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Next Question | '스포츠'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
반응형
안녕하세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려고 노력하며, 새로운 지식과 상상력을 접하길 원하는 1인입니다. 스포츠에 관심이 많으며 주기적으로 헌혈하는 헌혈자이기도 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TODAY TOTAL
250x250
스포츠 (371)
[일반 스포츠] ESPN 선정 2000년 이후(≒21세기) 역대 운동선수들 TOP 100(+오랜만에 티스토리에 복귀해서 죄송합니다.)
728x90
반응형

 

  시작하기 전에 정말 죄송하다는 말씀부터 올립니다.

 

  예고의 말도 없이 한 달 넘게 블로그를 방치한 건 전적으로 무책임한 행동이었습니다. 어떤 이야기를 해도 비겁한 변명이지만, 평일과 주말 가리지 않고 쉬는 날이 없었습니다. 다른 분야에 관심을 가지면서 시간 여유가 없기도 했고, 더욱이 헌혈을 장기간 못하게 되니 허전함과 우울함도 약간 들었고, 블로그에 올릴 포스팅 주제도 크게 떨어져버려서 회의감이 들었고요. 곧 파리 올림픽도 다가오니, 더 이상 손을 놓고만 있을 수가 없어서 마음을 가다듬고 다시 올려보겠습니다.

 

https://www.espn.com/espn/story/_/id/40446224/top-100-athletes-21st-century

 

ESPN's top 100 professional athletes of the 21st century: Unveiling 1-25

Who tops our list of the top athletes since 2000? We're unveiling the top 25, including our voters' pick for the No. 1 spot.

www.espn.com

 

 

  얼마 전 ESPN에서 2000년부터 지금까지 가장 위대한 운동선수 100명을 뽑았습니다. 20세기와 21세기 모두 활동한 선수들은 2000년 이전 성적은 고려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전 종목 대상으로 각각 10명 ~ 25명 선수들을 뽑은 다음, 70,000개 이상의 표를 받고 ELO 시스템을 활용하여 미국 전문가들이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여성 선수들도 꽤 포함되었습니다. 1위가 수영 GOAT로 유명한 마이클 펠프스고 그 다음부터 순위를 나열해보겠습니다.

 


 

1. 마이클 펠프스 (수영)

2. 세레나 윌리엄스 (테니스)

3. 리오넬 메시 (축구)

4. 르브론 제임스 (농구)

5. 탐 브래이디 (미식축구)

6. 로저 페더러 (테니스)

7. 시몬 바일스 (체조)

8. 타이거 우즈 (골프)

9. 우사인 볼트 (육상)

10. 코비 브라이언트 (농구)

 

11. 노박 조코비치 (테니스)

12. 라파엘 나달 (테니스)

13.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축구)

14. 스테판 커리 (농구)

15. 케이티 러데키 (수영)

16. 팀 던컨 (농구)

17. 샤킬 오닐 (농구)

18. 패트릭 마홈스 (미식축구)

19. 루이스 해밀턴 (F1)

20. 애런 도널드 (미식축구)

 

21. 다이애나 터라시 (농구)

22. 시드니 크로스비 (아이스하키)

23. 케빈 가넷 (농구)

24. 알버트 푸홀스 (야구)

25. 플로이드 메이웨더 주니어 (복싱)

26. 페이튼 매닝 (미식축구)

27. 랜디 모스 (미식축구)

28. 니콜라 요키치 (농구)

29. 미하엘 슈마허 (F1)

30. 마이크 트라웃 (야구)

 

31. 클레이튼 커쇼 (야구)

32. 마르타 (축구)

33. 미겔 카브레라 (야구)

34. 타미카 캐칭 (농구)

35. 드웨인 웨이드 (농구)

36. 마야 무어 (농구)

37. 스즈키 이치로 (야구)

38. 배리 본즈 (야구)

39. 케빈 듀란트 (농구)

40. 저스틴 벌렌더 (야구)

 

41. 디르크 노비츠키 (농구)

42. 야니스 야테토쿰보 (농구)

43. 알렉스 로드리게스 (야구)

44. 미카엘라 시프린 (알파인 스키)

45. 데이비드 오티즈 (야구)

46. 맥스 슈어저 (야구)

47. 지미 존슨 (NASCAR)

48. 티에리 앙리 (축구)

49. 아이타나 본마티 (축구)

50. 지네딘 지단 (축구)

 

51. 스티브 내쉬 (농구)

52. 아드리안 벨트레 (야구)

53. 데릭 지터 (축구)

54. 알렉산드르 오베츠킨 (아이스하키)

55. 루카 모드리치 (축구)

56. 알렉시아 푸테야스 (축구)

57. 캘빈 존슨 (미식축구)

58. J.J. 왓 (미식축구)

59. 마리아노 리베라 (야구)

60. 캔디스 파커 (농구)

 

61. 레이 루이스 (미식축구)

62. 오타니 쇼헤이 (야구)

63. 앨릭슨 펠릭스 (육상)

64. 미아 햄 (축구)

65. 킬리앙 음바페 (축구)

66. 존 존스 (종합격투기)

67. 제임스 하든 (농구)

68. 필 미켈슨 (골프)

69. 제이슨 키드 (농구)

70.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축구)

 

71. 매니 파퀴아오 (복싱)

72. 숀 화이트 (스노보드)

73. 무키 베츠 (야구)

74. 리사 레슬리 (농구)

75. 챠비 에르난데스 (축구)

76. 조르주 생 피에르 (종합격투기)

77. 셸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육상)

78. 버나드 홉킨스 (복싱)

79. 브라이스 하퍼 (야구)

80. 앤디 머레이 (테니스)

 

81. 셰릴 스우프스 (농구)

82. 우치무라 코헤이 (기계체조)

83. 크리스 폴 (농구)

84. 로렌 잭슨 (농구)

85. 카와이 레너드 (농구)

86. 비너스 윌리엄스 (테니스)

87. 호나우두 (축구)

88. 로이 할러데이 (야구)

89. 야니카 소렌스탐 (골프)

90. 에이자 윌슨 (농구)

 

91. 애런 로저스 (미식축구)

92. 페드로 마르티네즈 (야구)

93. 로이 맥길로이 (골프)

94. 호나우지뉴 (축구)

95.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축구)

96. 대럴 레비스 (미식축구)

97. 비라트 콜리 (크리켓)

98. 코너 맥데이비드 (아이스하키)

99. 에드 리드 (미식축구)

