터셉트 7개 - 패서 레이팅 70.5로 매닝의 위상에 비해 많이 아쉬웠습니다. 오히려 준우승을 경험했던 09시즌의 플레이오프가 터치다운 6개 - 인터셉트 2개 - 패서 레이팅 99.0으로 더 훌륭했습니다. 슈퍼볼 44에서도 막판에 인터셉트를 당해서 평가절하되지만 전반에는 플레이가 깔끕했고요. 그가 덴버에 이적했을 때도 콜츠 때처럼 은퇴 시즌 우승했을 때 개인 성적이 준우승했을 때보다 안 좋았습니다. 특히 은퇴 시즌 우승했을 때 수비진의 지원이 결정적이었죠. 준우승 했었던 슈퍼볼 48 때는 흑역사였지만 팀 전체적으로 최악인 점도 감안해야 하고 그 이전의 플레이오프였던 챔피언십이나 디비저널 라운드에서는 캐리했고요.

  "에이스가 잘하면 팀이 승리한다"라는 경우는 수없이 많겠지만 절대적으로 들어맞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페이커가 준우승했던 2017 롤드컵의 활약이 그 이전 3차례 우승했을 때 롤드컵의 활약보다 떨어지는가?", "이제동이 프로리그 다승왕과 MVP를 차지했으나 준우승으로 그칠 때 퍼포먼스가 그 이전 르까프 시절보다 부족해서였나?", "애런 로저스나 드류 브리스가 슈퍼볼 우승 1회에 그친 건 그 선수들 기량이 형편없어서였나?" 하면 필자는 과연 그럴까 하는 생각이 들거든요.

 

  천하의 마이클 조던도 원맨팀 시절에 고통받았을 때 결승도 못 갔고, 르브론도 클리블랜드 1기 시절 제대로 된 조력자가 없어서 우승을 못했죠. 조던이 GOAT인 이유는 매직, 버드, 던컨, 르브론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동료들로도 더 많은 우승(6회)을 했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단순히 우승 숫자로 줄세우면 11회 우승인 빌 러셀이 조던을 압살하겠죠.

  저는 그래서 팀 우승 횟수로 선수 서열을 정하는 것을 싫어합니다. 물론 팀 커리어를 아예 안 보는 것은 아니고, 동료들 수준에 비해서 얼마만큼 팀을 몇 번이나 우승시켰는지, 개인의 활약은 어땠는지를 봅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NFL, MLB, NBA, NHL] 북미 4대 스포츠의 샐러리 캡과 사치세 정리
728x90
반응형

 

https://www.chosun.com/sports/sports_photo/2021/02/16/HRXTO4HMVTABKSQ6SPS7NYXLCI/

 

"사치세만 133억, 드래프트 순서는 밀리고", 다저스는 왜 투자하나?

[스포츠조선 노재형 기자] LA 다저스는 메이저리그에서 뉴욕 양키스와 함께 대표적인 빅마켓 구단으로 꼽힌다. 연고 지역 인구가 위성도시들을 포함해 1300만명이 넘고 경제전문지 포브스의 2020

www.chosun.com

 

 

  샐러리 캡, Salary Cap.

 

  미국 스포츠에는 '샐러리 캡'과 '사치세'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메이저리그나 NBA를 아시는 분들이라면 아실테지만 한 번 정리해보겠습니다.

 

  Salary Cap, 이것은 한 구단의 선수들 총 연봉의 상한선을 의미합니다. 막강한 자본력을 가진 팀들의 과열 투자와 핵심 선수들의 연봉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걸 방지하기 위해 시행하는 규칙입니다. 또한 가난한 팀이 도태되지 않고, 압도적인 현금보유량을 가진 팀이 천년만년 해먹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적도 있습니다.

 

  샐러리 캡을 넘으면 외부 영입이 크게 제한됩니다. NBA의 경우 자팀 선수와의 FA를 통한 재계약과 연장계약은 허용되지만, 몇 가지 예외 조항을 빼면 외부 영입이 불가능하다시피 합니다. 선수가 장기 부상으로 시즌 아웃 되어 대체 선수를 영입하는 것이나, 최소 연봉을 받는 선수와의 계약은 허용합니다.

 

  선수들의 연봉이 제한이 있기에, 매년 샐러리 캡의 한도는 매번 달라집니다. 다음 시즌(2021-2022) NFL는 182.5m(m는 1당 백만달러를 의미하는 단위입니다, 이번 NBA 시즌 샐러리 캡은 109.14m입니다. 코로나 여파로 NFL 이전 시즌에 비해 샐러리 캡이 깎였고, NBA는 동결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사치세, Luxury Tax는 무엇인가?

 

  우선 사치세는 샐러리 캡의 두 가지 제도인 하드 샐러리 캡(이하 하드 캡)과 소프트 샐러리 캡(이하 소프트 캡) 중 후자에서 볼 수 있는 제도입니다. 우선 하드 캡은 정해진 샐러리 캡 금액에서 절대 넘으면 안 되는 강력한 제한 규칙입니다. 하드 캡을 시행하는 리그는 미식축구와 아이스하키인 NFL과 NHL에서 시행합니다. 즉 다음 시즌 NFL 32개 팀은 팀 선수들의 총 연봉이 무조건 182.5m이하여야 합니다.

 

  만약 이를 넘을 경우 기존 선수의 연장계약 금지, 드래프트 박탈 등 엄청난 징계를 내려 팀 운영을 불가능하게 만듭니다. 사실상 강제로 지키게 만드는 엄격한 규칙이 바로 하드 캡입니다.