100. 찰스 우드슨 (미식축구)

 

 

  이 100명 중 반이 넘는 56명이 미국에 몰려있는 것도 그렇고, 투표한 7만여 명의 사람들이나 전문가들이나 완전 미국인+북미 스포츠 중심으로 뽑았다는 감상이 듭니다. 종목 별 숫자로 추려봐도 나타나는 게

 

농구: 24명

야구: 17명

축구: 15명

미식축구: 12명

테니스: 6명

골프, 복싱: 4명

육상, 아이스하키: 3명

F1, 기계체조, 수영, 종합격투기: 2명

알파인 스키, 스노보드, 크리켓, NASCAR: 1명

 

  이렇게 되네요. 농구, 야구 선수들이 축구 선수들보다 숫자가 더 많고 미식축구랑 비슷하네요. 필자도 종목 가리지 않고 위대한 운동선수들 뽑을 때 축구 만능론은 지양하는 편이지만 미국 중심적 세계관에서는 확실히 평가가 박합니다. 비교적 마이너 종목에서도 미국 선수들만 거의 선정되었고요. 럭비의 리치 맥코나 탁구의 마룽이나 배드민턴의 린단 같은 타 종목의 GOAT 선수들은 있지도 않습니다. 배구에서도 1명도 없는 걸 보니 확실히 미국 내 배구 인기가 없나 봅니다.

 

  필자가 뽑으라면 NBA/WNBA, MLB, NFL 선수들 꽤 줄이고 싶네요. 그런 다음 축구에서 8명 정도, 골프와 F1과 크리켓에서 2명 ~ 3명을 추가로 선정하고 싶네요.

 

  최상단의 선수들 중에는 2위인 세레나 윌리엄스부터 갸우뚱하고요. 동시대 압도적인 면에서 메시나 페나조를 제꼈다면 육상의 볼트와 골프의 우즈가 저 순위인 게 일관성이 없고, 역대 커리어에서도 세레나는 넘사벽 1위인 것도 아니고요. 당장 슈테피 그라프와 그렇게까지 큰 차이도 아니죠. 조코비치 - 페더러 or 나달 차이가 세레나 - 그라프 차이보다 더 크니까요.

 

  그 외에 페더러가 조코비치보다 위에 있는 것도 물음표가 들고, 농구에서는 코비와 커리의 순위가 고평가, 야구에서는 이치로 순위가 고평가 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약을 거르더라도 오티즈가 지터나 슈어져나 벨트레 등을 제끼는 게 황당하고요. 92위에 페드로 마르티네즈라는 이름을 보고 반가웠는데 랜디 존슨이 말석에도 없는 게 아쉽고요.

 

  순위가 어디까지 갈까 싶은 선수들은 18위 마홈스, 28위 요키치, 62위 오타니 등이 있네요. 마홈스는 GOAT 예약한 듯한 기세고, 요키치는 남은 커리어에서 우승 두어 번은 했으면 좋겠고, 오타니는 다음 시즌 투타겸업이 안 되더라도 타격에서 MLB를 10년 동안 평정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도 ESPN 순위 홈페이지에 선수들 커리어가 적혀 있는 등 정리가 잘 되어 있는 점은 마음에 듭니다. 여러 가지 의미로 참고할 만한 순위는 되어 보이고, 종목 별로 업적을 남긴 선수들을 볼 수 있어서 나쁘지 않네요.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E스포츠] 2024 사우디 E스포츠 월드컵 개최와 한국 E스포츠 관련 잡담
728x90
반응형

https://esportsworldcup.com/en

 

Esports World Cup | Changing the Game

Esports World Cup is an annual global tournament, crowning the best esports club in the world and rewarding them with the biggest prizes in the industry.

esportsworldcup.com

 

2022 Gamers 8 상금 규모: 1,500만 달러

2023 Gamers 8 상금 규모: 4,500만 달러

2024 E스포츠 월드컵 상금 규모: 6,000만 달러+

  E스포츠 역사상 가장 많은 상금이 걸린 종합 E스포츠 대회가 올해 여름 개최될 예정입니다. 원래 'Gamers8' 이었던 대회가 올해부터 E스포츠 월드컵으로 명칭이 바뀌었습니다.

  재작년에 도타2, 배틀그라운드 등 다섯 종목이 진행되었고, 작년에 철권과 스타2와 스파6 등 더 많은 종목이 신설되어서 상금이 3배로 늘어났죠. 스타2 역시 2020년대 들어서면서 매년 200만 달러 이하로 2019년에 비하면 반토막이 나버렸고, 특히 도타2 TI는 규모가 크게 쪼그라들었는데 사우디의 투자가 엄청난 동아줄이 되었죠.

  올해에도 규모는 더욱 커질 예정입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오버워치, 왕자영요, 모바일 레전드 등의 종목도 추가됩니다. 33% 정도 증가한 상금에 발맞춰서 작년의 12개 종목에 비해 올해에는 19개 종목으로 확대되었죠.

  우리나라의 E스포츠 팀이나 선수들은 리그 오브 레전드, 스타크래프트 2, 오버워치 2, 철권 8, 배틀그라운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PUBG 모바일)에 출전합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눈에 띄는 건 역시 LOL과 스타2네요.

  LOL은 최근 MSI에 출전한 4대리그(LCK, LPL, LEC, LCS)의 상위 2팀이 출전합니다. 젠지가 최근에 다른 팀들과 현격한 차이를 벌리면서 MSI를 우승했는데 과연 그 기세를 이어나갈지 궁금하네요. LCK와 LPL과 LCS 팀들은 서머 시즌 도중에 차출되고, LEC의 두 팀은 정규시즌이 종료되고 플레이오프 시작 전에 일정이 잡혀 있습니다.

  스타2에서는 조성주, 박령우, 김도욱, 고병재 선수가 현재까지 출전을 확정지었습니다. 최근 세랄이 IEM, ESL 무대에서 절대자의 포스를 내뿜고 있는데 과연 사우디까지 정복할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E스포츠 월드컵은 7월 3일부터 8월 25일까지 리야드에서 진행됩니다. 다만 종목 별로 일정 편차가 큽니다. LOL은 7월 4일부터 7일, 스타2는 8월 14일부터 18일에 진행됩니다. 개막 후 첫째 주에는 LOL 말고도 도타2, 모바일 레전드 이렇게 3종목만 합니다. 8주에 가까운 기간 동안 2개 ~ 3개 종목이 번갈아 가면서 진행됩니다.

  E스포츠 월드컵을 보니 세계 E스포츠 시장 규모가 커지는 것 같아서 나쁘지 않네요. 2012년에 전체 E스포츠 종목이 1,457만 달러 상금 규모였다가 2016년에 1억 달러 규모에 육박했고, 재작년에는 2억 4천만 달러를 돌파했죠. 작년에는 1억 8천만 달러로 줄었지만 여기서 더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봅니다.

  다소 아이러니하게 세계 E스포츠 산업 규모가 커지면서 한국 E스포츠 영향력이 점점 낮아지는 것 같습니다. 물론 LOL판에서야 막강하지만 다른 종목에서는 애매하거나 거의 없는 수준이고요. 배틀그라운드 PGC에서야 최근에 한국 팀인 다나와 E스포츠 팀이 우승했지만 그 전까지 몇 년 동안 해외 팀들이 강세였고요. 거기에 기성 스포츠처럼 대회 개최 면에서도 큰 손이 아니게 된 지 오래고...... 그래서 옛날에 종합 대회 중에 WCG 폐지가 아쉽기도 합니다. (최근에 WCG가 부활했다지만 종목 개수나 상금 규모나 사우디, IEM 등 다른 대회들에 비하면 초라한 수준이니까요.)

  발로란트판이 기대됩니다. 곧 8월에 열릴 발로란트 챔피언스 대회가 서울에서 열리기도 하고, 인기가 한국에서 더욱 높아지고 한국 선수들이 국제대회에서 더욱 잘해줬으면 합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테니스, 롤랑 가로스] 2024 남자 단식 8강 대진표(알카라스 vs 치치파스, 조코비치 vs 루드 again)
728x9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rolandgarros/videos

 

Roland-Garros

Welcome to the Roland-Garros official YouTube channel. Here, you will find all the videos of the tournament including interviews, best of, highlights and many more featuring the best tennis players in the world. Make sure you subscribe for daily videos!

www.youtube.com

  새 시대를 대표할 가능성이 거의 확정적인 롤랑가로스 2024년 대회가 진행 중입니다. 가장 화제가 된 1라운드의 즈베레프 vs 나달 경기부터 살짝 언급하겠습니다.

  3-0으로 끝났으나 2세트에서 타이브레이크까지 가는 모습을 보고 혹시나 했습니다. 어차피 나달이 패배할 가능성이 거의 확실했지만, 드롭샷 2개가 먹혔어도 한 세트를 더 볼 수 있을텐데 살짝 아쉬웠습니다. 이로써 흙신의 통산 롤랑 가로스 전적은 112승 4패가 되었습니다. 단일대회 승률 96.6%에 14회 우승이라는 기록은 테니스가 망할 때까지 깨지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할 수 있습니다.

  그는 인터뷰에서 은퇴를 선언하지는 않았지만 윔블던을 스킵하고 파리 올림픽에 집중할 것을 시사했습니다. 확실히 잔디 코트와 클레이 코트의 환경 차이는 너무 차이가 나죠. 이렇게 되면 롤랑가로스에 이어 재차 보호 랭킹(Protected Ranking)으로 올림픽에 출전하게 됩니다. 든든한 후배인 알카라스와의 복식 경기를 병행하는 것도 매력적이지만 나이가 있으니 이왕이면 단식 경기에 집중했으면 좋겠습니다. 슈퍼 레전드의 라스트 댄스를 풀 컨디션으로 감상하고 싶네요.

  나이는 그 어떤 선수도 거스를 수 없습니다. 새 시대를 대표할 가능성이 거의 확정적인 롤랑가로스 2024년 대회가 진행 중입니다. 오늘 아침에 남자 단식 16강(4라운드) 경기가 모두 끝났습니다. 8강 대진은 다음과 같습니다.

노박 조코비치(1) vs 캐스퍼 루드(7)

알렉산드르 즈베레프(4) vs 알렉스 드 미노(11)

카를로스 알카라스(3) vs 스테파노스 치치파스(9)

그리고르 디미트로프(10) vs 야닉 시너(2)

  우선 TOP 8 랭커 중 다닐 메드베데프와 안드레 루블레프, 후베르트 후르카츠가 3라운드 ~ 4라운드에서 탈락했습니다. 메드베데프와 후르카츠는 클레이에서 약했던(승률이 50% 초반대) 선수들이라 놀랍지 않은데 루블레프가 3라운드에서 떨어진 건 좀 놀랐습니다. 마드리드 오픈에서 우승하고 나쁘지 않았는데 아르날디한테 너무 쉽게 무너졌네요. 시너를 필두로 아르날디, 무세티, 다르데리 등등 20대 초반의 젊은 이탈리아 테니스 선수들이 확실히 무섭습니다. 현재 랭킹 40위 안에 드는 선수들이고 작년 데이비스컵에서도 이탈리아를 47년 만에 우승시켰죠.

  눈에 띄는 건 또 8강에서 만난 알카라스와 치치파스의 대결이네요. 상대전적 5대 0으로 일방적인 관계라 치치파스 입장에서는 어려운 승부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최근 그랜드슬램에서 메드베데프와 즈베레프가 알카라스와의 연패를 극복했던 것처럼 치치파스도 이겨낼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알카라스는 팔 부상 이후 복귀한 지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 대회의 직전 두 경기 모두 3-0에 2시간 40분 이내로 깔끔하게 끝내면서 능수능란한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시너도 알카라즈처럼 부상으로 말이 많았지만 다행히 경기력에 지장은 없는 모양입니다. 4라운드까지 한 세트만 졌고 나머지 세트 모두 6게임 내에 마무리했습니다. 고관절 부상으로 롤랑 가로스 참가 불확실이라는 입장을 보고 걱정했는데 다행이네요. 유이한 30대 8강 진출자인 디미트로프는 8강 진출으로 롤랑 가로스에서의 커리어 하이를 찍었습니다. 노익장의 힘을 보여줄지 기대됩니다.