 

  반면 소프트 캡은 하드 캡보다 관대합니다. 예외 규칙에서는 샐러리 캡을 초과할 수 있고, 초과하더라도 사치세 부과로 추가 비용을 내면 팀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미국 4대 스포츠 중 NBA는 소프트 캡의 예외 규칙이 많아서 아주 복잡합니다. 나무위키에 정리되어있으니 관심 있는 분들은 읽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https://namu.wiki/w/%EC%83%90%EB%9F%AC%EB%A6%AC%20%EC%BA%A1/NBA )

 

샐러리 캡/NBA - 나무위키

맥시멈 샐러리는 한 선수가 받을 수 있는 최대한도의 계약이다. 루키 스케일(2+2년:총 4년)을 넘긴 선수에게만 적용한다. 모든 선수는 최대 4년까지만 계약할 수 있으나 예외로 지명 선수나 버드

namu.wiki

 

 

  덧붙여 북미 4대 스포츠 중 NBA만 소프트 캡 제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MLB에는 하드 캡도 없고 소프트 캡도 없기 때문입니다. 오직 사치세 라인만 있죠.

 

  우선 2021시즌 기준으로 메이저리그는 210m가 사치세 라인입니다. 이 사치세를 넘으면 그 연속된 횟수만큼 세율이 올라갑니다. 상한선을 초과한 만큼 그 금액에 맞춰서 초과했으면 1회부터는 20%, 2회 연속으로 초과했으면 30%, 3회 부터는 50%의 세율을 지불해야 합니다.

 

  MLB의 특징, 사치세에 추가되는 부가세

 

  2016년의 메이저리그 노사협약에서는 이런 누진세율에 '부가세'가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이 부가세가 얼마나 붙느냐에 따라 2차 사치세 라인이, 3차 사치세 라인으로 구별지을 수 있습니다. 우선 2차 사치세 라인은 초과 금액이 20m~40m 미만일 때 나타납니다. 기존(1차) 사치세 금액은 당연히 내야 하고, 2차 사치세 라인을 초과한 금액의 12%를 추가로 또 지불해야 합니다. 3차 사치세 라인은 사치세의 초과 금액이 40m가 넘을 때 발생합니다. 기존 사치세를 내는 것과 함께 3차 사치세 라인을 넘은 정도의 42.5%, 2회 연속이면 45%라는 어마어마한 돈이 추가로 붙습니다.

 

즉, 이번 사치세 상한선이 210m이니 이를 초과하면 1차 사치세 라인을 넘으며,

 

230m 초과는 2차 사치세 라인을 넘는 것,

 

250m 초과가 3차 사치세 라인을 넘는 셈입니다.

 

  230m 이하에서는 1차 사치세 라인만 물면 되지만, 이를 넘으면 사치세 라인이 2차인지 3차인지 나눠집니다. 만약 이번에 새롭게 사치세를 무는 팀이 등장하고 그 팀의 선수들 연봉 총합이 240m라고 가정해봅시다. 우선 30m를 초과했으니 20%인 6m를 내야 하고, 추가로 2차 사치세 라인인 230m에서 10m를 초과했으니 1.2m를 또 지불해서 7.2m의 사치세가 듭니다.

 

http://sports.khan.co.kr/sports/sk_index.html?art_id=201712181149003&sec_id=510301 (2017년 말에 나온 사치세에 대한 기사입니다)

 

사치세 규정이 어떻길래··· 양키스·다저스가 내년 연봉 줄이려는 이유는?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의 대표적인 ‘부자 구단’ 뉴욕 양키스와 LA 다저스가 최근 잇달아 비슷한...

sports.khan.co.kr

 

  추가로 3차 사치세까지 넘었다면 또한 드래프트 순위가 뒤로 밀려나는 불이익을 받습니다. 즉 맨 위의 기사에도 지적되었듯이 이번 시즌 다저스는 드래프트 픽 순위로 기존 픽 숫자에서 10순위 뒤로 밀려납니다.

 

  MLB: 사치세와 부가세의 예시

 

  3차 사치세 라인의 예시로 만약 메이저리그에 갑자기 260m를 선수 연봉에 쓰는 팀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우선 50m를 초과했으니 10m의 돈을 사치세로 나야하고, 3차 사치세 라인을 넘은 10m 금액의 42.5%인 4.25m의 돈을 부가세로써 추가로 지불해야 합니다. 즉 14.25m나 되는 금액이 사치세로 들어가고, 드래프트 불이익까지 발생합니다. 한 마디로 사치세 규정이 있으면 돈이 많이 있어도 함부로 지르기 꺼려지게 됩니다.

 

  만약 210m의 사치세 라인이 다음 시즌, 다다음 시즌에도 동결되며, 그 팀이 260m의 돈을 계속 쓴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두 번째 부터는 기존 사치세가 15m나 되고, 누진되는 부가세가 42.5% -> 45%가 되니 4.5m의 비용이 또 들어가 19.5m가 됩니다. 세 번째 시즌 부터는 25m+4.5m가 되어서 29.5m나 되는 사치세가 발생하고요. 거의 A+급 선수의 1년 연봉에 달하는 금액이 사치세로 들어갑니다.

 

  NBA 샐러리 캡과 사치세 라인이 둘 다 있는데, 자세히 설명드리기는 어렵지만 샐러리 캡을 초과하고 사치세 라인까지 넘으면 MLB보다 막대한 금액을 사치세로 내야 합니다. NBA의 30개 팀들은 매 시즌 샐러리 캡의 90% 이상은 의무적으로 지불해야 합니다. 한 마디로 NBA만 페이롤 하한선이 있습니다. NFL이나 MLB에는 없고요. MLB 팀 중 휴스턴 애스트로스가 2010년대 초중반에 돈을 거의 안 쓰는 운영을 하면서 최상위 드래프트 픽을 받아내고, 몇 년 뒤 강팀으로 도약하는(사인 훔치기와는 별개로) 알뜰한 '탱킹' 운영을 선택했습니다. 특히 휴스턴은 2013시즌 선수들 총 연봉이 30m도 안 될 만큼 짠돌이 운영을 보였죠.