  랭킹 1위이자 GOAT인 노박 조코비치는 이번 대회에서 너무나도 흔들리고 있습니다. 무세티와 세룬둘로 상대로 연이어 풀세트에 9시간에 가까운 장기전을 치렀고 37살의 최연장자에게는 치명적입니다. 경기를 보니 지친 모습과 하락한 스트로크가 자주 나타나는 등 노쇠화된 퍼포먼스가 역력했습니다. 상대는 루드로 작년 결승 대진이 8강에서 재현되었습니다. 상대전적은 조코비치 입장에서 5승 1패지만 그 1패가 최근 몬테카를로 마스터즈 4강이었죠. 호주 오픈에서 시너에게 완패하고 올해 투어 대회에서 결승 한 번을 못 가고 있는데, 조코비치의 시대가 끝났다는 세간의 의심을 이겨낼 수 있을지 봐야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결정된 대진은 즈베레프와 드 미노의 대결입니다. 즈베레프는 4라운드에서 루네의 매서운 도전을 뿌리치고 우여곡절 끝에 통과했고, 드 미노도 40% 대의 약한 클레이 코트의 승률을 기록했었는데 메드베데프를 꺾고 8강에 안착했습니다. 즈베레프는 직전의 빅 타이틀 대회인 로마 마스터즈에서 우승하고 기세가 아주 좋습니다. 반대편 대진에 알카라스와 시너가 있어서 개인 커리어 최초로 롤랑 가로스 결승에 갈 기회를 잡았습니다.

8강에 올라간 여덟 명의 선수들을 짚어봤습니다. 8강 경기의 주관적인 예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노박 조코비치 vs 캐스퍼 루드: 루드 3:2 승리

알렉산드르 즈베레프 vs 알렉스 드 미노: 즈베레프 3:0 승리

카를로스 알카라스 vs 스테파노스 치치파스: 알카라스 3:1 승리

그리고르 디미트로프 vs 야닉 시너: 시너 3:1 승리

  즈베레프 승리가 가장 유력해 보이고, 조코비치는 무릎 상태도 정상이 아닌 것 같은데다 아쉽게도 기량 하락이 가파르게 찾아오는 것 같습니다. 아래쪽 대진은 알카라스 vs 시너라는 차세대 라이벌 대진이 무난하게 예측됩니다.

   그동안 롤랑 가로스는 나달이 장기집권했고 중간중간 조코비치의 우승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바뀔 가능성이 못해도 십중팔구는 되어 보입니다. 만약 시련을 뚫고 조코비치가 우승하면 작년 트리플 커리어 그랜드슬램에 이어서 쿼트러플 커리어 그랜드슬램이 완성되지만, 다른 선수들에게도 걸린 것이 많습니다. 시너는 호주 오픈에 이어 그랜드슬램 연속 우승, 알카라스는 US오픈과 윔블던 타이틀에 이어 커리어 그랜드슬램에 거의 가까워지고, 즈베레프도 그랜드슬램 첫 우승을 해내게 됩니다.

8강 첫 경기는 오늘(6월 4일) 오후 9시 시너 vs 디미트로프 매치입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파리 올림픽] 남자 축구 40년 만에 진출 실패, 2024 U-23 아시안컵 8강 탈락(암울한 올림픽)
728x90
반응형

https://m.sports.naver.com/kfootball/article/413/0000175991

 

[U-23 아시안컵 리뷰] 한국 올림픽 진출 실패...'이영준-황선홍 퇴장', 승부차기 혈전 끝 패배

 

m.sports.naver.com

 

  3개월 뒤 파리 올림픽은 정말 허전한 올림픽이 되겠네요.

 

  U-23 아시안컵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이 8강에서 인도네시아에게 떨어졌습니다. U-23 아시안컵은 올림픽 예선격의 대회인데 여기서 3위만 하면 본선 진출이고, 4위를 하면 아프리카 팀인 기니와 단두대 매치를 치릅니다. 그래서 8강이 분수령이었는데 결과는 최악이었습니다. 올림픽 일어나서 결과만 볼 줄 알았던 필자는 연장이 진행되는 걸 보고 연장 후반과 승부차기만 봤습니다. 한바퀴 이상 도는 승부차기 끝에 떨어지는 걸 보고 탄식했네요.

 

  신태용 감독은 정말 대단하네요. 호주를 이기고 한국과 비기는데(승부차기) 올림픽 진출이 마냥 불가능하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인도네시아 A매치 대표팀도 월드컵 최종예선이 확정적이고, 2027년까지 재계약했다는 뉴스도 있는데 인도네시아 국민영웅이 되셨네요. 러시아 월드컵 때 갑자기 소방수로 투입되고 독일도 잡았던 감독인데 억울하게 욕먹는 걸 보며 안타까웠습니다. 다른 터전에 자리잡고 성공가도를 달려서 보기 좋습니다

 

  반면 몇 달 전 아시안컵 때 클린스만도 그렇고, 정몽규 회장이 데려온 감독들이 계속 실패하네요. 이 지경인데 최소한 축구협회장 4선 욕심은 내지 말아야죠. 임기가 내년 1월까지인데 거기까지만 하고 조용히 떠나시길 바랍니다. 여기에 이걸로 황선홍 감독이 A매치 정식감독에 부임할 일은 없게 되었는데 이 점은 다행입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41615460000120

 

파리올림픽 100일 앞으로...48년 만에 최소 규모로 현실 목표 金 5~6개 | 한국일보

전 세계인의 스포츠 축제 2024 파리 하계올림픽 개막이 100일 앞으로 다가왔다. 대한민국국 선수단은 48년 만에 최소 규모로 꾸려질 예정이

www.hankookilbo.com

 

 

(맨 위의 남자 축구 옆에 파란색 동그라미를 빨간색 가위로 바꿔야겠네요...)

 

https://www.chosun.com/sports/sports_general/2024/04/18/ZHYQYG7XEVFWDBHEITUHLJF75U/

 

48년 만에 최소 규모… 양궁·펜싱·배드민턴에 기대

48년 만에 최소 규모 양궁·펜싱·배드민턴에 기대 파리올림픽 선수단 격려 행사

www.chosun.com

 

  파리 올림픽에서 구기종목은 여자 핸드볼만 남았습니다.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출전할 단체 구기종목이 거의 없는데, 선수단 규모도 100명대 중반이나 혹은 그 이하가 되어보입니다.

 

  위의 표를 다시 봐도 축구가 가장 충격이네요. 다른 종목이야 예견된 결과지만 축구는 서울 올림픽 이후 올림픽 본선 진출 기록이 끊겨서 여파가 큽니다. 중계권을 사간 SBS 입장에서는 뒷목 잡을 참사입니다. 축협 스폰서 입장에서도 악영향이고요.