 

  결론적으로 해외축구에서 파리, 뮌헨, 유벤투스가 한 리그를 압도적으로 장악하는 현상과 달리 북미 4대 스포츠는 모두 한 팀이 장기집권하는 걸 방지하는 길을 선택했습니다.

 

  그렇다면 MLB와 NBA에서 받은 사치세는 사무국이 어떻게 사용하는가?

 

  덧붙여 NBA에서 걷은 사치세는 사무국에서 사치세를 내지 않는 구단들에게 분배합니다. MLB의 경우에는 걷은 사치세를 사무국이 유소년 야구 선수 육성, 해외 야구 시장 개척 등의 용도로 사용합니다.

 

  샐러리 캡과 사치세가 도입된 시기, 제도 도입을 둘러싼 갈등

 

  정리하자면

 

NFL: 샐러리 캡(하드 캡)

NHL: 샐러리 캡(하드 캡)

NBA: 샐러리 캡(소프트 캡) + 사치세 라인

MLB: 사치세 라인

 

  이렇게 됩니다. 샐러리 캡 라인이 있고 그보다 더 위인 사치세 라인이 있는데, 2022-2023 NBA는 샐러리 캡 라인이 123M, 사치세 라인이 150M 정도입니다.

 

  MLB에서는 2003시즌부터 본격적으로 사치세 라인이 생겼고, NBA에서는 샐러리 캡은 1984-85 시즌부터 시작되었으며, NFL은 1994시즌 부터 하드 캡이 도입되었습니다. NHL의 경우 2004-2005시즌 하드 캡을 도입하려다가 반대하는 선수노조와 갈등이 생겨서 리그와 스탠리 컵이 취소되었고, 진통 끝에 다음 2005-2006시즌에 하드 캡이 도입되었습니다.

 

  MLB의 경우에도 샐러리 캡 도입 문제로 1994시즌 후반부터 선수 노조를 중심으로 파업이 벌어졌고 그 해 월드시리즈도 취소되었습니다. 결국 샐러리 캡은 도입하지 않고 사치세를 도입하기로 결정을 내렸고, 1997시즌~1999시즌 시범적으로 사치세 라인이 생기다가 2003시즌부터 제대로 도입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샐러리 캡은 선수들이 부정적으로 봅니다. 연봉에 제한이 걸리기 때문이죠.

 

  만약 NBA 사무국과 구단들 측이 내년부터 소프트 캡에서 하드 캡으로 전환한다고 일방적으로 발표하면 그 즉시 선수 노조를 중심으로 대대적으로 반발할 것이고, 심하면 파업이 벌어질 것이라고 장담합니다. 그 정도로 NBA와 MLB는 선수 노조의 힘이 막강합니다.

 

  매 시즌 사무국 커미셔너와 선수 노조의 대표는 샐러리 캡이나 사치세를 놓고 협상합니다. 만약 리그가 흥행한다면 그 상한선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고, 이번 코로나 같은 악재가 일어난다면 동결되거나 줄어들 수 있습니다.

 

  한국 프로스포츠에서도 배구와 농구리그는 진즉에 시행 중이고, 야구인 KBO에서도 2023시즌부터 시행됩니다. 정해진 돈 안에서 선수단을 구성해야 하니 샐러리 캡이 있는 리그의 단장들은 그 역할이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살림을 늘릴 수 없으니 저비용 고효율의 선수들을 많이 양성해야 하고, 앞으로 5년, 10년의 팀 운영도 생각해야 하죠. 특히 NFL 처럼 선수들 수명이 짧은 경우에는 드래프트가 아주 중요하니 구단주나 단장이 선수들 보는 눈도 좋아야 합니다. 그래서 팀 스포츠계에서 단장의 역할은 앞으로도 중요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감독이 지휘하는 선수들을 구성하는 위치가 단장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의 빌 벨리칙 처럼 감독이 단장까지 맡는 막강한 권한을 지닌 인사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E스포츠]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아너스/히어로즈 명단에 헌액되어야 할 프로게이머들 - 스타크래프트1/워크래프트3 편.
728x90
반응형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홈페이지 대문 사진, 오른쪽에서부터 임요환, 홍진호, 이윤열, 최연성, 이영호입니다. 공교롭게도 시대 순서대로 맞춰지네요.

 

  많은 스포츠에서 명예의 전당은 선수들의 최종적인 꿈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일단 미국 스포츠 중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은 MVP보다도 훨씬 가치가 있고, 미국 농구 명예의 전당(NBA가 중심이지만 NBA 선수들만 들어가는 명예의 전당은 아닙니다.)도 선수들에게 영예로운 일입니다. NFL 명예의 전당 난이도는 MLB보다는 쉽지만 NBA보다는 어렵습니다.

 

  다른 스포츠 중에도 복싱, 테니스, 골프, F1도 'Hall of fame' 등의 이름으로 선수 시절 훌륭한 족적을 남긴 선수를 명예의 전당에 입성시키고 있습니다. 각 리그 별로 나눠진 해외축구도 각 팀들이 따로 명예의 전당을 만들어서 기리고 있죠. WWE 같은 각본이 있는 프로레슬링도 명선수들을 헌액시키고 있습니다. 명예의 전당처럼 각 팀들이 소속되었던 선수들의 등번호를 영구결번 시키는 것도 소속된 선수들의 명예를 기억하는 행동일 것입니다.

 

  여담이지만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도 헌혈 100회 이상 헌혈자들을 '헌혈 레드카펫'이라고 불리는 명예의 전당에 올리고 있습니다. 다만 이름과 헌혈횟수는 신청한 사람들에 한해서 홈페이지에 공개됩니다.

 

 

  이는 한국 e스포츠도 마찬가지입니다. 예전에 스타크래프트1과 스타크래트프2가 병행된 프로리그 결승전에서 예전에 프로게이머 20명을 명예의 전당에 헌액시킨 적이 있었습니다. 다만 2017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컨텐츠진흥원이 임요환, 홍진호, 이윤열, 최연성, 이영호 이렇게 5명의 스타1 프로게이머들을 아너스(Honors, 사실상 명예의 전당 선수들 중에서도 최고로 대우) 명예의 전당에 올리면서 위의 명예의 전당은 어느새 잊혀지는 분위기입니다. 나중에 롤의 벵기(배성웅), 엠비션(강찬용)도 아너스에 헌액되어서 이제는 7명이 되었죠.

 

  개인적으로도 20명은 너무 많다는 느낌이 들어서 2017년에 새로 뽑은 5명 선수들이 마음에 듭니다. 다만 더 들어가야 할 것 같은 선수들이 있어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https://esportshistory.kr/rules.php

 

e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e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esportshistory.kr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홈페이지에는 다양한 종목의 선수들이 헌액되어 있습니다. 롤, 스타1, 스타2, 워크3, 도타2, 철권, 카운터 스트라이크, 카트라이더, 서든어택, 스페셜포스, 던파, 피파 등 게임 종류를 가리지 않고 일정한 업적을 낸 경우라면 명예의 전당에 등록됩니다. 물론 승부조작범들처럼 게이머로서 해서는 안 될 짓을 한 경우는 배제되고요. 명예의 전당 선수들은 아너스, 스타즈(Stars, 매년 팬 투표로 1년 동안 선정), 히어로즈(Heroes, 모든 헌액자들이 여기에 포함) 이렇게 3곳으로 분류합니다.

 

각 종목들 중 명예의 전당 위원회에서 조사한 대회들

 

  제가 가장 오래 봤던 스타1판의 선수들중 아너스에 포함되어야 할 세 선수와, 그리고 그 다음 종목들 중 기억나는 워크3 선수들 중 히어로즈나 아너스에 포함되어야하는 선수들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솔직히 선수 개인이 기사로 은퇴 발표를 하면 된거지 은퇴확인서 같은 절차가 필요한가라는 생각이 드네요. 워크3 선수들도 현재 4명(장재호, 박준, 김성식, 황태민) 밖에 히어로즈에 없는데 너무 적다는 느낌이 들고요. 명예의 전당에서 워크3 대회들 중 인정해주는 게 WCG 하나밖에 없다는 건 납득이 안 가네요.

 

  일단 아너스에 헌액되어야 할 스타1 레전드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 투신 박성준(저그, July)

 

- 역대 저그 중 2번째로 높은 스타1 프로게이머

- 스타리그 골든마우스(3회 우승) 수상자, 스타리그 우승/준우승 횟수 기준 커리어 1위

- 스타리그 우승자들 중 저그로서 최초로 테란(이병민)을 잡고 우승

- 질레트 스타리그 우승은 가장 위대한 스타1 개인리그 우승 중 하나

- MBC게임 히어로 팀에서 오랫동안 청년가장이었던 선수

- 통산 프로토스전 승률 1위

 

 

 

2. 혁명가 김택용(프로토스, Bisu)

 

- 반박의 여지 없는 역대 최고의 프로토스

- 프로리그 단일시즌 신기록(63승) 보유자

- MSL 금배지(3회 우승) 보유자, MSL 연속우승 보유자(최연성, 이윤열, 이영호도 마찬가지)

- 스타1 게이머들 중 통산 승률 3위, 통산 프로토스 vs 저그전 승률 1위, 프로토스 vs 프로토스 승률 1위

- 프로리그 기록도 통산 다승, 승률로 이영호-이제동 다음인 3위

- 곰tv MSL 우승은 가장 위대하고 드라마틱한 개인리그 우승 중 하나

 

 

3. 폭군 이제동(저그, Jaedong -> JD)

 

- 역대 최고의 저그이자 역사상 가장 위대한 스타1 프로게이머들 중 하나

- 통산 개인리그 5회 우승, 프로리그 다승 1위

- 통산 저그 vs 테란 승률 1위, 저그 vs 저그 승률 1위, 저그 vs 프로토스 승률 2위

- 개인리그 3회 이상 우승자들 중 최연성과 유이하게 세 종족(프로토스, 테란, 저그)를 모두 한 번 이상 결승에서 꺾은 커리어 보유자

- 07시즌부터 10시즌까지, 역대 모든 스타1 게이머 가운데 가장 오랫동안 정상에서 군림했던 선수

- 스타2로 진출한 뒤에도 WCS 글로벌 파이널 준우승 등 크게 성공한 게이머

 

  이렇게 세 선수를 아너스 명예의 전당에 올리고 싶습니다. 그 중에서도 이제동은 첫 발표에서 무조건 들어가야 했었는데 못 들어간 게 이해가 안 가네요. 일각에서 말하는 것처럼 은퇴확인서라는 절차가 그렇게 중요한 건지...

 

  아무튼 이렇게 되면 스타1 레전드들 중 총 8명의 게이머가 아너스 명단에 이름을 올리게 됩니다. 4대천왕 중 유일하게 못 들어간 박정석 선수와 택뱅리쌍 중 유일하게 못 들어간 송병구 선수에게는 미안하지만 커리어를 중시하는 의견이라 어쩔 수 없네요. 8명이면 스타1이 대한민국 E스포츠 역사에 준 상징성을 고려해봤을 때 충분한 인원이라고 생각하고요.

 

  다음으로 히어로즈에 포함되어야 하는 워크3 선수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것도 제 개인적인 의견이라는 점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스타1에 비해 워크3 선수들에 대해서는 많이 알고 있지 않아서(별명 등) 커리어만 간략하게 쓰겠습니다. 여러 명을 뽑으려다가 확실하게 들어가야 하는 선수 2명만 뽑았습니다. 커리어들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습니다.