 

  올림픽과 아시안게임 전체적인 성적이 계속 떨어지고 있으며, 이번에는 금메달 5개가 목표인데 그 이하의 성적이 나와도 그러려니 해야겠네요. 그래도 양궁에서 1개 ~ 2개는 획득할 것 같은데, 대부분의 종목은 가능성이 없죠. 펜싱(사브르 단체), 태권도, 배드민턴 같은 종목의 메달 가능성은 매우 불확실하고요.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탁구, ITTF] 2024 마카오 월드컵 결과(남자부 마룽 9년 만의 우승, 여자부 랭킹 1위 쑨잉샤 우승)
728x90
반응형

https://kr.news.cn/20240422/8fb5af1f0c3e4a7fb525f9397d6270ff/c.html

 

中 마룽, 2024 마카오 국제탁구연맹 월드컵 남자 단식 金-Xinhua

21일 우승 후 자축하는 마룽(馬龍) 선수.  [신화망 마카오 4월22일] 21일 펼친 2024 마카오 국제탁구연맹(ITTF) 월드컵 남자 결승에서 중국의 마룽 선수가 4:3으로 중국의 린가오위안(林高遠) 선수를

kr.news.cn

https://kr.news.cn/20240422/a3ddd1fc22994130959014f713ef4691/c.html

 

中 쑨잉사, 2024 마카오 국제탁구연맹 월드컵 여자 단식 우승-Xinhua

21일 시상대에 오른 중국의 쑨잉사(孫穎莎) 선수. [신화망 마카오 4월22일] 21일 열린 2024 마카오 국제탁구연맹(ITTF) 월드컵 여자 결승에서 중국의 쑨잉사 선수가 4:3으로 같은 팀의 왕만위(王曼昱)

kr.news.cn

 

  4년 만에 진행된 탁구 월드컵은 그야말로 화려한 피날레였습니다.

  마카오에서 진행된 탁구 월드컵이 어제 끝났습니다. 결과부터 스포하면 남자부에서는 마룽이, 여자부에서는 쑨잉샤의 우승이라는 결말이 나왔습니다. 전자는 황제의 귀환이고, 후자는 최강자의 입증이네요.

  양쪽 결승전이 모두 역전극에 풀세트까지 갈 줄은 몰랐습니다. 마룽은 린가오위안에게 0-3으로 뒤지고 있다가 역스웝으로 뒤집었고, 쑨잉샤는 왕만유에게 1-3으로 밀렸으나 내리 3세트를 따내면서 랭킹 1위를 굳건히 지켰습니다. 이렇게 마룽은 올해 초 도하 컵 파이널스에서 린가오위안에게 당한 패배를 되갚았고, 쑨잉샤는 싱가포르 스매시와 탁구 월드컵을 연속으로 우승하려는 왕만유의 도전을 뒤로 밀었습니다.

  쑨잉샤의 기량도 놀랍지만 그래도 탁구 황제 마룽에게는 감탄만 나오네요. 작년 평창 아시아선수권 우승에는 반신반의했지만, 여전히 정상급이라는 걸 증명할 줄은 몰랐습니다. 결승전도 결승전이지만 4강에서 왕추친을 4-0으로 꺾은 게 백미였고요. 마룽은 2012년, 2015년 우승에 이어 3번째 우승 및 9년 만의 탁구 월드컵 우승을 이루었습니다. 올림픽 3연패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는데, 어쩌면 살아생전 마룽 넘어서는 탁구 선수를 못 볼 수도 있겠다는 생각까지 듭니다.

 

  반면 판젠동은 8강에서 린가오위안에게 떨어지면서 최근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중요 순간에 같은 중국 선수에게 계속 패배하고 있네요. 심지어 랭킹 1위를 왕추친에게 내준데 이어서 랭킹 2위까지도 수성하지 못 할 수 있습니다. 이번 대회에 마룽이 우승하면서 그와 WTT 랭킹 포인트도 비슷해질 게 확정이고요. 1250 포인트 차이가 났는데 마룽의 우승으로 거의 비슷해졌죠. 이러다가는 파리 올림픽 단식 선발도 못 될 수도 있는데, 곧 있는 사우디 스매시 대회에서 무조건 반등해야 합니다.

  참고로 올해 스매시 대회는 3개 대회가 열립니다. 3월 달에 열렸던 싱가포르 스매시, 5월 1일에 예정된 사우디 스매시, 9월 26일에도 중국 스매시로 일정이 잡혀 있습니다. 사우디 스포츠 투자가 탁구계에도 벌어지나 조금 기대되고, 재개된 탁구 월드컵이 예전처럼 매년 개최되기를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LOL, E스포츠] 주관적으로 선정한 LCK, LPL 2024 스프링 시즌 올프로(퍼스트/세컨드/서드) 및 MVP
728x90
반응형

 

* 2년 전 2022 LCK/LPL 서머 시즌 올프로를 주관적으로 선정했는데 오랜만에 재차 선정해봅니다. 이번에는 한꺼번에 평가하지 않고 포지션별로 퍼스트 선수, 세컨드 선수, 서드 선수를 놓으면서 간략하게 코멘트하겠습니다.

* LCK의 스프링 정규시즌이 끝났지만 LPL의 경우 오늘 마지막 경기 일정이 남아 있습니다. 다만 경기 하나로 크게 요동칠 것 같지 않아서 미리 뽑아봅니다. 순위표는 LCK만 첨부하고, LPL은 링크도 대신합니다.

 

* 팀 내 비중, 퍼포먼스, 팀 성적, 개인 지표 등 여러 가지 비중을 고르게 생각해서 뽑았습니다. 2022 스프링의 캐니언처럼 팀에서 독보적으로 캐리하는 선수들을 높이 평가하는 편입니다.

 

 

탑: 기인(젠지) - 제우스(T1) - 킹겐(DK)

- 서드만 고민했는데 지표도 기인과 제우스 다음이고 2라운드 폭발력이 기억에 남아 킹겐을 선택했습니다. 다만 두두와 도란과의 차이는 깻잎 한 장 차이라고 봅니다.

 

정글: 캐니언(젠지) - 표식(KT) - 커즈(광동)

- 캐니언 다음부터 고민했는데 표식이 KT가 무너지지 않게 버텨준 에이스라고 생각해서 세컨드에 넣었습니다. 전 시즌 꼴지팀인 광동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는데 두두나 커즈 둘 중 하나는 서드는 받아야 한다고 봅니다.

 

미드: 쵸비(젠지) - 페이커(T1) - 제카(한화)

- 이건 이견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쇼메이커가 1라운드 폼을 유지했어도 서드 자리에 뽑아야하나 고민했을텐데 아쉽네요.

 

원딜: 바이퍼(한화) - 페이즈(젠지) - 구마유시(T1)

- 가장 논란이 있을 것 같은데, 바이퍼가 어려운 환경에서 클래스를 입증한 장면이 많아서 퍼스트로 선정했습니다. 솔직히 각자 소속된 팀의 상체 차이가 너무 났죠.

 

서포터: 케리아(T1) - 리헨즈(젠지) - 딜라이트(한화)

- 여기는 미드보다도 훨씬 최상위권 두 명과 그 나머지 사이의 차이가 난다고 봅니다. 심하게 말해서 리헨즈 케리아 제외하고 뽑을 선수가 있나 싶지만, 그래도 딜라이트가 맞겠죠. 리헨즈가 퍼스트라고 봐도 반박할 마음이 없습니다.

 

MVP: 쵸비(포디움: 페이커, 캐니언)

- 쵸비의 MVP 수상을 미리 축하드립니다.

 

https://lol.fandom.com/wiki/LPL/2024_Season/Spring_Season

 

LPL/2024 Season/Spring Season

The 2024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LPL) is the first split of the twelfth year of Chinas professional League of Legends league. The spring season pits seventeen teams against each other in a single round robin over nine weeks. The top ten teams advance

lol.fandom.com

 

 

 

탑: 369(TES) - 빈(BLG) - 지카(LNG)

- 탑 구도야 369 vs 빈이 계속 유지되고 있습니다. 지카는 LNG가 죽을 쑤는 와중에도 잘했다는 점에서 서드에 들기 충분합니다. 웨이와드는 WE가 후반기 연패하는 데 지분이 좀 있어서요.

 

정글: 밀키웨이(FPX) - 카나비(JDG) - 슌(BLG)

- FPX 떡상의 일등공신이자 최고의 신인인 밀키웨이가 단연코 최고의 정글러입니다. 그 다음은 최고 POG 카나비가 확실합니다. 슌이 팀 내 옵션이 낮다고 보여지지만 해줄 건 다 해주는 훌륭한 정글러고, 올해 압도적인 BLG 성적에 충분히 공헌했죠. 티안과 크렘은 팀에서 잘하는 선수가 많아서 밀려났습니다.

 

미드: 나이트(BLG) - 루키(NIP) - 엔젤(OMG)

- 스카웃의 압도적인 모습이 사라졌으니 나이트의 중체미 타이틀을 막을 선수가 없었습니다. 루키와 엔젤은 팀 내 압도적인 비중을 가지고 있어서 가산점을 줬습니다. 루키도 폼을 회복했지만 엔젤도 전력 이탈이 있었던 OMG를 가지고 캐리해서 플레이오프에 보냈습니다.

 

원딜: 엘크(BLG) - 룰러(JDG) - 재키러브(TES)

- BLG 라이너들은 최고 수준이고 엘크는 내내 상수입니다. 그 다음은 재키러브도 잘하긴 하지만 팀 내 비중과 특히 동료 미드 차이 생각하면 룰러가 세컨은 충분하다고 보고요.

 

서포터: 메이코(TES) - 온(BLG) - 라이프(FPX)

- 메이코 지난 시즌에 애니 같은 유틸 서폿 위주였던 스프링 때는 잘했고, 노틸 같은 탱서폿이 메타였던 서머에는 하락했는데, 이번에는 노틸도 잘해서 기대가 됩니다. 온은 엘크와 함께 최고의 봇듀오를 이루고 있고, 라이프가 이번에 LPL 가서 서폿 럼블 같은 색다른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MVP: 나이트(포디움: 밀키웨이, 엘크)

- 스프링 시즌 메타에서 더더욱 원딜의 영향력이 미미했기에, 엘크가 MVP라는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같은 포지션 경쟁자들과의 차이도 나이트가 더 벌렸다고 보고요.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경기도 성남시 현대백화점 판교점에서 전시된 <위대한 농구선수 75인전>을 관람했습니다.(NBA 역사, 마이클 조던)
728x90
반응형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09799005

 

화제의 ‘위대한 농구선수 75인전’ 전시 연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다녀가며 화제가 됐던 ‘위대한 농구선수 75인전 vol.1’ 전시가 흥행에 성공하며 전시 기간을 2주 연장한다. 농구팬 1만6000여명이 방

www.kmib.co.kr

https://mticket.interpark.com/Place/Detail?placeCode=16000386

 

판교 현대백화점 토파즈홀

판매중 [전시특별연장]위대한 농구선수 75인전 현대백화점 판교점 토파즈홀 2024.02.08 2024.03.31

mticket.interpark.com

 

  한 스포츠 전시전이 2월 달부터 화제였습니다. '위대한 농구선수 75인전 vol.1'이라는 이름의 NBA 레전드 75명의 아이템이 선보이는 전시회입니다. 성남시 현대백화점 판교점 10층 토파즈홀에서 올해 2월 8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기사를 보니 전시 4주 만에 16,000명이 방문했다는 흥행 소식도 있습니다. 원래 3월 17일에 끝날 예정이었는데 3월 말일까지 전시가 2주 연장되어서 필자도 다녀올 수 있었습니다.

  현대백화점 판교점 영업시간은 매주 월요일부터 목요일에는 오전 10시 30분 부터 오후 8시까지, 금요일부터 일요일에는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8시 30분까지입니다. 이 전시회도 마찬가지입니다. 판교점은 굉장히 넓었고 어쩌다보니 5층까지는 에스컬레이터로 이동했고, 그 다음에 엘리베이터를 통해 10층까지 갔습니다.

  이 전시회는 이랜드뮤지엄에서 주최하고 현대, 일간스포츠, 뉴발란스 등이 협력하고 있습니다. 인형 같은 굿즈도 흥미로웠습니다.

  티켓은 1인당 9,000원입니다. 만 20세 미만은 7,000원입니다. 다만 현대백화점 카드나 H.Point 회원은 20% 할인해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필자는 무통장입금 방식으로 미리 예매해두었습니다. 데스크에서 인터파크 예약번호를 제시하고 표를 받았습니다. 입구 앞의 직원 분에게 표를 보여주고 들어갔습니다. 팜플렛도 챙겼습니다.

  내부에서는 음식물과 반려동물 출입금지입니다. 사진촬영은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으면 가능합니다. 입구에 설명서도 놓여있었습니다.