 

 

1. 노재욱(언데드, Lucifer -> MichaeL)

 

WEG 2005 시즌3 3위

ESWC 2006 우승

Lenovo IEST 2006 3위

Intel Extreme Masters 2007 L.A. 준우승

E-stars 서울 2007 4강

Intel Extreme Masters 2008 글로벌 챌린지 4위

IEF 2011 4위

IEF 2012 4위

World GameMaster Tournament 2014 준우승

워크래프트 골드 리그 2020 윈터 시즌 3위

 

 

2. 천정희(언데드, Sweet)

 

ESWC 2004 4위

WEG 2005 시즌3 우승

한중 사이버 게임즈 2005 4강

블리자드 WWI 2006 우승

월드시리즈 비디오 게임즈 2006 준우승

Digital Life 2007 Am 준우승

PGL 2008 시즌2 3위

 

  이렇게 두 선수를 명예의 전당에 포함시키고 싶네요. 사실 워크3가 세계적으로 인기 있었던 기간은 스타1보다 길었지만 반대로 한국에서는 스타1이 더 인기가 있었죠. 천정희 선수와 노재욱 선수 이외에도 개인적으로 기억나는 건 조대희 선수와 강서우 선수 정도인데... 들어가야 하는 지는 애매하다고 봅니다. 롤이야 국내든 국외든 압도적인 E스포츠 인기 게임이라서 선수들을 넉넉하게 뽑아야 한다고 봅니다만 스타1은 뽑힌 선수들이 많다는 생각이 드네요.

 

  워크3 선수들 중 장재호 선수와 박준 선수는 여전히 워크3 판에서 활동하고 있는데, 은퇴 후에 당연히 아너스 명예의 전당에 올라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스타2 선수들도 몇 명 아너스에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공허의 유산 이후 스타2를 안 봐서 쓰는 게 주저하게 됩니다. 롤 선수들은 나중에 혹시나 쓸 지도 모르겠지만요.

 

  E스포츠 팬이라 E스포츠의 전설들을 기억하는 게 즐겁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각종 스포츠 잡담(2021.03.12) - 올림픽, 미식축구, 스타1, 테니스 등
728x90
반응형

 

 

  이번 아프리카tv 스타1 팀리그는 LOGINmedia 팀의 우승으로 끝났습니다. 압도적인 에이스 김명운은 결승에서 2승을 추가해서 정규시즌 + 포스트시즌 도합 9승 1패라는 압도적인 성적으로 현재 최강자가 누구인지를 증명했습니다. 최근 ASL도 연속 우승을 했는데, 팀리그의 모습도 혼자 격이 다른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준우승팀에서 김민철은 한두열만 두 번 잡아내면서 홀로 2승을 올렸지만 팀이 받쳐주지 못했네요. 이영호는 다시 심각해진 손목 부상의 여파로 장기간 개인방송에서 이탈했습니다. 그 때문에 송병구를 잡아내긴 했지만 유영진과의 경기에서 벌쳐 견제를 막아내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차기 ASL에 이영호가 불참을 결정해서 아쉽지만 이영호의 손목이 최대한 나아졌으면 좋겠습니다. 아프리카tv가 언제까지 ASL을 개최해줄지 모르겠네요.

 

https://www.nfl.com/news/veteran-de-j-j-watt-to-sign-two-year-deal-with-cardinals

 

J.J. Watt agrees to two-year contract with Arizona Cardinals

After weeks of speculation following his departure from the Houston Texans, veteran defensive end J.J. Watt revealed Monday that he will sign with the Arizona Cardinals. The team confirmed the move shortly thereafter.

www.nfl.com

 

  NFL 휴스턴 텍산스의 수비수 J.J 왓이 애리조나 카디널스로 이적했습니다. 2년 계약에 총 31M 계약입니다. 이렇게 왓은 슈퍼볼 가능성이 더 큰 팀으로 이적했고, 카디널스의 훌륭한 수비수인 챈들러 존스와 호흡을 맞추게 되었습니다. 공격에서는 한국계 쿼터백으로 유명한 카일러 머레이와 리그 전체의 핵심 리시버인 디안드레 홉킨스가 있는 팀이 카디널스인데, 다음 시즌이 기대되네요. 지난 시즌 아쉽게 플레이오프에 떨어진 한을 풀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차기 NFL 시즌의 NFC 서부 지구는 경쟁이 상상 그 이상으로 치열하겠네요. 기존 지구 최강팀 시애틀 시호크스, 드래프트 픽까지 과하게 투자하며 스태포드를 데려온 LA 램스, 왓을 데려온 애리조나 카디널스의 정규시즌 레이스가 뜨거울 것 같습니다. 다만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는 힘들 것 같습니다.

 

  텍산스는 가뜩이나 황무지 상태인데도 최악의 상태로 흐르네요. 드션 왓슨이 진즉에 트레이드를 요청했는데 왓슨이 하루빨리 텍산스를 탈출했으면 좋겠습니다. 팀 때문에 저런 훌륭한 선수가 허송세월하는 모습이 너무 안쓰럽습니다. 스포츠를 볼 때마다 선수가 우승 가능성이 높은 팀으로 가는 건 탁월한 선택이라고 느낍니다. 막장 보드진이 있는데 원클럽맨을 하는 건 어리석은 선택으로 보이기까지 하네요. 팀소프츠에서 개인의 영향력을 과대평가하는 팬들이 너무 많고 언론이 이를 부추기니 선수들이 강한 팀을 만드는 게 당연한 거라고 생각합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3&aid=0010384162

 

"일본 정부, 도쿄올림픽 해외관중 없이 열기로 결정"

[도쿄=AP/뉴시스]일본 도쿄 오다이바 해상의 오륜 마크. 2021.01.13.[런던=뉴시스] 이지예 기자 = 일본 정부가 결국 해외 관중 없이 도쿄올림픽을 개최하기로 결정했다는 보도가 나왔다.교도통신은 9

sports.news.naver.com

 

 

  도쿄올림픽에 대한 소식은 어째 갈수록 흉흉하네요. 이번 올림픽에서 자국(일본) 관중만 받고 타국의 관중들은 받지 않는 걸로 가닥이 잡히는 것 같습니다. 이러면 타국 선수들의 가족들은 못 오고 최소한의 인원인 코치와 감독들만 올림픽에 참여할 것 같습니다. 취소하자니 중계권 수익이 허공으로 날라가고 스폰서들에게 천문학적인 배상으로 이어지고, 연기하자니 일정 문제와 동시에 막대한 비용을 감당해야 하고, 진행하자니 코로나가 문제라 일본 정부로서는 진퇴양난일 거 같습니다.