  6개 전시관 중 첫 번째인 'THE SNEAKERS', 즉 농구화부터 구경했습니다.

  NBA 역사에서 내로라하는 위대한 선수들의 운동화와 그들의 서명 사진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서명 사진 대신 농구화에 서명이 있는 경우도 있었고, 실착 농구화도 있었습니다. MVP나 올프로, 올스타 횟수와 연도 등 레전드들의 커리어도 읽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닥터J, 줄리어스 어빙입니다.

 

  모제스 말론, 래리 버드, 제임스 워디의 농구화부터 패트릭 유잉, 존 스탁턴, 찰스 바클리의 농구화 등 실로 각양각색했습니다. 관람할 수록 최근 시대의 선수들의 농구화를 구경할 수 있습니다.

  

  현역 선수들인 케빈 듀란트, 러셀 웨스트브룩, 제임스 하든, 조엘 엠비드, 루카 돈치치 등의 농구화도 보입니다. <SLAM>과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매거진도 보입니다.

  'THE SNEAKERS' 다음의 전시관은 'THE JERSEYS'입니다. 레전드들이 착용한 유니폼을 가까이에서 관람할 수 있습니다. 'The logo', 제리 웨스트의 유니폼부터 사진 찍었습니다.

  올라주원과 드렉슬러의 1995년 시즌 등, 레전드들의 우승 시즌의 실착 유니폼도 있었습니다. 풍성한 아이템을 둘러보면서 정말 좋았습니다. 스포츠 팬이고 NBA에도 관심이 많아서 이런 기회는 인생에서 손에 꼽지 않을까 합니다.

 

  오스카 로버트슨, 스카티 피펜, 클라이드 드렉슬러의 서명 사진은 두 개나 있었습니다.

 

  'THE AWARDS' 전시관에는 각종 트로피가 있었습니다. 압둘자바의 정규시즌 MVP, 피펜의 올스타전 MVP를 보면서 옛날 트로피는 이렇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금은 각각 마이클 조던 MVP, 코비 브라이언트 MVP라는 이름도 붙었고 모양도 변화한지 오래죠. 고대 레전드 존 하블리첵의 은퇴 기념 트로피, 밥 쿠지의 8연속 어시왕과 5000 어시스트 기록 달성 트로피도 있습니다.

  덩크슛 포토존도 추억에 남을 만했습니다. 2명이상 같이 온 사람들은 서로 덩크하는 모습을 찍으면서 웃을 수 있고요.

  'THE JERSEYS'와 'THE AWARDS' 사이에 'THE CHAMPIONS' 전시관이 있었습니다. 우승 기념 트로피, 경기에서 사용한 농구공 등이 있습니다. 후자는 'Game-Used' 볼이라고 하네요.

  GOAT가 캐리하던 시카고 불스의 여섯 번 우승을 기념하는 트로피에는 빛이 났습니다. 래리 오브라이언 챔피언십 트로피(구형)과 아주 유사했습니다. 열어서 품에 안고 번쩍 들고 싶어하는 욕구가 샘솟았습니다.

  전시관에는 레전드들의 유니폼을 높게 걸어두면서 두 개의 팀을 가상으로 설정했습니다. 커리 - 코비 - 르브론 - 던컨 - 오닐의 '팀 LJ(르브론)' vs 매직 - 조던 - 하블리첵 - 로드맨 - 압둘자바의 '팀 MJ(조던)'으로 밸런스가 팽팽합니다.

  NBA 파이널에서 사용된 농구림도 있었습니다. NBA와 농구 관련해서 없는 게 없었습니다. 넘사벽의 농구리그이며 세계화된 프로리그이니 경기에 사용된 물건은 모두 귀중품으로 보관될만 합니다.

  다시 'THE JERSEYS'의 전시관을 체크했습니다. 가넷, 앨런, 지노빌리, 파커, 웨이드의 우승 시즌 유니폼이 있습니다. 아데토쿤보의 실착 아이템은 올스타전 웜업 셔츠였습니다.

  빌 러셀과 제이슨 키드의 유니폼은 높이 결려져 있었습니다.

 

 

  'THE BIG MEN' 전시관에는 야오밍과 샤킬 오닐의 서명 사진이 있습니다. 야오밍의 윙스팬과 높이는 역시 웅장했습니다. 그를 뛰어넘을 아시아 농구선수가 죽을 때까지 과연 나오기나 할까요.

  르브론과 카멜로의 서명 사진도 있었습니다. 르브론의 경우 핸드 몰드 아이템도 있습니다. 처음에는 핸드 프린팅처럼 보였습니다. 가까이에서 필자도 손을 펼쳐봤는데 꽤 못 미쳤습니다. 샤킬 오닐이나 카와이 레너드의 손 크기를 실제로 보면 어떨가 궁금했습니다.

  뉴발란스 농구화나 각종 아이템도 한 곳에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농구체험존에는 농구공을 직접 쏘는 슛존도 있었습니다.

  AI를 통한 커스텀 농구화 만드는 체험과 농구화를 그려보는 물품도 놓여 있었습니다. 여러 가지로 농구팬들을 위한 체험실이었습니다.

  마지막이자 여섯 번째 전시관은 'THE GOAT', 즉 마이클 조던을 주제로 한 전시관이었습니다. GOAT라는 별명이 가장 어울리며 지금도 농구와 NBA를 상징하는 조던이고, 그의 업적인 6회 우승을 기념하기 위해 마지막에 둔 것 같기도 합니다.

  조던의 서명 사진과 서명 매거진이 보입니다. 그러고 보니 NBA에서 최근에는 우승팀이 계속 바뀌는 추세라 쓰리핏 달성 팀이 20년 넘게 안 나오고 있습니다. NFL에서는 다음 시즌 치프스가 기대되고, MLB는 리핏 팀도 안 나오고 있어서 가능성이 아주 희미하다고 보고요.

  출구로 나오기 전 조던이 우승 시즌에 착용한 여섯 켤레의 '에어 조던' 시리즈가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팜플렛에는 성배로 손꼽히는 콜렉션이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에는 에어 조던 13이 보입니다.

 

  관람을 끝내고 엘리베이터를 통해 1층으로 바로 내려갔습니다. 판교역 지하철로 갈까 생각했는데 신분당선 지하철 요금이 걱정되어서 광역버스를 통해 구리시로 갔습니다.