 

  이렇게 되면 선수들과 코치진들은 무조건 백신을 맞아야할 것 같습니다. 정말 IOC에서도 강행하는 걸로 확정이 되면 몇 나라가 참여할지 궁금하네요. 우리나라 선수들 중 메달 획득을 통해 군면제를 받고 싶어하는 남성 선수들은 웬만하면 참여할 것 같습니다. 탁구, 수영 등 올림픽이 최고 권위인 종목의 선수들은 위험을 감수하고 출전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조코비치가 페더러의 랭킹 1위 기간을 311주로 늘리면서 페더러의 310주 랭킹 1위 기간을 경신했습니다. 이렇게 역대 남자 테니스 선수 중 랭킹 1위 횟수는 가장 많은 선수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랭킹 1위를 9주만 유지해도 여자 테니스의 세레나 윌리엄스의 319주 기록까지 넘게 됩니다. 조코비치가 앞으로 기량만 유지하면 남녀 포함해서 최다 기록인 그라프의 377주 기록을 넘는 것도 불가능은 아닐 것 같네요. 한편 메드베데프는 랭킹 2위에 올라서면서 넥스트 제너레이션 선수들 중 가장 높은 랭킹을 찍었습니다.

 

  나달이 올해 그랜드슬램 1회는 더 추가할 것 같은데, 이러면 페더러가 가졌던 기록은 모두 과거형이 될 것 같네요. 여전히 그랜드슬램 최다 우승은 나달이 가져갈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봅니다. 하지만 조코비치가 그랜드슬램 우승 하나만 부족할 뿐 투어 파이널, ATP 1000, 랭킹 1위 횟수, 그랜드슬램 최다 연속 우승(4회) 등 다른 평가에서는 우위를 차지할 것 같다는 예감이 강하게 드네요. 테니스의 GOAT 경쟁이 어떻게 결말이 날지 아무도 모르는 거지만 페나조 3인 중 다른 2명은 최악의 시대에서 피해를 본 레전드로 남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MLB] 제가 생각하는 역대 메이저리그 타자 TOP 10
728x90
반응형

neovisionnew.tistory.com/8

 

[MLB] 제가 생각하는 역대 메이저리그 투수 TOP 10

* 제가 생각하는 역대 야구선수 순위는 누적을 1순위로 봅니다. 그 다음으로 방어율 같은 비율 스탯과 전성기 성적도 같이 중요하게 여깁니다. * Bwar(베이스볼 레퍼런스) vs Fwar(팬그래프) 관점 차

neovisionnew.tistory.com

* 예전에 MLB 투수 TOP 10에 이어서 이번에는 타자 TOP 10에 대한 의견을 써보겠습니다.

* 투수에서 Bwar과 Fwar을 둘 다 보는 것과는 달리, 타자는 거의 Fwar만 보는 편입니다. Bwar 쪽에서 참고하는 건 OPS+(조정 OPS) 정도입니다.

* 허용되지 않은 약물을 복용한 자들은 당연히 뺐습니다. 니그로리그 선수들도 논외로 평가합니다.

* 예전에 투수 TOP 10 평가할 때도 참고한 순위이지만 https://theathletic.com/tag/the-baseball-100

 

The Athletic

Every sports story that matters

theathletic.com

의 평가를 어느정도 참고했습니다.

* 누적과 전성기 임팩트를 비교할 경우, 누적이 비슷하면 전성기에 압도적인 성적을 기록한 선수를 더욱 높이 평가합니다.

* 투수 비교글에도 썼지만 리그 단축시즌처럼 선수 실책이 아닌 외적인 이유로 커리어를 쌓지 못한 경우(특히 테드의 군복무 등)에는 개인적인 보정을 하는 편입니다.

* 타자 중에서 War이 비슷하면 더 높은 공격력을 보여준 선수를 높이 평가합니다.(따라서 치퍼 존스 vs 아드리안 벨트레의 비교에서는 치퍼의 손을 들어주는 입장입니다.)

* 타자 지표로 안타, 홈런, 볼넷, 도루, 타율-출루율-장타율, OPS+, WRC+, Fwar 까지 썼습니다. 타점이나 득점은 팀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해서 넣지 않았습니다.

 

Babe Ruth

1. 베이브 루스(1914~1935) - 우익수

통산 2873안타 714홈런 2062볼넷 123도루, 타출장 .342-.474-.690, OPS+206, WRC+197, Fwar 168.4

- 야구를 넘어 역사상 가장 위대한 스포츠인 중 하나.

- 역대 통산 Fwar 1위, 타자 Fwar 1위

- 통산 장타율, OPS, OPS+, WRC+ 1위

- 단일시즌 타자 Fwar 1위~4위 모두 루스의 기록

- 우익수 포지션과 뉴욕 양키스 역사상 최고의 선수

 

Ted Williams

2. 테드 윌리엄스(1939~1960) - 좌익수

통산 2654안타 521홈런 2021볼넷 24도루, 타출장 .344 .482 .634

OPS+191, WRC+188, Fwar 130.4

- 베이브 루스 다음 가는 타격의 절대자

- 보스턴 레드삭스 역사상 최고의 선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좌익수

- 전성기 5년을 2차대전과 6.25전쟁 참전으로 억울하게 날렸는데도 War 130을 쌓은 레전드 중의 레전드

- 단일 시즌 출루율 .553은 청정 레전드 가운데 역대 1위

- 포지션이 좌익수인데도 수비가 좋지 않았다는 것은 옥의 티

 

Willie Mays

3. 윌리 메이스(1951~1973) - 중견수

통산 3283안타 660홈런 1464볼넷 338도루, 타출장 .302 .384 .557

OPS+ 156, WRC+154, Fwar 149.9

- 야구 역사상 최고의 5툴 플레이어, 완벽에 가까운 야구선수로서는 루스나 테드보다도 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홈런 1위 시즌 4회, 도루 1위 시즌 4회, OPS 1위 시즌 5회, 수비는 외야수 중 역사상 최고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었습니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구단 역사상 최고의 선수이자 역대 최고의 중견수

- Fwar 계산 기록에서 당시의 수비와 주루가 지금처럼 온전히 반영되었으면 더 높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 1952~1953년의 군복무로 메이스 역시 손해본 커리어가 있습니다.

 

Ty Cobb

4. 타이 콥(1905~1928) - 중견수

통산 4189안타 117홈런 1249볼넷 897도루, 타출장 .366 .433 .512

OPS+ 168, WRC+165, Fwar 149.3

- 통산 그레이잉크 1위, 블랙잉크 2위,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구단 역사상 최고의 선수

- 컨택(공을 맞춰서 안타를 만드는 능력)의 끝판왕, 타율 1위 시즌 12회, 통산 타율 역대 1위(.366)

- 출루율 1위 시즌 7회, 장타율 1위 시즌 8회, 그리고 WRC+200이상 시즌도 2회 있을 만큼 거포의 능력도 어마어마했던 레전드

- 데드볼 시대의 대표 투수가 사이 영이었다면 타자는 타이 콥이었습니다.

- 다만 도루자 기록이 타이 콥 커리어 중 1905~1911, 1913, 1917~1919 시즌이 남아 있지를 않아서 그의 주루 능력에는 의문부호가 붙습니다.

 

Rogers Hornsby

5. 로저스 혼스비(1915~1937) - 2루수

통산 2930안타 301홈런 1038볼넷 135도루, 타출장 .358 .434 .577

OPS+175, WRC+173, Fwar 130.3

- 역대 최강의 2루수

- 통산 WRC+173은 루스와 테드 다음(루 게릭과 공동 3위)

- 타율/출루율/장타율/OPS 모두 리그 1위를 기록한 시즌이 7회, 1920시즌부터 1925시즌까지 6회 연속으로 기록했습니다.

- Fwar 11 이상 시즌을 2회 이상 기록한 타자는 역대로 타이 콥, 루스, 테드, 미키 맨틀, 그리고 혼스비 뿐입니다.

 

Honus Wagner

6. 호너스 와그너(1897~1917) - 유격수

통산 3420안타 101홈런 963볼넷 722도루, 타출장 .328 .391 .467 .858

OPS+151, WRC+147, Fwar 138.1

- 유격수 포지션에서 단연 역대 최고라 말할 수 있는 레전드

- 타이 콥, 베이브 루스, 크리스티 매튜슨, 월터 존슨과 함께 메이저리그 최초의 5인 중 한 명.

- 로베르토 클레멘테와 함께 피츠버그 파이어리츠 구단 역사상 최고의 선수

- 윌리메이스 이전 최고의 5툴 플레이어

- 타율 1위 시즌 8회, 도루 1위 시즌 5회, OPS 1위 시즌 8회 등 같은 데드볼 시대 최고 레전드인 타이 콥에 준하는 타이틀을 갖고 있는 유격수

 

  Hank Aaron

7. 행크 아론(1954~1976) - 우익수

통산 3771안타 755홈런 1402볼넷 240도루, 타출장 .305 .374 .555

OPS+ 155, WRC+153, Fwar 136.3

- 진정한 역대 홈런 1위 보유자

- 역대 안타 3위, 토탈 베이스(루타) 1위, 타점 1위 등 다양한 기록 보유자

- 애틀란타 브레이브스 구단 프랜차이즈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 나이 40세에 가까운 나이에도 Fwar 5를 찍을 만큼 꾸준함 그 자체(그레이잉크 역대 2위)인 레전드이나 , Fwar 9 이상의 시즌이 없는 것은 아쉬운 부분입니다.

 

 Stan Musial

8. 스탠 뮤지얼(1941~1963)- 좌익수, 1루수

통산 3630안타 475홈런 1599볼넷 78도루, 타출장 .331 .417 .559

OPS+ 159, WRC+158, Fwar 126.8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역대 최고의 선수

- 테드 만큼은 아니지만 뮤지얼 역시 1945년 군복무로 한 시즌 전체 커리어를 손해봤습니다.

- 1948시즌, 그는 WRC+ 201과 Fwar 11.1 및 타율-출루율-장타율-안타-2루타-3루타-토탈베이스-득점-타점 모두 1위를 차지하는 경이로운 성적을 내며 MVP를 수상했습니다.