 

  스포츠 팬이라 실로 추억에 남을 전시였습니다. 3월 31일까지만 진행되어서 보고 싶으신 분들은 예매 등을 통해 빨리 다녀오시는 걸 추천합니다. <위대한 농구선수 75인전 vol.1>이라는 이름의 전시전이라 'vol.2', 'vol.3'도 있지 않을까 내심 기대됩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탁구] 2024 싱가포르 그랜드 스매시 대회 진행 상황(어차피 우승은 왕추친? / 임종훈-장우진 팀, 신유빈 선수 경기 일정)
728x90
반응형

https://www.singaporesmash.com/home

 

Singapore Smash

 

www.singaporesmash.com

 

  작년처럼 올해 싱가포르 스매시 그랜드 대회도 3월 중순에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재 기준으로 남녀 단식 8강, 남녀 복식 4강, 혼합 복식 결승만 남았습니다. 현재 단식에는 신유빈 선수 한 명만 생존했습니다. 우선 여성 단식 8강 대진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쑨잉샤(1) vs 천싱통(6): 3월 15일 금요일 오후 3시 30분 예정

왕이디(4) vs 치엔티엔이(8): 3월 15일 금요일 오후 2시 예정

이토 미마(12) vs 왕만유(3): 3월 15일 금요일 오후 8시 5분 예정

신유빈(7) vs 첸멍(2): 3월 15일 금요일 오후 10시 5분 예정

  주요 선수들은 다 올라왔습니다. 랭킹 TOP 8 중 일본 여자 탁구의 간판인 햐아타 히나가 1라운드에서 같은 일본 선수인 히라노 미우에게 떨어진 걸 제외하면 다 8강에 올라왔죠. 히라노 미우도 랭킹 18위에 얼마 전 세계선수권에서 왕이디를 꺾은 강자란 걸 감안하면 이변도 아닙니다. 쑨잉샤 쪽 대진의 중국 네 선수들은 아예 한 게임도 내주지 않았죠.

  우리나라의 신유빈 선수는 첸멍과의 경기를 앞두고 있습니다. 랭킹 1위 ~ 4위 중 쑨잉샤와 왕이디랑은 11번 붙어서 모두 패배했지만 첸멍과 왕만유와는 전적이 없죠. 16강에서 주천희 선수도 첸멍에게 1게임을 따냈던 것처럼, 1게임을 따거나 듀스까지 가는 게임 등 지더라도 저력을 보여줬으면 좋곘습니다. 그 밖에 서효원 선수는 16강까지 가는 선전을 보여줬지만 왕이디에게 가로막혔고, 또 16강에서 김나영 선수는 왕만유에게 탈락했습니다. 2라운드에서 이시온 선수와 전지희 선수는 각각 쑨잉샤와 첸멍을 일찍 만나서 일정을 마감했습니다.


 

  반면 남자 단식은 혼란스럽습니다. 8강 대진은 이렇습니다.

티모 볼(43) vs 량징쿤(5): 3월 15일 금요일 오후 9시 20분 예정

패트릭 프란지스카(25) vs 린윤주(8): 3월 15일 금요일 오후 2시 45분 예정

펠릭스 르브론(6) vs 샤라스 카말 아찬타(88): 3월 15일 금요일 오후 4시 15분 예정

당치우(10) vs 왕추친(2): 3월 15일 금요일 오후 10시 50분 예정

  판젠동이 2라운드에서 린쉬동에게 떨어지고, 마룽도 2라운드에서 패트릭 프란지스카에게 떨어졌습니다. 작년 대회 결승 진출자들이 짐을 싸는 파란이 벌어졌습니다. 마룽이야 나이가 많다고 해도 판젠동은 최근 아시아선수권 - 아시안게임에 이어 단식 대회에서만 자국 선수들에게 3번 연속으로 무너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네요. 랭킹 1위답지 않습니다. 왕추친과의 랭킹 포인트가 900점 남짓이라, 그가 결승만 가도 랭킹 1위는 바뀝니다.

  그 밖에 랭킹 4위 린가오위안도 이상수 선수에게, 6위의 휴고 칼데라노도 조대성 선수에게 1라운드에서 3-1로 졌습니다. 9위의 하리모토는 16강에서 량징쿤을 만나서 풀게임 끝에 떨어졌습니다. 우리나라 선수 중 장우진 선수, 임종훈 선수, 안재현 선수 등은 아쉽게 1라운드에서 조기 탈락하여 다음 기회를 노리게 되었습니다. 가장 높이 올라간 선수는 조대성 선수로 16강까지 갔습니다.

  아무튼 8강 선수 중에는 중국 선수 중에는 왕추친과 량징쿤만 남았고, 오히려 독일에서 세 선수가 올라가는 다소 어색한 모습이네요. 여기서 왕추친이 우승하면 현재 최강자는 왕추친으로 바뀌게 됩니다.

 

참고로 싱가포르 그랜드스매시 대회는 남녀 단식 8강부터는 7게임으로 진행되고 복식 경기는 모두 5경기입니다.

 

 


  복식에서는 한국 선수들이 역시 만리장성과의 대결을 앞두고 있습니다.

남자 복식 4강

판젠동/왕추친 vs 마티아스 팔크/안톤 칼버그: 3월 15일 금요일 오후 2시 예정

장우진/임종훈 vs 마룽/린가오위안: 3월 15일 금요일 오후 5시 35분 예정

혼합 복식 결승

임종훈/신유빈 vs 왕추친/쑨잉샤: 3월 15일 금요일 오후 8시 예정

  또 여자 복식에서도 주천희 선수가 일본의 키하라 미유와 한 조를 이뤄서 4강까지 진출했습니다. 역시 오늘 15일 오후 5시에 경기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지난 대회에서 장우진-임종훈 팀은 준우승했는데 역시 복식에서 일찍 떨어지지 않았네요. 혼합 복식에서도 한국 팀이 4강에서 하리모토 토모카즈/하야타 히나 팀을 3-1로 이긴 것도 대단합니다. 중국 팀을 상대로도 후회없는 경기를 남기기를 기대합니다.

 

  추가 소식으로 탁구 월드컵이 4년만에 재개됩니다. 개최지는 마카오고 4월 15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되어서 기대가 크네요. 한때 올림픽, 세계선수권 다음 가는 위상의 대회였고 결국 없어지나 싶었는데 다행입니다. 몇 달 뒤 올림픽도 있고 올해 탁구판에는 걸린 게 많네요.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