- 홈런 1위 시즌은 아쉽게 없지만, 타율 1위 시즌과 OPS 1위 시즌은 7회나 되고, 통산 블랙잉크 5위와 그레이잉크 3위를 보유한 위대한 레전드

 

Lou Gehrig

9. 루 게릭(1923~1939) - 1루수

통산 2721안타 493홈런 1508볼넷 102도루, 타출장 .340 .447 .632

OPS+179, WRC+173, Fwar 116.3

- 통산 WRC+173은 루스, 테드 다음인 역대 3위(로저스 혼스비와 공동)

- 지미 팍스, 알버트 푸홀스보다도 확연히 우월한 역대 최고의 1루수

- 뉴욕 양키스 구단 역사상 베이브 루스 다음 가는 위대한 선수

- 2130경기 연속 출장 기록을 보유한 철강왕

- 1927시즌 그가 기록한 Fwar 12.5는 루스와 어느 약쟁이를 빼면 단일시즌 역대 Fwar 1위인 대기록

 

Mickey Mantle

10. 미키 맨틀(1951~1968) - 중견수

통산 2415안타 536홈런 1733볼넷 153도루, 타출장 .298 .421 .557

OPS+172, WRC+170, Fwar 112.3

- 중견수 포지션 중 윌리 메이스, 타이 콥 다음 가는 레전드

- 이견의 여지 없는 역대 최고의 스위치 히터(좌타, 우타 모두 소화할 수 있는 선수)

- Fwar 11이상 성적을 연속으로 찍은 건 베이브 루스, 테드 윌리엄스, 그리고 미키 맨틀 뿐입니다.

- 미키 맨틀은 메이저리그 역사상 유이한 트리플 크라운(한 시즌 타율, 홈런, 타점 1위를 한꺼번에 달성) 달성자 + 3회 이상 MVP 수상자입니다.(다른 한 명은 지미 팍스)

   GOAT 베이브 루스 다음 가는 선수들은 테드, 메이스, 타이콥 이렇게 세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다음 5위~7위인 혼스비, 와그너, 애런까지는 크게 고민이 없었네요. 그 다음 순위를 어떻게 뽑을까 애매했습니다.

   트리스 스피커, 루 게릭, 에디 콜린스, 스탠 뮤지얼, 미키 맨틀 중 8위~10위를 구성해야 했는데 우선 콜린스가 정점 활약도 저들 중 가장 낮고 통산 War도 게릭, 맨틀과 큰 차이 없어서 12위 라고 생각했습니다. 다음으로 뮤지얼이 최정점 활약도 대단하고 Fwar 9 이상 시즌도 여러 번 만들어서 8위로 놓았습니다.

  스피커, 게릭, 맨틀의 비교는 진짜 우열을 가리기 힘들었습니다. 누적 War은 낮지만 1956~1957시즌을 Fwar 11이상을 연속으로 만들어낸 맨틀의 위대한 점을 높게 볼 것인지, 게릭의 1927시즌 Fwar 12.5와 통산 타격 WRC+173을 고평가할 것인지, 아니면 저 셋 중 Fwar 130인 스피커를 우선시할 것인지 비교했습니다. 결국 전성기를 높게 쳐서 스피커를 11위로 놓고 게릭-맨틀을 남은 2자리에 차례로 넣었습니다. 스피커는 두 말할 것도 없는 위대한 선수지만 Fwar 10점 대가 1번, 9점 대가 1번이라는 점이 아쉬웠습니다.

   현역 선수들 가운데 역대 TOP 10 타자에 들어갈 것으로 기대되는 선수는 역시 마이크 트라웃인데, 과연 어떤 위치까지 갈까 궁금하네요. 우선 루스-테드-메이스-타이콥 이 4명은 못 넘을 것으로 보고 다음 티어인 혼스비-와그너-애런도 힘들지 않을까 싶네요. 트라웃이 부상도 걱정되고 중견수 수비가 너무 나빠진 게 마음에 걸립니다. 개인적인 기대치로 Fwar 130은 쌓았으면 좋겠습니다.

 

   야구 같은 스포츠는 현대 선수가 고대의 괴물 같은 레전드들을 넘기에 너무 어려운 종목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E스포츠, 스타1] 옛날 스타1판 시즌별 종족밸런스 분석 - 2 - (리그별)
728x90
반응형

 

* 어제 글에 이어서 이번에는 리그별 밸런스를 분석해보겠습니다.

 

* 프로리그와 팀리그 전적, 스타리그 전적, MSL 전적을 밸런스 엑셀 데이터에 넣고 분석해봤습니다. 07시즌 이전과 이후로 나누기도 했습니다.

 

* 개인적으로 스타1 밸런스에 가장 큰 영향은 유명한 1.08패치고, 스타1 시대는 03시즌의 프로리그 출범, 김택용의 3.3혁명으로 시작된 07시즌과 드래프트 세대 이 두 가지로 크게 변화했다고 생각합니다. 총 3가지 기준을 나눠서 분기별로 분석했습니다.

 

* 유의미한 표본을 늘리려고 1.08 패치 이전의 종족 밸런스를 잡을 때 당시 기준으로 다양한 메이저 대회의 전적을 함께 포함했습니다. 온게임넷 스타리그는 물론, 게임큐 스타리그, KBK 마스터즈, itv랭킹전, KIGL 리그, WCGC(WCG 전신) 까지입니다. 당시 양대리그 체제가 갖춰지기도 전이었으니 이런 건 보정을 해야겠죠.

 

 

 

 

 

 

 

분석해보자면

 

1. 프로리그 같이 맵을 선택할 수 있는 단판전에서는 테란이 확연히 유리했습니다. 역시 가장 안정적인 종족이 테란이었죠. 양산형 테란들이 프로리그에서 많이 전적을 쌓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2. 반면 07시즌 이후부터는 프로리그와 다르게 스타리그, MSL에서 테란은 여전히 유리한 종족은 아니지만 테사기 소리 들을 만한 종족은 아니었습니다. 하기 싫은 맵도 출전해야 했던 개인리그와 프로리그는 다릅니다.

 

3. 1.08 패치 이전과 이후에서도 볼 수 있듯이 블리자드가 주기적으로 밸런스 패치를 했으면 스타판은 완전히 달라졌을 것입니다.

 

4. 저그가 토스 상대로 불리했던 적은 없다시피하고, 토스도 07시즌 이후에야 테란에게 반반 내지는 약간이지만 우위를 점할 수 있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